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세코이/애니메이션

< 니세코이(니세코이:에서 넘어옴)

1 1기

파일:Attachment/Nisekoi TVA.jpg
공식 홈페이지
2014년 1월 방영. 20화 완결.[1]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했다. 관련 뉴스

제작사가 샤프트인만큼 신보 아키유키감독. 정확히는 감독은 타츠와 나오유키이고 신보는 총감독이다.[2]

성우진에서는 꽤나 모험을 하고 있는 느낌이 있어 신보가 주로 기용하는 성우들은 하나자와 카나아스미 카나, 코야스 타케히토 정도. 하지만 OP는 ClariS가 담당하였다.

원작의 화풍을 잘 살려낸 수려한 작화가 상당히 호평. 이야기 시리즈전파녀와 청춘남에서 보여줬던 예쁘고 깔끔한 작화에다가, 이번에는 자금이 꽤나 들어갔는지 샤프트 전통의작화 붕괴나 정지화면도 없이 안정적으로 화려한 화면을 뽑아내고 있다. 다만 그 반동으로 동시기의 메카쿠시티 액터즈의 작화력을 대폭 빨아먹으며 퀄리티를 낮추는 원흉이 되는중(...).[3]

다만 작품과 어울리지 않는 이야기 시리즈 같은 샤프트 느낌이 거슬린다는 평이 적잖게 있는 편. 1화는 정말 샤프트의 색이 진했지만 이후부터는 그럭저럭 상대적으로 러브 코미디에 맞는 연출이 주가 되고 있다. 단, 어디까지나 다른 샤프트 애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런 연출을 덜 썼다는 것이지, 샤프트 특유의 색채 자체는 제작진에서 포기하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시청자들이 샤프트특유의 호불호 극강의 연출에 익숙해지면서(...) 연출에 가려졌던 압도적인 캐릭터 작화력으로 호평을 얻고 있다. 마리카가 등장할 때 쯤엔 다들 익숙해졌는지 샤프트풍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어졌다. 그간 불만을 토로하던 사람들이 아예 시청을 접어버린 탓도 있다

원작 113.5화에서 애니메이션 광고를 해주기도 했다. 원작자도 샤프트풍 연출이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는 듯. 원작자가 디스했다는 것은 사실무근으로 애시당초 샤프트x신보 감독의 오퍼를 수락한 것도 원작자이며 애니화 발표 당시 신보 감독의 기용을 매우 기뻐했다.

호불호가 갈리긴 해도 원작 인지도와 깔끔한 작화 때문인지 6월 15일 기준 BD/DVD 1권 판매량은 6,022장으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지옥같은 판매량을 보여주는 1분기에서 선방했고 2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중. 그러나 TV판에서 비판받은 자기네식 연출로 다시 BD 작화를 수정하고 애꿎은 배경을 삭제하는건 둘째치고 온천씬에서 수증기 모자이크를 줄이기는 커녕 오히려 더 추가하는 이해 불가능의 연출센스를 보여주며 대체 BD 팔아먹을 생각이 있는거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패키지가 참 요상한 형태로 나와서 보관하기 불편하다며 악평을 듣는 중. 하지만 오노데라의 엉덩이에 있는 수증기는 없어진다 또 BD 11화에서 라쿠가 치토게에게 고릴라인형을 전해주는 장면에서 소란스러운 씬을 정지 배경 하나로 대체해버리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가 또 생겨버렸다. 게다가 받은 뒤 웃는장면의 작붕은 그대로였다

2014년 10월 3일에 발매되는 코믹스 단행본 14권에 25분 분량의 OVA가 포함될 예정이라고 한다. OVA화 되는 부분은 원작 58화와 64화. 또한 2015년 2월 4일에 발매되는 코믹스 단행본 16권에도 25분 분량의 OVA가 포함될 예정이다. OVA화 되는 부분은 원작 65화와 71화.

우연의 일치겠지만, 열쇠를 가지고 있는 3명의 성우 모두 타 만화잡지다른 러브 코미디 만화주인공와 인연이 있던 으로도 캐스팅된 적이 있었다.
논논비요리하고도 겹친다.(...)

2 2기

2014년 10월 01일, 2기 제작이 확정되었다!

2기의 제목은 니세코이:(ニセコイ:)이며, 2015년 2분기 방영되었다.

5b593b970bff77bd5e459017b8a202bc1426525140_full.jpg

2기 오프닝의 퀄리티가 노래면에서나 연출면에서나 호평. 오프닝도 오프닝이지만 엔딩도 상당히 힘을 쓴 듯하다. 정확히 말하면 해당 에피소드의 내용에 어울리는 엔딩을 넣은 거지만 그렇다 쳐도 엔딩이 좀 많은 편. 12화 동안 다른 엔딩이 7개 나온다. 2화의 츠구미, 4화의 치토게, 5화의 마리카, 7화의 하루, 10화의 루리, 11화의 오노데라가 각각 엔딩을 하나씩 부르고 모두 해당 에피소드의 메인 히로인이다.

