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2010031705145137.jpg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이 아니다[1].

1 박흥용 화백의 만화

내 파란 세이버로 잘 알려진 박흥용 화백의 총 3권짜리 장편만화. 지금은 사라진 성인만화잡지인 투앤티 세븐((주)대원)에서 연재되었다.

조선 선조 때[2]에 살고 있는 청년 한견주의 여정을 그린 만화. 처음에는 한량에 불과했으나 내용이 전개될수록 여러가지를 깨닫고 성장하게 되는 성장영화 같은 측면이 있다. 첩에게서 태어난 서자 출생으로 벼슬길이 막힌 한견주를 중심으로 날 때부터 앞이 보이지 않아 지팡이로 앞을 보는 황정학 그리고 부패한 세상에 반기를 들고 역모를 꾸미는 이몽학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된다.

여백을 잘 살린 미적 감각과 독특한 그림체가 매력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대한민국 만화문화대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외국에도 알려져 영어판과 프랑스어판으로도 발매되었고,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1.1 등장인물

  • 한견주
한가한 지방 유지의 늦둥이 아들[3]로 태어났지만 서자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삐뚤어져 글공부하는 양반자식들에게 폭력을 사용하며 지낸다. 이런 행패 때문에 별명은 견자. 그때문인지 본명인 한견주보다는 '한견자'라는 이름으로 거의 불린다.[4][5]
자신이 태어난 동네를 벗어나지 않고, 자신을 '첩의 자식'이라 놀리는 애들을 괴롭히면서 살았다.[6] 그러다 동네에서 성균관 유생의 살인 누명을 쓰고, 고문을 받다가 주리를 틀려 발목뼈가 부러졌었다. 다행히 누명이 풀리고, 집으로 돌아와 황정학에게 치료를 받는다. 그러다 장님인 황정학의 기예와 세상사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그 후 한견주는 황정학을 따라 떠돌며 그에게 칼을 배운다. 황정학에게서 삶의 여러가지에서 깨달음을 얻고, 칼을 다루는 솜씨도 성장해나간다. 이 과정에서 당대의 유명한 칼잡이들이었던 이몽학이나 이장각 등과 엮이며 나중엔 칼잡이로 유명해진다. 주인공답게 연애 플래그도 꽤 있다.
  • 황정학
장님이지만, 가장 명성 높은 검객 중 한 명이며 한견주의 스승. 겉보기에는 체격도 왜소한데다가 눈까지 멀어버린 작달마한 노인[7]에 불과할 뿐이지만, 검을 다루는 실력은 가히 신기에 가까워 작중 최강급이다. 들고다니는 지팡이가 지팡이칼이며 전국구 칼잡이라 왠지 도전하는 무리들이 많다. 그래도 도전자들은 쓸데없지 죽이지는 않는다. 다만 불살 캐릭터는 아니라서 필요할 때에는 살상하는 것을 꺼리지는 않는데, 뒤를 쫓던 포졸들은 그냥 죽여버리는 장면에서 이런 면이 잘 드러난다.
명문가의 적자로 태어났지만 태어날 적부터 장님이라 '거의 없는 자식'으로 취급당하고 낮에는 큰 항아리 안에서 지내고, 밤이 돼서야 나와서 지낼 수 있었던, 어린시절을 보낸 어두운 과거가 있다. 항아리 속에서 자라면서 반향정위[8]를 익혔고 이를 칼싸움에도 응용한다. 대체적으로 검을 다루는 기술보다도 인간의 본능을 이용해 싸운다.
칼잡이 겸 침쟁이로 우연히 치료해 주었던 한견주의 깡이 맘에 들어 제자로 삼아 같이 여행을 다닌다. 거주지가 일정치않고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다 보니 이곳저곳에 친한 이들이 많은 편. 기생집의 여러 이들과 친분이 있다. 주로 침술을 해주면서 '나 아니였으면, 큰일날뻔 했네.'라는 식으로 먹고 자는 편이 많다. 전국이나 지방에서 이름을 날리는 이몽학이나 이장각과도 친분이 있다. 당시에는 도포의 소매를 크게 하고 다니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황정학은 되려 소매를 좁게 해서 입었었다. 한견주가 물으니까 왈 "튀어보려고."
호남, 호서 등지에서는 알아주는 칼잡이로 한견주와 마찬가지로 서자 출신이라 양반에 적대심을 갖고 있는 인물. 꽤나 진중하고 과묵한 성격이며 상대방과 검술을 겨룰때에는 상대를 직접 베기보다 상대가 쓴 을 베어서 경고하고 넘어가는 식을 더 선호하는 듯.[9] 전국구 칼잡이인 황정학을 인정하고 있으며 그 실력도 황정학과 호각을 이루는 듯. 황정학과도 안면이 있는 듯 하다. 임진년에 나라에 난리가 있자 이몽학은 자신의 야심을 펼친다. 이 과정에서 한견자를 끌어들이려다가 뜻대로 안되자 한견자와 칼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 방짜쟁이
안성 최고의 대장장이로 유기그릇을 주로 만들고 있다. 실력은 최고지만 술집 작부의 아들인지라 왕가에서 쓸 제기를 만들때조차 뽑히지 못하였다. 나중에 한견주의 칼을 만들어 준다. 황정학과 허물없는 사이로, 서로 구수한 욕을 주고 받으며 헤어지는 장면은 가히 찰지다.
  • 이장각
다리가 길어서 장각이라는 별명이 붙은 의적의 대장. 상여속에 숨어 도망치는 도중 결투중인 견자의 칼에 찔려 상처를 입고 견자를 혼내주려다 견자의 실력과 근성을 맘에 들어해 후에 견자에게 도움을 준다. 나중에 관군에게 쫓기면서 부하들을 도망치게 하고 혼자서 관군을 막으며 최후를 맞이했다.[10]
이장각의 부하. 포도부장 출신[11]으로 무예에 능하다. 한견주과 대결을 벌이게 되었을 때도 한견주를 구석으로 몰아붙이게 할 정도의 기예를 발휘했으나, 한견주가 무섭게 달려들자 힘에 부쳐 항복하게 된다. 그 뒤 한견주가 의적에 합류하면서 친하게 지냈다. 관군 출신 때문인지 스파이로 위장하고, 의적에 합류한 한 관군을 자신의 막사에 초대해 술을 마시다가 살해당한다.
  • 백지
초중반 히로인. 처음에는 한견주를 따라다니다가 모종의 사건을 겪고난 이후에는 안성의 방짜쟁이가 있는 곳으로 내려가게 된다. 방짜쟁이가 만든 칼을 받기 위해 한견주가 올 것을 기다리려고 했는데, 임진년 때 왜군에게 능욕을 당하고, 자신이 먼저 그 칼을 사용하게 된다.
  • 대쪽
작품 초반에 한 형리에게 당할 위기에 처해 있을 때, 한견주가 구해주면서 인연을 트게 되었는데, 후일 의적 시절에 한견주가 관군에게 붙잡혔을 때, 그를 구해준다.
  • 오위부장
자신의 손녀를 구해준 한견주의 칼솜씨에 감탄하여, 서자 출신인 한견주를 신분의 굴레에서 벗어주고, 자신의 사위로 삼고자 했었다. 뜻대로 성사되지 못했으나, 한견주와 황정학으로 하여금 자신의 집에서 겨울을 보내게 해주고, 황정학이 죽었을 때, 장례를 치러주고, 무덤을 만들어준다.
  • 오위부장 손녀
중후반 히로인. 자신을 구해준 한견주를 연모했었다. 여러 번 거절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끝까지 따라간다. 임진왜란 때는 남장을 하여, 한견주와 함께 왜군을 소탕하는 활약을 펼친다. 다른 이들과는 달리 이름이 끝까지 알려지지 않는다.[12]

