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세스터 곶 전투

Battle of Cape Gloucester (1943.12.26 ~ 1944.4.22)

파일:Attachment/NA-127-G-68998.jpg

글로세스터 곶에 상륙하는 미합중국 해병대 제 1사단.

작전명
Operation Cartwheel(수레바퀴 작전)
날짜
1943년 12월 26일 ~ 1944년 4월 22일
장소
뉴브리튼 글로세스터 곶
교전국1교전국2
교전국미국
호주
일본
지휘관윌리엄 H.루퍼투스시바자키 케이지
병력20,000명100,000명
피해 규모310명 전사1,000명 전사
결과
미군의 승리
기타
상륙은 순조로웠으나 가장 큰 적은 자연이였다.

1 개요

1943년 12월 26일부터 1944년 4월 22일까지 뉴기니 제도의 뉴브리튼 섬 글로세스터 곶에서 미군,호주군일본군이 서로 벌인 전투. 미군은 1943년 12월 말부터 1944년 4월 초까지 제 112 기병연대와 해병 제 1사단을 파견하였으며, 이후 1944년 5월부터 중부태평양 진공과 전략의 변경으로 인해 해병 제 1사단을 철수시키고 과달카날에서 대기 중이던 육군 제 40사단을 파견한다. 육군 제 40사단은 1944년 11월 필리핀 탈환전에 참가하기 위해 호주군 제 5사단과 교대하여, 전선은 호주군이 맡게 된다. 호주군은 종전 시 까지 섬의 대부분을 함락하고 일본군의 중요한 기지였던 라바울을 고립시킨다.

일반적으로 '글로세스터 곶 전투'라고 하면 112 기병연대와 해병 제 1사단이 담당하였던 4월 말까지의 전투를 의미하며, 육군 제 40사단과 호주군이 담당했던 전투 기간까지 포함하여서는 '뉴브리튼 전투'라고 호칭한다.

2 배경

600px

뉴브리튼 섬과 뉴기니 섬 근방의 해역.

과달카날 전투에서 승리한 미군은 이제 남서태평양에서 전선을 북쪽으로 밀어 올려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당시 미군과 호주군은 뉴기니-민다나오 축선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진격하고 있었고, 공격군에 대한 원활한 보급을 위해서는 뉴기니 섬과 뉴브리튼 섬 사이에 있는 '비티아즈 해협'과 '댐피어 해협'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했다.[1] 일본군은 댐피어 해협을 훤하게 바라볼 수 있는 자리인 글로세스터 곶에 비행장은 물론 상당수의 수비대를 주둔시켜 놓고 있었고, 미군 사령부는 어차피 라바울 점령을 포기한 이상 해상 수송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세스터 곶을 박살내기로 결심하고 병력을 파견한다.
남서태평양군 사령부는 글로세스터 곶 상륙부대로 과달카날 전역(campaign)에서 용맹을 떨치고 반년이상 호주에서 재편성과 휴식을 취했던 해병1사단을 투입전력으로 선정했다.[2][3][4]
한편 일본군의 경우 제 65여단을 글로세스터 곶에 주둔시켜 놓고 있었는데, 마츠다 이와오 준장이 지휘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일본군은 제 17 보병사단을 파견하여 섬 서쪽의 방위를 강화하였다.

3 경과

미군과 호주군의 가장 중요한 전술 목표는 첫 번째가 글로세스터 곶의 비행장을 점령하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가 뉴브리튼 섬과 뉴기니 섬 사이를 가르는 해역의 안전을 보장하는 일이었다. 해병 제 1사단이 상륙하기 앞서서, 미군은 1943년 12월 15일 섬 남쪽의 '아라위'에 제 112 기병연대를 상륙시켜 섬 동쪽 끝에 위치해 있는 라바울로부터의 보급과 일본군의 퇴로를 끊고, 이어 12월 26일 윌리엄 H. 루퍼투스 소장의 지휘 하에 해병 제 1사단이 글로세스터 곶에 상륙한다. 아라웨를 점령당한 일본군은 라바울에서 항공기를 날려 보내 미군을 방해하려고 했으나, 하필이면 근처의 부겐빌 섬에 있는 비행장들이 전부 미군의 손에 떨어지는 바람에 라바울까지 두들겨 맞는 형편이라 제대로 방어를 해 주지 못했고, 112 기병연대는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아라웨에 상륙하여 아라웨 반도를 모두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

한편 해병 제 1사단은 글로세스터 곶에 주력 부대를 상륙시킴과 동시에 일본군의 퇴로를 끊기 위해 섬 서쪽의 타우알리 해변에 제 1연대 2대대[5]를 상륙시켰다. 상륙작전은 대규모 항공폭격과 해군의 상륙준비포격의 지원 덕에 상당히 순조로웠고, 상륙한 미군은 처음에 해변 근처에서는 일본군의 흔적을 전혀 발견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일본군이 상당히 소극적인 저항을 하면서 라바울 쪽으로 계속 조금씩 후퇴하였기 때문이다. 대신 미군은 지옥과도 같은 정글과 싸워야 했다. 일본군은 정글 속에서 숨어서 미군을 기습하는 등의 전술을 사용하면서 미군을 괴롭혔지만, 미군은 차근차근 전진하며 나아갔다.

