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개발전동차 | |||
한국형 표준 전동차 | 차세대전동차 |
파일:KSMT.jpg |
여기서도 자석도색이다
제어방식 | VVVF-IGBT (IPM 2레벨 - 1C4M 제어) |
조성량수 | 4량(서울9, 대전1, 광주1, 부산3) 6량(대구2, 공항철도) 8량(인천1) |
설계최고속도 | 100 km/h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120 km/h) |
영업최고속도 | 80 km/h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110 km/h) |
가속도 | 3.0 km/h/sec |
감속도 | 3.5 km/h/sec |
제동장치 | 전기지령 제동 |
신호설비 | ATC/ATO |
1 개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제작하는 전동차 표준 모델. 차츰 늘어가는 전동차 수요를 맞추고, 또 기술의 국산화를 위해서 1995년부터 설계에 들어가 1999년에 완성되어 2003년 이후로 도입되는 전국 각지의 도시철도 전동차량은 대부분 이 열차가 하고 있다. 차체는 알루미늄, 4량 편성에 선두부측면은 곡선부를 이루나 각지의 상황에 맞춰 개수한 모델들도 존재한다.
2 오해
과천과학관에 전시된 시제차량은 개발 완료 후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 시운전을 했던 모델로 대형 전동차였으나, 최초 납품된 광주 도시철도에 중형전동차로 납품했기에 동호인들에게 중형전동차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공식적으로 한국형 표준 전동차라고 명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철도동호인에 의해 중간에 "중형"이라는 말이 슬며시 끼여지게 되면서 한동안 한국형 표준 "중형" 전동차 라는 와전된 표현으로 불리웠고, 양산 이전에 서울도시철도공사 대형전동차 규격으로 제작한 시제차 조차도 한국형 표준 "중형" 전동차 시제차라고 와전되기도 했는데, 공식적으로 한국형 표준 "중형" 전동차라고 문서상에서 언급한 사례는 거의 없다. 공식 발표에서도 한국형 표준 전동차로 발표했다. # 이 한국형 표준 전동차는 "중형"이 아니라 "대형"이다.그럼 왜 '중형'이라고 써져 있는건데 대형 전폭 3120mm, 중형 전폭 2750mm[1] 정도라서?
표준 전동차 모델은 대형과 중형 모두 존재한다. 양산 이전에 제작된 2종류의 시제차[2]는 대형만 존재.
그 외에 양산 이전에 제작된 시제차중에 통근형 사양으로 제작된 시제차를 자세히 보면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것들이 보이는데, 서울지하철 7,8호선 2차분 전동차를 기반으로 만든건지는 몰라도 거기에 사용된 부품들이 많이 보인다. 냉방기, 대차, 내장부품 일부, 운전석, LED 표시기, 차체 외부의 출입문 표시등, 선두차의 기기배열은 물론이고, 차체 규격도 서울지하철 7,8호선 2차분 전동차와 거의 같다.
게다가 시제차가 영업운전한 노선도 서울지하철 7호선이고, 시제차 제작 직전에 서울지하철 6호선 609편성을 이용해 추진제어장치를 시험하기도 한걸로 봐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 도입분이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초기에는 광주1호선과 대전1호선이 구동음이 거의 똑같았으나, 광주1호선이 평동역연장 개통 이후로 톤을 조금 올렸다.
3 도입 노선
표준 모델을 그대로 도입해 사용하는 곳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고 사정에 맞게 개수해서 사용하는 곳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3],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이다.
표준모델 도입형 | ||
220px | ||
광주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대전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4] |
표준모델 개수형 | |
300px | |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