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의 등급 | |||||
기능사보 |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 | 기능장 | 기술사 |
기초사무 및 전문사무 |
技能長
Master Craftsman
국가기술자격의 최상위 등급 중 하나. 총 27종류(산업인력공단 26, 방송통신전파진흥원 1)의 자격이 있다.
본디 기술자격체계가
기능직렬 | |
기술직렬 | 산업기사→기사→기술사 |
이렇게 나뉜다고 하나 전기, 가스, 용접 등의 경우에는 기능장과 기술사가 둘 다 있다. 이 경우에는 기술사가 기능장보다 상위 등급이다. 직렬에 따라 기술사보다는 기능장쪽이 현장의 꽃으로 꼽히는 경우도 있다. 워낙 기술사를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무튼 응시자격은
- 산업기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 5년 경력[3]
- 기능사 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 7년 경력
- 동일직무분야 9년 경력
- 한국폴리텍대학의 해당 분야 기능장 과정을 이수한 자[4]
가장 빠르게 응시자격을 총족하는 방법은 2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하면서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후 1년의 실무경력을 쌓은 후 한국폴리텍대학 1년제 기능장 과정을 이수한다.
시험은 기능사와 마찬가지로 필기와 실기로 나뉘는데, 필기와 실기 모두 커트라인은 60점이다. 기능사와 같이 필기시험에서 과락이 적용되지 않는다.[5] 실기시험은 기능사처럼 작업형으로 치르는 경우가 많다. 필기 시험 자체는 크게 어려운편은 아니다.[6] 문제는 기능장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실기 시험인데, 동작만 되면 합격인 기능사와는 달리 동작은 물론 작업상태가 모두 만족해야한다. 즉 기능사 기준으로는 만점인 수준이 기능장에서는 거의 간당간당한 커트라인 수준. 기능사 실기와는 다른 게 추가되기도 한다.[7] 당연하겠지만 실기 문제의 난이도는 기능사 수준이 아니라 기능장이라는것도 명심해야 한다.- ↑ 1999년 3월 28일 폐지된 등급이다.
- ↑ 1999년 3월 28일부터 기사 2급과 기능사 1급이 산업기사로 통합되었다. 그래서 산업기사가 기능직렬과 기술직렬에 모두 존재한다.
- ↑ 기사나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경우도 별도 인정 없이 산업기사를 취득한 경우와 동일함.
- ↑ 기능장 지원자격은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1년이상,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3년이상, 동일직무분야 9년이상 경력자이다.
- ↑ 1999년 국가기술자격 체계 개정 전까지 기능장을 기능사의 한 등급으로 취급하여 과락을 적용시키지 않은 게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데, 이 때문에 기능장과 기능사 사이에 산업기사가 끼어 있는 기능직렬 국가기술자격의 경우 기능사 필기에서 과락이 없었다가 산업기사 필기에서 과락이 생겼는데 그보다 더 상위인 기능장 필기에서 과락이 다시 없어지는 괴랄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 ↑ 기능사보다는 어렵겠지만 기사나 기술사 수준까지는 아니다. 비슷하거나 더 낮은 정도. 대략 산업기사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 ↑ 예를 들어 전기기능사는 제어판과 배관작업 정도만 하면 되지만 전기기능장은 제어판에 PLC, PCB회로가 추가된다. 이외에도 3로 스위치 등 여러가지가 추가되며 아예 전기기능장 실기를 따로 배워야 치를 수 있다. 조리기능사의 경우 2개의 과제만 작업, 제출하면 되던 시험이 조리기능장에서는 9~10개로 늘어나며, 우육·계육·돈육·명태, 끽해야 복어 정도나 작업대에 올라오던 기능사 때와는 달리, 시험장에 들어갔더니 웬 자라 님이 작업대에 떡하니 올라앉아 당신과 눈빛 교환을 하고 있는(...) 식으로 개별 과제의 난도 역시 수직상승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