미군은 상륙 당일 이미 전술 목표인 글로세스터 곶의 비행장을 점령하였고, 상륙한 지 일 주일 만에 마츠다 준장의 일본군 부대를 섬 서쪽에서 쫒아내고 섬을 가로지르는 공격선을 형성한 상태였다. 라바울의 일본군 본영에서는 섬 서부를 필사적으로 방어하려 애썼지만, 미군이 일본군 연합함대 사령부가 있는 트럭 섬에 대규모 폭격을 실행하여 약 20만 톤 이상의 함선을 날려 버리는 바람에 진주만에 되로 주고 말로 받은 트럭 섬[6] 라바울의 항공 부대는 모두 그 쪽으로 갈 수밖에 없었고, 결국 일본군은 항공지원도 없이 싸워야 했다. 마츠다 준장의 부대는 라바울 방면으로 퇴각하고, 미군은 마츠다 부대를 포위 섬멸하기 위하여 섬 중북부의 '윌로메즈 반도'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따라잡으려 했으나 윌로메즈 반도의 일본군 수비대가 거세게 저항하는 바람에 실패하였다. 그러나 1944년 3월 말 경 미군은 뉴브리튼 섬의 서쪽 절반을 확보하는 데에 성공한다.

한편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자, 중부태평양의 섬들을 하루 빨리 확보하고 일본 본토를 공격해야 하는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상륙전 및 정글에서의 전투 경험이 풍부한 해병 제 1사단이 매우 필요해졌다. 그러나 해병 제 1사단을 휘하에 넣고 있었던 남서태평양해역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다른 상륙 작전을 핑계로 니미츠에게 해병대를 넘기지 않으려 했지만 합동참모본부는 남서태평양해역군에게 향후 뉴브리튼 섬의 공격은 최소한의 병력으로만 수행할 것을 명령하였고, 결국 해병 제 1사단은 태평양해역군으로 배속이 변경되어 재정비를 위해 파부부로 떠나게 된다.

약 4개월 간에 걸친 글로세스터 곶 전투는 이로써 종료되고, 섬 동쪽의 라바울을 고립시키는 임무는 미 육군 제 40사단과 호주군 제 5사단이 담당하게 된다.

4 결과

사실 미군은 힘들여 섬의 서부를 장악하긴 했지만, 니미츠 제독이 이끄는 태평양해역군이 생각보다 너무 빨리 북상하는 데 성공하는 바람에 별 다른 전략적인 의미는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미군은 과달카날보다 더한 지독한 정글과 늪에 시달렸는데, 이 때문에 많은 병사들이 PTSD에 시달리기도 하였다. 이는 더 퍼시픽 4화에 잘 묘사되어 있기도 하다. 해병 제 1사단은 글로세스터 곶 전투 이후 파부부로 되돌아가 재정비를 하였다가, 태평양 전쟁 최고의 생지옥 중 하나로 이름 높았던 펠레리우 전투오키나와 전투에 각각 참전하게 된다.

양 군대의 피해는 아래와 같다.

  • 미군: 전사 310명 | 부상 및 실종 1,083명
  • 일본군: 전사 1,000여명 | 부상 및 실종 알 수 없음

5 관련 항목

  1. 뉴브리튼 섬 상륙 당시에는 뉴기니 섬은 연합군이 모두 점령하여 비티아즈 해협의 안전은 이미 보장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당시 글로세스터 곶 전투는 필요 없는 전투이지 않았냐는 설도 존재.
  2. 태평양전쟁에서 미해병1사단은 4개의 전역에 참가했다. : 과달카날 - 뉴브리튼 - 펠렐리우 - 오키나와. 전쟁이 끝난 후에는 중국으로 전개하여 47년까지 점령군임무를 담당했다.
  3. 참고로 더 퍼시픽에서 다뤄진 유진슬레지의 경우 전쟁이 끝나고도 46년이 되어서 귀국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그가 전쟁에 다소 늦게 참전한 것이 원인으로 중국에서의 점령군 복무로 부족했던 포인트를 때운 것이다. 전쟁이 끝나고 점령군으로 있게된 군인의 상당수는 제대포인트가 부족해서 어쩔 수없이 잔류한 유형인데 전쟁종결로 인한 미국의 군대감축시도로 이에 연관하여 포인트는 다소 부족했지만 어느정도 확보한 군인들은 오래 잔류하진않고 몇달을 추가로 있다 귀국했다.
  4. 밴플리트장군의 자서전에선 2차대전에 징집된 미군병사들이 마지막으로 제대한 시점을 47년 6월이라 언급했는데 그러면 이들이 포인트적용대상의 마지막 대상자들이 아닌가 싶다. 전쟁에 참전했던 전투경험자들이 군을 떠나면서 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햇병아리들로 대체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전쟁 초기 미군이 크게 고전을 못했다는 의견이 설득력이 크다.
  5. HBO 제작 미니시리즈 더 퍼시픽에서 주연 등장인물 로버트 레키가 속한 부대가 바로 여기이다.
  6. 그러나 일본 수상함대의 주력들은 멀쩡하였기 때문에 별 소용 없었다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