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
제작사 | 로템 (→현대로템) |
제작 연도 | 2003년, 2007년 |
차량 정원 | 선두차 113명 |
중간차 | 124명편성 정원360명 |
전장 | 18,000 mm |
전폭 | 2,750 mm |
전고 | 4,000 mm |
차량 중량 | 30.9t(Tc), 31.9t(M1), 31.8t(M2) t |
편성 중량 | 125.5 t궤간 1435 mm |
전기 방식직류 | 1500V |
제어 방식 | VVVF-IGBT2Lv 1C4M |
제어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영업시 3.5km/h/s, 비상시 4.5 km/h/s |
MT비 | 2M 2T |
보안 장치 | ATC/ATO[1]방식 |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소태역에서 용산차량기지로 차량입고중인 광주 1호선 전동차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에서 사용하는 차량으로, 한국형 표준 전동차를 대한민국 최초로 상용화해 2003년 2월부터 반입하였다. 현재 4량 23개 편성, 4량씩 운행하고 있다.
2 기타
구동음이 초반에는 대전 1호선과 똑같았지만, 2단계 평동역까지 연장 후, 한톤을 더 올려 버렸다. 대전은 안내방송 성우톤을 올리고, 광주는 구동음을?
여담으로, 광주 1호선 전동차가 먼저 도입되서 형이고, 그 다음으로 도입 된 대전 1호선 전동차가 동생이고, 부산 3호선 전동차가 막내로 불리우고 있다. 일명 삼둥이?[2]
특이한 점은 개통당시 다른 도시철도들과 유일하게 다르게 객실간 사이의 통로문이 없이 1~4호차까지 훤히 보여 주목을 받았었다.
3 설명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내부
- 문 수동 개폐 장치
- 1차 개통 때 도입된 초기 전동차는 문 수동 개폐장치가 문 오른쪽 위에 위치해있어 손을 뻗어서 사용했는데 이 때 문제점이 키 작은 사람이 사용하면 비상사태시 탈출이 불가능했다. 의자 밟고 올라가서 쓰긴 된다만..
- 2차 개통 때 도입된 전동차는 기존의 초록색 아크릴판 개폐장치에서 문 옆에 붙어있는 덮개형 개폐장치로 바뀌어 키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노인들도 손쉽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했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개폐 장치는 장치가 어디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으나 신형 개폐장치는 눈에 더 잘띄게 되었다.
- 비상 인터폰
- 기존의 인터폰은 버튼을 눌러 사용하는 인터폰인데 신형 전동차의 인터폰은 무전기 형식으로 되어있다. 기존의 1차 개통 전동차에 비해 인터폰의 개수가 늘어나 안전면에서 차이가 있다.
- 그 밖에도 신형 전동차에는 화재감지장치가 설치되어있으며 부품의 국산화 비율이 늘어났고, 강화 불연재를 사용했다. 기존 1차 개통 때 도입된 구형 전동차는 의자의 내장재를 교체해 좀 더 화재에 강하게 했다. 현재는 23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4 광주비엔날레 전시작품 열차칸 운행
● 광주비엔날레 전시작 랩핑열차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