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호 침몰사고

(남영호 침몰 사고에서 넘어옴)
해상사고 요약도
발생일1970년 12월 15일
발생시각새벽 1시 15분
유형운항 중 침몰
발생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남동쪽 35km 지점의 해상
탑승인원338명
사망326명
구조12명
기종크루즈 여객선

1 개요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해상참사 중 ,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최악의 해상 참사 [1]

남영호 침몰사고는 1970년 12월 14일 17시경 제주도 남제주군 서귀읍(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항에서 출항한 부산~제주를 잇는 정기 페리인 남영호가 다음날인 12월 15일 침몰해 326명의 사망자를 낸 사고로 대한민국의 해상 참사 사망자 수 1위이자[2] 육해공 통틀어서는 사망자 수가 두번째로 많은 참사다. [3]

긴급구조신호(SOS)를 타전했으나 해상 부근의 어느 무선국에서도 포착하지 못하는 등[4] 사고 후 대처에 무능한 모습을 보였으며 정해진 적재량을 크게 초과하는 안전부주의와 이를 단속해야 할 경찰과 해운당국의 감독 소홀 등으로 인한 전형적인 인재(人災)였다.

400px
경향신문에 실린 남영호 사진.[5]
신문기사 1 신문기사 2

남영호(南榮號)는 중량 362톤, 길이 43m, 폭 7.2m, 시속 15노트, 최대 정원이 321명, 최대 화물 적재량이 130톤인 철선으로 남영상사(대표 서몽득)가 경남조선에서 건조하였다. 1968년 3월 5일 서귀포~성산포~부산간 노선을 첫 취항하였고 매달 10회씩 정기적으로 왕복 운항하던 정기 여객선이었다.

여객선이 대형화·현대화되기 전까지 기상 조건이 나쁜 제주와 타 지역 육지간 해역에서의 사고가 잇달아 발생했다. 이에 1952년에 교통부는 해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1953년 1월 전체 여객선을 대상으로 일체 임시 선박검사를 실시하고 같은 해 3월 15일부터는 야간 운항을 금지시키는 한편 제주항에 선박 임검소를 설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귀포 관련 항로에서 크고 작은 해상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1966년 11월 13일 서귀포~부산 간 부정기 여객선 해연호의 침몰사고, 1975년 2월 6일 한성해운 소속 서귀포~부산 간 정기 여객선 덕남호의 침몰사고, 그리고 1970년 12월 15일에 발생한 대형 해상사고로서 서귀포~부산 간 정기여객선 남영호 침몰 사건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2 사고 원인

남영호는 1970년 12월 14일 오후 5시경 제주 서귀항에서 승객과 선원 210명과 함께 연말 성수기 판매를 위한 감귤을 싣고 출항한 이후 제주 성산항에서 승객 128명과 화물을 추가로 싣고 14일 밤 8시 10분경 부산항을 향해 출항했다.

선박회사 측은 3개의 화물창고가 모두 감귤 상자[6]로 채워지자 선적이 금지된 앞 화물창고 덮개 위에 감귤 400여 상자를 더 쌓았고 중간 갑판 위에도 감귤 500여 상자를 더 실어 서귀항을 출항할 때부터 이미 선체의 중심이 15도쯤 기울어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상태임에도 성산항에 도착해서 다시 승객과 화물을 더 실었다. 당시 남영호는 정원이 321명(물론 선원까지 포함해서)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승객 318명과 선원 20명 등 338명을 태워 정원을 초과한 상태였다. 거기에다 화물은 무려 540톤이나 실어서 적재 허용량을 4배 이상 초과한 상태였다.

이후 남영호는 성산항을 떠난 지 5시간 25분이 지난 15일 새벽 1시 15분, 전남 여수에서 동남(東南)쪽으로 28마일(약 52km) 떨어진 해상에 이르렀을 때 갑자히 심한 바람이 남영호의 우현 선체에 몰아치더니 갑판 위에 쌓아놓은 감귤 상자가 좌현 방향으로 쏟아졌다. 이 순간에 중심을 잃은 선체가 좌현으로 넘어가며 침몰하기 시작했다.
조난 신호를 받은 일본 순시선 구시까끼가 일본 어선과 함께 생존자를 구조하였으며, 동시에 큐슈의 해상보안청을 통해 한국 해경에게 사고 소식을 알렸으나 무시당했다. 한국 해경이 현장에 도착한 것은 오후 1시 50분경이었다. 총 12명이 구조되었으며 가라앉은 선체는 당시 기술로는 인양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972년 대법원 재판 결과 선장에겐 2년 6개월의 금고형이, 선주에겐 금고 6개월 및 벌금 3만원의 형이 확정되었다.

사건당시 중앙일보와 인터뷰한 남영호 전 선장인 강삼정은 이전부터 이런 화물초과에 대하여 부정적이었더니만 날 해고시켰다면서 결국 사건이 터질 지 알았다고 말한 바 있다. [1]

세월호 참사 이후 시사in에서 남영호 침몰 사고와 세월호 참사를 비교하는 특집 기사를 실었다. [2]

2002년 세네갈에서 터진 르 줄라호 침몰사고로 이 사건이랑 화물 과적으로 인한 원인을 생각하면 똑같다.

3 후일담

서귀포시 소정방폭포 부근에 위치한 작가의 산책길에는 남영호 사고 희생자들을 위한 위령비가 건립되었다. 남영호 사고 이후 현재까지 서귀포여객선터미널은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채 방치되고 있다.
  1. 전체 사고기록중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사고는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이다. 삼풍백화점은 사망자만 502명에 달했다.
  2.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대형 사망 사고인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났지만 시간이 오래 흐르다 보니 사람들에게서 거의 잊혀진 사고이다.
  3. 1위는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4. sos를 포착한 것은 일본의 선박 구사카키호였다. 구사카키호는 이를 한국에 알렸으나 무시당했다...
  5. 남영호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아 제대로 된 사진은 과거 신문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6. 당시 풍랑으로 인해 한동안 배의 운항이 중지됐다가 풀린 상황이었기 때문에 선적이 밀린 화물이 쌓여 있어 이걸 무리하게 실은 것이었다. 참고로 당시의 감귤 상자는 지금의 골판지 상자가 아니라 나무 궤짝이었기 때문에 생존자들 가운데 몇몇은 이 감귤 상자를 붙잡고 떠 있다가 구조될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