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레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
작전명
Operation Stalemate(스테일메이트[1] 작전)
날짜
1944년 9월 15일 ~ 1944년 11월 27일
장소
일본 제국 남양군도, 팔라우 제도 펠레리우 섬
교전국1교전국2
교전국미국일본 제국
지휘관윌리엄 H.루퍼투스나카가와 쿠니오
병력28,500명11,000명
피해 규모1,794명 전사10,695명 전사
결과
미군의 승리
기타
필리핀 탈환전을 위한 초석이었으나 쓰이지 않고 방치됨.

Battle of Peleliu

파일:Attachment/Peleliubat23.jpg

▲ 펠렐리우 해변가에 상륙을 시도하는 미합중국 해병대 제1사단. 사진에서 보이는 LVT의 대열이 첫 번째 웨이브였다. 첫 번째 상륙한 병사들은 일본군의 저항에 의해 해변에서부터 심한 피해를 입게 된다.

1 개요

1944년 9월 15일부터 동년 11월 27일까지 태평양의 펠렐리우 섬에서 미군일본군이 벌인 전투. 일반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오지마 전투오키나와 전투 못지않게 미군에게 많은 피해를 강요한 전투로서,[2] '교착 작전'으로 명명되었다. 미군은 펠렐리우 섬의 비행장을 획득하여 필리핀 탈환전을 위한 교두보로 삼으려 했지만,[3] 사실 펠렐리우 섬은 별로 쓸모가 없기도 했고 결국 전투 후 방치된다. 이래저래 미 해병대 입장에서는 씁쓸한 희생을 낳은 전투.

HBO가 제작한 TV 미니시리즈 더 퍼시픽에 펠렐리우 전투의 참혹함이 잘 묘사되어 있다.

2 배경

1944년 여름 무렵, 일본군은 개전 초기의 기세는 어디로 내다버렸는지 남서태평양과 중부태평양에서 연이어 참패를 면치 못하였다. 일본군을 연파한 미군은 필리핀 해 해전에서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이라고 명명된 대규모 공중전의 승리를 통해 일본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재기 불능에 빠트렸고, 일본 본토로 안전하게 폭격기를 날려 보낼 수 있는 교두보를 찾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의 전략에서 체스터 니미츠 제독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의견 차이가 발생하였다. 맥아더는 필리핀과 오키나와를 함락한 이후 일본 본토로 진공할 것을 주장하였고, 니미츠는 필리핀에 대해서는 신경을 끄고 타이완 섬과 오키나와를 점령하고 일본 본토로 진공할 것을 주장하였다. 니미츠의 경우에는 이미 본토와 연결이 끊긴, 필리핀을 포함한 남서태평양 해역의 잔존 일본군은 쉽사리 괴멸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고, 맥아더의 경우에는 필리핀을 탈환해야 거대한 일본군 기지가 뒤에 남아서 배후를 위협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동남아 루트를 확실하게 끊을 수 있다고 보았다.[4] 그러나 두 장성의 전략 계획에는 모두 펠렐리우 침공이 포함되어 있긴 했다. 다만 이유가 달랐을 뿐이지만. 이에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진주만을 방문하여 두 장성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 본 후 맥아더의 전략을 채택하였다.

펠렐리우 침공의 주력은 미 해병 제1사단으로 선택되었고, 파부부에서 재정비를 하고 있던 해병 제1사단은 1944년 9월 초 펠렐리우로 출발한다.

3 양측의 대비

3.1 일본군

펠렐리우 섬을 수비하고 있던 일본군의 주력은 제14보병사단으로 약 1만 1,000여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이 인원 중에는 한국과 오키나와에서 강제 징집된 징용 노동자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일본군의 방어 전략을 총지휘한 것은 14사단 2연대장 나카가와 쿠니오 대좌였다. 그는 이전의 일본군의 섬 방어 전략의 실패를 잘 숙지하고 있었고, 그의 방어 대책 때문에 미군은 많은 출혈을 강요당해야 했다.

