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무리

1 일본 전통 관모의 일종

Bild+1.png
사진은 칠사관 중에서도 스이에이노칸.

일본전통 관모이자, 관복소쿠타이와 함께 공가와 조정의 고위직들이 착용하는 정장의 일부이다. '칸무리'란 단어 자체는 관모를 의미하며[1] 시쓰갸칸(칠사관)과 에보시의 두 종류가 있으나 덴무 덴노 시기부터 정장에는 무조건 사진과 같은 칠사관만 쓰게 되었다. 나라~헤이안 시대부터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시대가 흘러 의관속대가 변화함에 따라 칸무리의 형태 또한 오늘날과 같이 변했다.

시쓰샤칸은 코지, 비녀 형태의 코가이, 히타이, 그리고 꼬리처럼 늘어져 있는 에이로 이루어지며 천황이 쓰는 에이가 선 류에이노칸, 일반적으로 그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에이가 늘어진 문관의 스이에이노칸[2], 그리고 에이가 말려 있는 겐에이노칸[3]이 있는데 에이의 형태가 변화한 것 이외에는 대동소이하다. 여담으로 덴노 전용의 류에이노칸은 고메이 덴노 이후부터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보통 겐에이노칸의 에이가 점점 직각으로 서서 변형된 걸로 추정한다. 이전까지는 대부분이 스이에이노칸을 착용하거나 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칠사관도 썼지만 태합이 된 이후 그 대신 중국조선사모와 흡사한 복두형 관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중세 이후로는 관과 머리를 길다란 흰 줄로 묶어 턱끈으로 고정한다. 이전의 그림들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징. 그 이유는 헤어스타일이 바뀌어 기존에 촌마게의 상투 부분이 코지에 들어가 비녀로 고정되던 방식을 사용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현대에도 일본/황실 등은 공식 행사 때 가끔 쓴다.

2 방송 프로그램 용어

冠番組

일본 방송계에서 사용하는 용어. 가수, 주로 아이돌 그룹의 멤버들이 주된 출연자로 등장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형식은 음악 방송에서 콩트 중심의 형식까지 존재할 만큼 다양하며, 그룹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거나 팬덤의 성장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1. 사모익선관같은 일본 이외 지역의 관모나 왕관 종류를 뜻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2. 말이 문관용이지 겐페이 시대 이후 그려진 초상화들을 보면 무장들도 죄다 스이에이노칸을 쓴다. 당시 무사들은 문화적 열등감으로 인해 수도인 교토를 위시한 긴키 지방 고도의 문화에 경도되어 허울뿐이라도 조정의 관직에 환장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추정.
  3. 주로 무관이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