2 위 만화를 원작으로 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영화) 문서로.
  1. 본래는 법구경의 한 구절인 것을 박흥용 화백이 자신의 작품 제목으로 차용한 것. 다만, 본래 표기인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을 검색해도 본 항목으로 넘어오게 하였다. 이런 유형의 제목을 가진 또 다른 작품으로 구르미 그린 달빛이 있다.
  2. 내용 사이사이에 서인과 동인의 갈등, 정여립의 난이나 임진왜란 등에 관한 내용들이 같이 섞여서 전개된다.
  3. 자신이 태어났을땐 아버지에겐 이미 대를 이을 자식과 손자까지 있던 상태.
  4. 검객이 되고 난 이후에는 아예 자신의 이름을 '한견자'라고 알렸다.
  5. 금강산에서 의적으로 활약한 이후에는 '금강산의 개', '호랑이 잡는 개새끼'라고 불리기도 했었다.
  6. 문사에 능했지만, 서자라는 이유로 서당이나 향교에 들어가지 못하는 아픔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자신을 첩의 자식이라 놀리는 학동들을 매우 싫어했다.
  7. 작품이 전개되는 시점에서 '낼 모래가 환갑이다.'라고 한 걸로 봐서 50대 후반인듯.
  8. 소리의 반사로 위치를 파악하는 것.
  9. '갓을 쓰지 않은 이들은 상대하지 않은 걸로 봐서 양반에 대한 불만이 많다.'고 황정학이 평했다.
  10. 이 때 누군가 평하기를 이장각이 살아있을 때 죽인 관군 숫자보다 죽을 때 죽인 관군의 숫자가 많다고.
  11. 오늘날로 따지면, 장교급 정도 된다.
  12. 마지막 3권이 끝나는 시점에서 '내 이름은...' 하고 끝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