당시 쿠니오 대좌는 솔로몬 제도, 마리아나 군도, 마셜 제도의 섬들을 잇따라 잃게 된 원인을 분석하여 섬의 방어 전략을 바꾸게 된다. 그는 해변가에서부터 방어 진지를 구축하여 미군을 막는 행위는 미군 전함의 함포에 콩가루가 되는 것을 자처하는 행위임을 직시하고, 모든 시설을 지하화하고 철저히 요새화시켰다.[5] 모든 일본군은 지하에 굴을 파고 엄폐하였다가 미군이 등을 보이거나 하는 취약한 순간에 공격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게다가 쿠니오 대좌는 반자이 어택 역시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전혀 쓸모 없는 행위로 보고 반자이 어택을 지시하지 않았다.

또한 그는 '피투성이 코 능선'[6]에 올라, 미군의 섬 내 모든 움직임을 훤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곳에 자리를 잡았다. 이때쯤 일본군의 섬 요새화 작업은 거의 완료되어, 일본군의 거의 모든 동굴과 벙커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으로 연결되었다. 그리고 상륙을 방해하기 위해 해변가에 장애물을 잔뜩 깔아 놓는 것도 잊지 않았다.

3.2 미군

그러나 일본군이 태평양 전쟁 시기의 일반적인 일본군답지 않게 이렇게 철저한 방어 준비를 하는 동안 미군은 상당히 안이한 대처를 하였는데, 심지어 타라와 전투에서 많은 피를 보고도 일본군의 새로운 방어 태세에 대해 전략을 바꾸지 않았다. 미 해병대 고급 장교들은 전투가 2~3일 이내로 끝날 것이라고 보았고, 대체 언제 그렇게 빨리 끝난 전투가 있었다고 근데 위에 나온 타라와 전투도 4일만에 끝났는데? 철갑탄으로 해안을 콩가루로 만든 뒤 항공기로 포격을 가하면 모든 것이 끝날 것이라고 오판하고 있었다. 미군은 해병 제1사단에서 17,490명을, 육군 제81사단에서 10,994명 등 약 3만명을 펠렐리우에 파견하였다.

4 경과

4.1 상륙

파일:Attachment/Peleliu map 1.jpg

1944년 9월 15일 오전 8시 32분, 해병 제1사단은 섬의 남서쪽 해변, 즉 지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비행장과 가장 가까운 해변에 상륙하였다. 1연대가 해변의 북쪽, 5연대와 7연대가 각각 해변의 중앙부와 남쪽을 담당하였다.[7] 그러나 요새화된 벙커와 동굴에 숨어 있던 일본군들은 20mm 기관포와 47mm 포를 동원하여 상륙하려는 해병대를 거세게 저지했고, 상륙 개시 후 1시간만에 거의 60대 가량의 상륙주정을 파괴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때 유명한 해병대 지휘관 체스티 풀러 중령 역시 타고 가던 LVT가 박살나서 거의 죽을 뻔 했다고 한다.

다행히 해변 중앙부에 상륙한 5연대는 상대적으로 적은 피해를 입고 가장 멀리까지 전진하였다. 그들이 비행장으로 막 진입하려는 찰나, 일본군의 전차와 보병들이 갑작스레 반격을 가해 왔으나 곧이어 상륙한 미군의 전차가 비행장 남단에 돌입하여 일본군을 금세 뭉개 놓았고, 5연대는 비행장 공격을 준비한다. 공격 개시 첫날에 미군은 고작 3.2 km를 전진하는 데 그쳤으며, 1연대의 경우 일본군의 반격에 고생하다가 거의 전진하지 못하였다. 첫날 미 해병대의 사상자는 전사 200여 명에 부상 900여 명에 달하였다. 첫날부터 전력의 10% 가량을 손실한 것이다.

