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 역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철도역은 현재 여객열차를 취급하지 않는 철도역으로, 화물열차만 취급하는 화물역, 신호장 및 신호소, 부정기 전세열차 전용역, 또는 현재 열차 운행이 중단된 구간에 속한 역일 수 있습니다. 이 철도역에서는 여객열차 승·하차가 불가능하니 이점 상기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폐역 · 미개통 또는 정기 관광열차만 정차하는 철도역에는 이 틀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호남선 | |||||
대전조차장 방면 임 곡 | ← 6.5 km | 하 남 | → 2.8 km | 목포 방면 북송정 | |
북송정삼각선 | |||||
시종점 | 하 남 | → 2.8 km | 동송정 방면 극락강 방면 북송정 |
河南驛 / Hanam Station
하남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Hanam |
한자 | 河南 |
중국어 | 河南 |
일본어 | ハナム |
주소 |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 111 (舊 산정동 476) |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광주본부 |
호남선 개업일 | 1966년 8월 1일 |
역등급 | 보통역(3급) |
1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 111 (舊 산정동 476번지)에 위치해 있다. 역 이름이 하남이라고 경기도 하남시와는 관계없다. 한자는 똑같지만 역 거리가 300km 정도 차이 난다.
2 역사
승강장 구조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인근 하남 산업단지 내부에 있는 GS칼텍스 정유소로 들어가는 전용 지선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한 화물수요가 꽤 있는 편이다. 한 해 약 5만톤 가량 된다. 하지만 하남산단 개설 당시에는 이 역으로 뚫려 있는 도로가 농로 수준이었기 때문에 유류 이외의 화물을 취급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러다가 광주송정역과 임곡역에 있던 컨테이너 야드를 전부 하남역으로 옮겨 지금은 컨테이너 화물도 취급한다.
여객수요는 거의 없다시피해서 2004년 7월 15일에 여객영업을 중단했다. 이후 하남역 주변에 하남2지구 및 수완지구, 운남지구 등이 개발되면서 주변 역세권에 사람들이 생겼지만 아래에 서술되는 이유로 인해 여객취급 재개는 하지 않는다. 게다가 KTX, 무궁화, 새마을 등 모든 열차를 취급하는 광주송정역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여객 업무를 재개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해서인 듯 하다. 여담으로 2000년대 광주광역시 일각에서 광주광역시 개발 축이 북쪽으로 이동한다는 점 등을 들어 광주송정역 대신 이 역을 호남선 KTX 정차역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지금은 하남2지구를 개발하면서 역 앞으로 큼지막한 도로가 뚫렸고 하남역 바로 옆에 하남2지구 버스 종점도 새로 생겼다.
3 기타
호남고속선과 기존선이 이 역에서 합류한다. KTX-산천을 취급하는 차량기지인 '광주차량기지'산천 취급이라지만 기사 사진에는 ITX-새마을밖에 안보인다가 하남역 인근에 세워졌다. 여기서부터 광주송정역까지는 기존 호남선과 호남고속선 그리고 광주차량기지에서 광주송정역까지 뻗은 단선 회송선로가 있어 총 5선이라는 무지막지한 선로 규모를 보여준다.
차량기지와 역 구내 확대로 인해 사진에 있는 역사건물을 헐고 밑에다가 지하차도를 깔았다. 하남역은 현재 임곡역과 하남역, 광주송정역으로 분산된 화물 취급업무를 통합하는 철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기 때문에 새 역사를 짓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