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현(선덕여왕)

선덕여왕의 인물. 모래시계 때 전설의 악역 연기[1]를 선보였던 정성모가 연기하고 있다.
금관가야 왕족 후손인 가야파인데, 왕실의 결사 반대에도 불구하고 만명부인결혼했기 때문에, 초반부엔 신분이 붕 떠버린 아내와 더불어 만노군에서 잠수하고 있었다. 그 때, 만노군 근처에서 사라진 천명공주 수색에 함께 하다 김유신이 천명공주를 친히(?) 모셔오는 관계로 김유신의 용화향도가 올라가는 것과 동시에 자신도 서라벌에 묻어 갔다...

사실 백제와의 싸움에서도 김서현의 비중은 낮은 편이었다. 오죽하면 설원이 백제와의 싸움 때 미끼로 이용해서 사지에 꼼짝없이 갇혔을 정도다. 그럼에도 운이 좋았는지 또 아들 덕을 봤는지[2] 백제와의 전투에서 무사히 살아 돌아왔고 때마침 천명공주의 약조가 효력을 발휘해서 둘 다 진골귀족으로 신분이 회복된다.

이로써, 김서현은 가아퍄로 왕실 동네북이었던 왕실파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게 됐다. 그러나 가야파라는 자신의 신분이 족쇄가 돼서 행동이 소심할 정도로 몸을 사리는 경향이 많았다. 미실의 월식계책으로 가야 유민들이 죄다 서라벌에서 쫓겨났을 때 그는 자신의 위치 때문에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었고, 을제가 가야파란 자신의신분을 노골적으로 협박을 하는 통에 덕만을 죽이러 가는데 협조하다 또 이 사실을 알고 천명공주가 열받아 '내가 가야파 못 쫓아낼 줄 아니?'로 또 협박을 해서 방향선회해서 덕만 찾는 걸로 선회하는 등 그 신분에 대한 유지 때문에 갈팡질팡 줏대없는 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결국, 가야 지하 유민세력인 '복야회'에게 협박편지까지 받게 되고, 그래서 차였음에도 정신 못 차리고 덕만을 따르겠다는 김유신에게 가야파로써 가문의 존립도 생각하라고 꾸짖기도 한다. 그러나, 또 역시 복야회를 동맹으로 만들고 덕만과 함께 일식 계책 미션을 성공리에 마친 아들 덕택에 이 즈음 해고당한 을제의 빈자리를 메꾸고 김용춘화백회의에서 발언권을 가지게 되는 수혜(?)를 얻게 된다.

사실상 드라마 전개동안 자기가 직접 이룬 것 보다는 아들인 김유신이 고생해서 얻은 혜택으로 어부지리하는 경향이 크다. 그런데, 정작 아버지가 김유신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거의 없는데, 이는 김유신의 풍월주 청문회 때, 덕만을 추적하던 때부터 꽤 오랫동안 미실의 첩자로 활동하던 자기 수하를 여태 파악 못하다 가야유민에게 지급한 땅문서를 뒤치기 당해 아들 앞길을 잠시나마 험한 길로 만드는 경우까지 있었다.

그 후론, 화백회의에서 불리한 쪽수 속에서도 할말은 하는 모습은 보이지만, 김유신과 덕만 심지어는 만명부인에게도 밀린 듯한 안타까운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미실의 군사정변의 초반부인 화백회의 떡밥에 김용춘과 제대로 낚였다. 미실의 군사정변 내내 고문만 실컷 받다 덕만의 역습으로 풀려 나와서 서라벌을 빠져 나가려는 미실파를 방어하려 하나, 털렸다;;.

52회에선 드디어 병부령이 되나, 몇 년 지난 사이에 병부령 자리도 유신에게 내려가고 자신은 그저 그런 노신이 된 듯. 심지어 아들이 양아들 월야 때문에 친아들 김유신이 덤탱이로 역적될 판국인데도 병부령 자리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있다. 아들이 귀양 간 순간에도 어찌됐건 병부령 자리는 유지하고 있다.

아들내미가 일 처리를 너무 못 해 준 덕택에 대야성도 썰리고 모든 시청자들을 경악에 몰고간 백제의 CG(...) 벽력거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첫번째 루저로 등극했다... 우째, 이 분은 싸우는 족족 루저만 되는 듯...

그리고 결국, 마지막회까지 아들하고 같이 루저가 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서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덕분에 정성모씨는 모래시계 방영 당시 대중목욕탕에서 일반 시민에게 대놓고 욕을 먹은 적도 있었다고 한다. 덕분에 모래시계 이후 그가 악역을 맡는 경우는 별로 없다. 장희빈에서 악역으로 희빈의 오빠 장희재를 연기한적은 있어도 이 배역이 반쯤은 개그 캐릭터에 가까워서...(...)
  2. 드라마 상에선 김서현은 공성전을 제외하면 어딘가 짱박히다 무사귀환한 케이스였다. 즉, 고생은 아들과 용화향도가 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