4.2 비행장 공격과 100고지 혈전

첫날 상륙에 어쨌든 성공한 미군은 전열을 정비한 후 다음날 일제히 펠렐리우 비행장으로 돌격한다. 그러나 펠렐리우 비행장은 엄폐물도 거의 없는 넓은 개활지였고, 미군은 일본군의 집중 포화를 고스란히 뒤집어 쓰면서 전진해야 했다.[8] 미군식 반자이 많은 피해를 입은 후 미 해병대는 겨우 비행장을 점령하였으며, 잔존 일본군 병력을 산으로 몰아낸 뒤 섬의 동쪽 끝까지 빠르게 전진하였다. 섬 남쪽의 일본군 수비대는 7연대 병력에 의하여 괴멸되었다.

그러나 미군의 피해도 급증하고 있었는데, 섭씨 46도까지 올라가는 기온에 열사병으로 쓰러지는 병사들이 속출하였으며, 식수도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5연대와 7연대는 섬 남쪽과 동쪽을 제패하는 임무를 일단은 완수하였으며, 이제 1연대의 섬 북쪽으로의 진출만이 남아 있었다. 미군은 상륙 사흘째부터 비행장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F4U 콜세어를 띄워 일본군이 짱박힌 피투성이 코 능선에 네이팜탄을 비롯한 대규모 공격을 개시하였다.

한편 체스티 풀러 중령은 섬 남쪽이 대부분 정리되자 1연대 3대대 K중대로 하여금 'The Point(100고지라고도 불린다)'를 점령하게끔 한다. K중대는 부족한 보급과 중화기의 화력 지원에도 불구하고[9] 고지를 함락하지만, 곧 일본군의 대규모 반격이 개시되었고, K중대는 고지에 고립된 채 무려 30시간 동안이나 일본군의 네 차례의 대규모 역습을 맞았다. 마지막에는 중대원들도 거의 다 죽고 탄약도 다 떨어져 대검과 돌덩어리를 집어 던지면서 싸웠다고 한다. 지원군이 도착하였을 때에는 K중대에서 멀쩡한 사람은 18명밖에 없었으며, 이 중대에서만 15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참사가 벌어지고 말았다.

4.3 피투성이 코 능선 전투

100고지를 함락한 이후 해병 제1연대는 피투성이 코 능선으로 진격한다. 이 피투성이 코 능선에 일본군의 주력이 주둔해 있었으며, 1연대는 거세게 공격하지만 모두 실패하고 엄청난 피해를 입는다. 공격 루트가 매우 좁은 길이었던 것도 한 원인이었고, 일본군이 너무 땅 속 깊숙히 짱박혀 있다 보니 함포나 네이팜 샤워도 별다른 효과가 없었던 것도 한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일본군 저격수들은 부상자가 생기면 일단 가만히 있다가 부상자를 실어 나르는 미군을 저격하여 피해자를 더욱 늘리기도 했다.[10]

게다가 미군이 피투성이 코 능선으로 접근하자 일본군은 드디어 반자이 어택을 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일반적인 반자이 어택과는 달리 땅굴 속에 잘 숨어 있다가 밤에 갑자기 튀어나와서 미군을 공격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미군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다. 혈전 끝에 해병 1연대 1대대의 손실률은 무려 71%에 달했다.[11] 해병 1연대 전체로는 3,000명 중 1,749명으로 약 60%의 손실을 입었다. 이에 미군은 육군 제81사단을 추가적으로 투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육군 321연대가 펠렐리우 섬의 서쪽 해변에 상륙하였고, 육군 321연대와 해병 5연대 및 7연대가 해병 1연대와 교대하여 한꺼번에 일본군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공격도 영 효과가 없어서 해병 5연대와 7연대도 거의 50%가까운 피해를 입고 전투를 지속하기 상당히 어려운 상태가 되자, 미군 사령부는 결국 해병 1사단 전체를 철수시키고 구역 자체를 육군 81사단이 담당토록 한다. 이에 육군 323연대가 추가적으로 섬에 상륙하고, 해병 제1사단은 파부부로 돌아간다. 육군 제81사단은 한 달여를 추가적으로 더 공격한 끝에야 일본군을 완전히 아작낼 수 있었고, 일본군은 지휘관인 나카가와 쿠니오 대좌가 할복 자살하고 잔존 병력은 반자이 어택 끝에 전멸한다. 이어 1944년 12월 27일, 미 육군 제81사단 323연대가 일본군 최후의 거점을 함락하고, 펠렐리우에서의 일본군의 조직적인 저항이 모두 끝났음을 알렸다.

