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광산720

20px 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급행간선지선마을
송정700평동701광산720광산720-1서구760서구761


20130303_720%B9%F8%C0%CE%B5%B5%B8%E9.jpg
광주여대(성심병원)까지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2013년 3월 촬영. 출처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광산720번
기점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하남2지구)종점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1동(응암공원)
종점행첫차05:40(평일, 토)/05:50(일)기점행첫차06:40
막차21:10(일)/21:24(평일, 토)막차22:00
평일배차출퇴근 10~14분/평시 10~24분주말배차10~24분(토)/40분(일)
운수사명광산버스인가대수13대
노선하남2지구 - 광주여자대학교 - 광주인력개발원 - 금호타이어 - 송정공원역 - 월곡시장 - 신가동 - 신창동우체국 - 남부대학교 - 응암공원

2 개요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노선으로, 하남2지구와 첨단지구를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71번, 72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연산동 두산마을(71번)과 본덕동 서호마을(72번)에서 출발해 송정동 호산병원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했으며, 오지노선이라 특별 구간요금을 받았다.
  • 2006년 대개편 때 포화상태였던 70번과 75번을 보조할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1] 번호도 72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구 36번의 노선을 모방했기 때문에[2] 한동안 '구 36번과 노선 동일'이라는 스티커를 붙여놓고 다녔다.
  • 운수업체 부도로 인해 750번 마을버스[3]가 폐선되면서 긴급 증편이 실시되었고, 서호마을, 월곡동, 진흥고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기존 신창동 지역은 첨단93번[4]이 운행하게 되었으며, 월곡동 주택단지는 대체노선이 없었고, 서호마을은 710번에서 '두산 - 동곡 - 서호 - 송대 - 송정리 - 월곡동' 식으로 운행하게 되었다.[5]
  • 2014년 4월에 '하남역 - 광주여대(성심병원)' 구간이 연장되었다.

4 특징

  • 첨단공영차고지로는 가지 않는다.
  • 마을버스치고는 매우 깔끔한 선형을 가지고 있다. 골목길로 들어가지도 않으며, 오히려 인근에 다니는 첨단40보다도 굴곡이 적다. 시내버스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노선이기 때문.
  •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도색을 한 NEW BS090 차량이 2대 다닌다. 금천10번이 운행중단되었을 때 팔려 온 차량이라고 한다. 관련 게시물

4.1 시간표

#

5 연계 철도역

  1. 당시 두 노선은 출퇴근시간대에 수요가 폭발하는 노선이었다. 노선 상에 초등학교 두 곳, 고등학교 네 곳, 대학교 두 곳, 이렇게 총 여덟 학교가 있었기 때문.
  2. 개편 초기에 출발지는 소촌동 공무원교육원 앞이었으며, 신가동까지는 송정주공 경유를 제외하고는 노선이 똑같았다.
  3. 운행경로는 다음과 같다.(당시 명칭이 포함되어 있음)
    은혜학교 - 폭스존 - 광주교통방송 - 첨단초교 - 첨단사거리 - 첨단2동주민센터 - 남부대학교 - 신창초교 - 진흥고 - 보건대후문 - 신가중학교 - 신가사거리 - 신가주공1단지 - 금구중 - 대반초교 - 월곡시장 - 하남중 - 광주여대 - 우산시영1~2단지 - 송정주공 - 아리랑고개 - 송정공원역 - 영광통 - 광산구청 - 광주송정역(당시 명칭)
  4. 후에 첨단40번으로 흡수되었다.
  5. 이후 720번 증차를 위해 2010년 말에 폐선되었다. 폐선된 후 두산과 송대에는 임곡90번이, 서호와 분토에는 송정99번이 연장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6. 과거 78번 마을버스로, 평동지역 오지마을과 송정동을 연결하던 노선이었다. 개편 이후 780번으로 운행하다 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