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근대 시기 정부기구
六曹. 오늘날의 내각에 해당하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정부기관. 이들 관청이 모여있던 광화문 앞은 육조거리라고 불렸다. 각 조의 수장은 판서라고 불렸는데 오늘날의 장관에 상당한다. 시초는 당나라 시절 3성 6부제도가 그 근간이다.[1] 또한 지방 행정 조직에는 육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육방관속이 구성된다.
1.1 발해
당나라의 3성 6부 제도를 본 따 역시 육부가 편성되었다. 단, 발해 고유의 특성으로 육부의 각 이름에 유교적 미덕을 붙인 것이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부는 충(忠)부로 불렀고, 호부는 인(仁)부로 불렀으며, 예부는 의(義)부로, 병부는 지(智)부로, 형부는 예(禮)부로, 공부는 신(信)부로 불리었다. 그리고 각 부서는 당나라와 고려의 상서성에 해당되는 정당성에서 한꺼번에 총괄하는 것이 아니라 충,인,의부는 좌서성으로, 지,예,신부는 우서성으로 나누어 각각 담당하게 하였다.
1.2 고려시대
고려 초기엔 6관이었다.
- 선관(選官), 민관(民官), 병관(兵官), 형관(刑官), 예관(禮官), 공관(工官)
그러던 것이 고려 성종 때 6부로 정해 상서성 밑에 두었다.
- 이부, 호부, 병부, 형부, 예부, 공부
원 간섭기에 이르면 황제가 아닌 왕국에서 부란 명칭을 쓸 수 없다고 4사로 고쳤다.
- 전리사, 판도사, 군부사, 전법사
그러다 공양왕에 이르러 6조란 이름으로 바뀐다.
- 이조, 호조, 병조, 형조, 예조, 공조
이 이름은 그대로 조선에서 인수한다.
1.3 조선시대
태종 때 각 조의 으뜸인 전서를 판서로 격상시킨다. 1891년에 폐지되었다.각 조의 수장인 판서는 정 2품으로 품계가 동등하였으나, 각 조의 실질적인 위계는 아래 항목의 순서처럼 이-호-예-병-형-공 순으로 짜였다.
1.4 각 조별 기능
- 이조: 오늘날의 행정자치부, 인사혁신처에 해당한다. 육조의 문반에 대한 인사권이 있다.[2]
- 호조: 오늘날의 기획재정부[3]에 해당한다.
- 예조: 오늘날의 외교부과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인사혁신처의 일부[4]에 해당한다.
- 병조: 오늘날의 국방부[5]에 해당한다. 무관의 인사권이 있다.
- 형조: 오늘날의 법무부[6]와 법원에 해당한다.
- 공조: 오늘날의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에 해당한다.
2 위진남북조 시대 강남 지역 왕조들의 통칭
六朝. 순서대로 오(삼국시대) → 동진 → 유송 → 제(육조) → 양(육조) → 진(육조)
상세한 내용은 육조시대 항목 참고.- ↑ 따라서 삼국시대에는 이러한 정부기관이 존재하지 않았다. 애시당초 중앙권력이 아닌 지방 귀족들의 권력이 강했던 시기인지라....삼국통일 이후 신라도 3성 6부를 채택하지 않고 그 때 그 때 필요한 부서를 만들어
수험생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내었다. - ↑ 전근대 국가인 조선과 현대 국가를 비교하는건 무리한 일이지만 매우 체계적이고 건강한 조선의 문치주의를 감안하면 너무 사기캐이다. 그런데 사실 현재도 크게 다를 것은 없다. 현재 정부 편제는 인사혁신처와 행정자치부를 나눔으로써 정부조직관리와 인사관리를 나누었지만, 그 이전에는 안전행정부로 사실상 하나의 기관이 독점하고 있었다. 정부조직관리와 인사관리는 묶어서 관리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하기 때문에 그 기능을 한 부처에 두는 것은 해외에서도 비교적 흔한 일이다. 당장 이조가 가진 인사권도 중하위직 대상으로 고위직은 국왕이 결정했다. 그건 오늘날 고위공무원단의 인사권만 대통령이 행사하고 3급 이하로는 장관이 임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조가 지나친 파워를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 ↑ 소속기관인 국세청, 조달청의 역할도 수행한다.
- ↑ 과거시험을 주관하는 것이 예조였으므로 현재 국가직 공무원의 채용을 담당하는 인사혁신처의 일부 기능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 ↑ 소속기관인 병무청, 방위사업청의 역할도 수행한다.
- ↑ 소속기관인 검찰청의 역할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