석 달 간의 혈전 끝에 펠렐리우 전투가 끝난 것이다.

5 결과

미군의 피해는 아래와 같다.

  • 해병 제1사단: 전사 1,252명 | 부상 및 실종 5,274명
  • 육군 제81사단: 전사 542명 | 부상 및 실종 2,736명

일본군의 피해는 아래와 같다.

  • 일본군 제14사단: 전사 10,695명 | 포로 202명

미군의 피해는 상륙 당일과 피투성이 코 능선 전투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였다. 미군 전체의 피해는 거의 10,000여 명에 달해, 일본군과 크게 나을 것 없는 수준이었고, 이는 어떻게 보면 그 참혹하였다는 이오지마 전투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미군이 흘린 피에 비해 섬의 전략적 가치는 너무나 미미하였고, 곧이은 필리핀 탈환전에서 일본군은 쪽도 못 쓰고 필리핀을 쉽게 내줘버린 덕분에 결국 이 섬은 방치되고 말았다.

게다가 작전이 금방 끝날 것으로 다들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종군기자들 역시 6명 정도밖에 오지 않았고, 뒤이은 이오지마 전투에서도 어마어마한 지옥도가 펼쳐진 데다가 오키나와 전투의 포스 역시 참혹하기로는 뒤지지 않았기 때문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비운의 전투가 되고 말았다. 한편 펠렐리우 섬에 일본군이 워낙에 동굴을 잘 구축해 놓은 바람에 전쟁이 끝나고 난 후에도 한참 동안 일본군 등이 숨어 있기도 했는데, 1950년에 펠렐리우 섬 북쪽의 엔게스부스 섬에서 일본군 한 명이 발견되어 송환되기도 했고, 1955년에는 일본해군설영대 소속의 강제징용 노동자로 끌려와 있었던 한국인 한 명이 민가에서 식량을 훔쳐 먹다가 붙잡혀(...) 송환되기도 했다.

6 관련 항목

  1. 체스 용어로 킹이 체크 상태에 있지 않음에도 아예 움직일 수가 없는 교착 상태를 말한다.
  2. 물론 일본군은 태평양 전쟁에서의 그들의 운명이 그렇듯 몰살당했다.
  3. 정치적으로 필리핀이 상당히 중요했던 더글러스 맥아더의 입김이 많이 작용하였다고 한다.
  4. 필리핀 탈환전 항목에도 나오지만 전쟁 전 미국의 영역이고 친미 성향의 필리핀 탈환과 70년동안의 일본 식민지 통치로 이미 상당히 일본화가 진행되었던 대만 침공은 그 난이도가 크게 차이날 수밖에 없었던 요인도 있다. 더불어 대만은 중국 본토와 너무 붙어 있어서 거점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기도 했고. 아무튼 필리핀으로의 진공의 효과는 바로 왔는데 필리핀 상실시 연합함대의 작전 행동 능력이 사실상 끝장난다는 것을 인식한 일본 해군이 보유 전함을 총동원하여 미군에 한타 싸움을 걸었던 것. 그것이 사상 최대의 해전으로 호칭되는 레이테 만 해전.
  5. 이 전략은 이오지마 전투를 총지휘하던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중장이 시작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사실 시작은 펠렐리우부터였다.
  6. 이는 후일 미군이 붙인 이름이다. 이 능선에서 미군이 상당히 많은 피를 흘렸음을 짐작할 수 있는 이름.
  7. 더 퍼시픽 5화에서 잘 묘사되는 장면이다.
  8. 더 퍼시픽 6화에 잘 묘사되어 있다.
  9. K중대는 상륙 당시 기관총의 상당수를 잃어버렸다.
  10. 다만 이런 전술(?)은 이미 서부전선에서도 저격수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다.
  11. 71%의 인원이 모두 전사하였다는 것이 아니라 부상자/실종자 포함이다. 그래도 흠좀무한 것은 어쩔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