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

1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봄

한마디로 말해서 자리잡고 면밀하게 관찰하지만 관찰대상에게 직접 간섭하지 않는 상태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보통은 자신과 별로 관련이 없는 경우에만 구경이라는 말을 쓰며, 관련이 있다면 동일한 행동을 하더라도 방관등의 다른 말을 쓴다.

속설로 세상에서 제일 재밌는 구경거리는 불구경과 싸움구경, 그 중에서도 여자 싸움구경이라고 한다.

구경하는 사람을 구경꾼이라고 한다.

참고로 순우리말이다. 생각, 외상 등과 마찬가지로 한자어로 혼동되기 쉬운 순우리말이다.

제일 재밌는 구경은 싸움구경, 불구경, 물(난리)구경이라 카더라

2 口徑, Caliber

원통형의 물체의 지름 직경을 나타내는 단어.

망원경, 렌즈 등에서 쓰이지만 이나 의 탄환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자세한 정보는 각종 탄약, 포탄 구경 일람 참조.

총과 포에서의 의미가 미묘하게 다를 수 있어서 가끔씩 혼란을 유발한다.

1번 항목과 엮어서 총알을 만들 때 30명, 50명이 구경해서 30, 50구경이라는 드립도 있다(…). 재미 없다.

3 九卿

진, 한 시대 중앙의 '봉상(奉常)', '낭중령(郎中令)', '위위(衛尉)', '태복(太僕)', '정위(廷尉)', '전객(典客)', '종정(宗正)', '치속내사(治粟內史)', '소부(少府)' 아홉 관직을 이르는 말로, 이 가운데 '봉상'은 한경제 때 '태상(太常)'으로 바뀌었고, '전객'은 전한 초에 '대행령(大行令)'으로 바뀌었다가 한무제 때 '대홍려(大鴻臚)'로 바뀌었으며, '치속내사'는 후한 때에 '대사농(大司農)'으로 바뀌었고, '낭중령'은 한무제 때 '광록훈(光祿勳)'으로 바뀌었다가 후한 때에 다시 낭중령으로 환원되었다.

한편 조선 시대에는 정2품직인 좌•우참찬, 육조 판서한성부 판윤 아홉 관직을 9경이라 일컫었다.

4 九經

유교의 경전 분류.

9경의 범위는 시대에 따라 달랐는데, 수, 당대의 9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에 삼례(三禮 : "예기(禮記)", "주례(周禮)", "의례(儀禮)")와 춘추(春秋)의 삼전(三傳 : "좌씨전(左氏傳)",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을 일컫었고, 송대의 9경은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주례", "춘추좌씨전", "효경(孝經)",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일컫었으며, 명대의 9경은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주례", "의례", "춘추", "논어", "맹자"를 일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