관복

官服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 고대부터 근대 왕정시대까지 관료들이 정무를 볼 때 입었던 의복.

한국삼국시대 때까지 각자 고유의 관복을 입었으나, 통일신라 직전, 백제를 무너뜨린 태종 무열왕 김춘추나라의 관복인 복두와 단령을 도입하여 문무백관의 정복으로 삼은 이후, 고려 ~ 조선시대 때까지 복두→사모가 갖추어진 단령을 관복으로 채택하여 입었다. 성종 7년(1476년)에 완성된 경국대전에 의하면 정 1품∼정 3품은 홍색, 종 3품∼종 6품은 청색, 정 7품∼종 9품은 녹색을 입도록 규정했다.

중국은 현재까지 확인되는 자국 내 최초의 국가인 나라 때부터 관복과 비슷한 복식이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공식적인 관복이 확인되는 것은 전국의 도량형과 문물이 통일화된 나라 때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수많은 왕조가 명멸하면서 많은 스타일의 관복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가장 마지막 왕조였던 나라의 관복은 원래 만주족의 예복에서 유래된 것이다.

일본은 마찬가지로 나라에서 복두와 단령을 들여와 관복으로 삼았으나, 이후 일본 국내실정에 맞게 개조되어 소쿠타이(束帶)라는 관복을 제정하여 입게 되었다. 머리에 쓰는 관모는 복두였다가 형태가 변형되어 칸무리(冠)를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베트남은 중국에서 관복 복식을 들여왔으며 대체적으로 중국과 유사한 관복을 입었다. 하지만 19세기부터 관복에 금실을 수놓는등 디자인이 기존 관복에 비해 굉장히 화려해졌다.

더 자세한것은 단령, 사모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