2기 1~2화까지만 해도 작화와 연출이 상당히 좋았던데다 작붕이 거의 없어서[4] 이때만 해도 샤프트 특유의 냄비근성은 나오지 않을거 같았으나, 그 이후부터 샤프트답게 눈에 띄게 작붕이 심해졌다.[5] 특히 키리사키 치토게의 어머니인 키리사키 하나가 나왔던 크리스마스 편에서는 그야말로 작붕의 절정에 이르러서, 어머님한테 작화력 올인했냐는 얘기까지 나왔다.
물론 9화 전까지는 크리스마스 편이 작붕의 정점이었으나, 9화에서 작화가 완전히 박살났다. 크리스마스 편에서는 클로즈업 장면은 괜찮았으나 9화에서는 클로즈업 장면임에도 작붕이 일어나는 충공깽을 선사하셨다.
이후로도 자잘하고 지속적으로 작붕이 유지중. 그나마 클로즈업 장면은 조금 괜찮지만, 약간만 시점이 뒤로 이동하면 사정없이 망가진다. 1기에서는 좀 그려지던 엑스트라들이 2기 들어서는 폐쇄공간 드립을 들을 정도로 안 그려지고 있다.근데 사실 이렇게 말해주기 전까지 몰랐다... 덕력이 부족한건가 충만한건가 오노데라 밖에는 보이지 않았겠지..

2기가 20화였던 1기에 비해 줄어든 12화로 종료되었다. 전체적인 평은 실망스러웠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1기가 흥행했다보니 2기를 기대하고 있었던 팬들에게 있어서는 당연한셈. 거의 한 화에 한개씩 나오는 작붕에 12화로 줄어들어 원작의 내용을 충실히 담아내지 못했다. 1기에서 보여주었던 히로인들의 개인 에피소드들 또한 미흡한 편이며 새로운 히로인으로 등장한 오노데라 하루는 등장이 초반에 임팩트 자체는 강했으나 갈수록 줄어드는 비중에 새로운 히로인이라 하기에는 부족하다.마지막화도 치토게가 낚아채갔다.

키비주얼과 오프닝 연출에서 대놓고 진히로인 포스를 보이면서 이번분기의 신데렐라가 될것으로 기대를 모으던 오노데라 하루는 결과적으로 작붕과 연출, 캐스팅 논란본편을 애니화 하지않고 ova급 단편들을 중간에 끼워넣어 흐름을 다 끊는 편성 등 이해할 수 없는 제작방식 끝에 몇번 나오지도 못하고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는데, 2기 스토리의 핵심은 하루인지라 이게 다 끊겨버렸으니 결국 좋은 캐릭터를 만들고도 제대로 써먹지도 못하고 흘려보낸 샤프트의 안일한 제작방식으로 하루뿐만 아니라 니세코이 2기 전체가 망하게 되었고, ova 모음집이라는 평가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원작을 안보고 애니만 봤을때 스토리가 약간 이상하다. 원작에서는 하루가 자물쇠를 갖고 있다는 것을 라쿠가 알게되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애니에서는 이 에피소드가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이 후에 9화에서는 하루가 자물쇠를 갖고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것처럼 말한다.[6]

사실 하루는 2기로 방영된 내용 에서 나오는 나츠마츠리편을 통해서 이치죠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히로인으로서 거듭나게 되는 캐릭터인데, 이게 안나왔으니.... 3기를 기다리자

3 3기 가능성

애니메이션 2기가 아쉽게 끝나자 사람들은 3기를 희망하며 동시에 걱정하기 시작했다.
2기 OP에서 라쿠가 자전거 기어를 1단에서 2단으로 바꾸는데, 이게 '1기가 끝나고 2기가 시작됐음을 알리고, 기어가 3단까지 있는걸로 보아 3기가 제작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떡밥이라는 의견이 있다. 과연 3기 타이틀은 '니세코이::'가 될 것인가 아니지 니세코이:) 이다 니세코이:( 일수도일단 애니메이션은 작화도 연출도 말아먹고 1기때 BD의 횡포를 보여줬는데도 그런 논란들에 비하면 5천장 쯤으로 저조하다 라고 할 수준은 아닐 정도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캐릭터가 먹여살리고 있는거야

때문에 3기 제작 가능성에 관한 의견이 갈린다.
3기가 제작되어야 한다는 쪽은 2기의 퀄리티는 어쩔 수 없었다는 의견, 니세코이 자체가 러브코미디이기에 긴 에피소드를 진행하지 못하는게 당연하다. 하지만 인기가 많아져 쉽게 못 끝내는 상황이 된 것 이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기 위해 만든 캐릭터가 오노데라 하루, 카나쿠라 유이이다. 그리고 OVA 4화에서 카나쿠라 유이가 나왔다.

때문에 2기는 그냥 원작 분량 진행을 위해 대충 때웠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애니메이션,적어도 TVA는 제작사가 제대로 만들자고 한건데 샤프트가 언제나 그렇듯 무리한 일정으로 2기의 상태가 악화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1기의 판매량 5천장은 동분기 작품들의 판매량이 저조한 상황이었지만 2기는 해당 분기의 애니메이션들의 판매량이 1기때와는 전혀 상황이 다르다. 그 중에서 오히려 부진한 수준이었으며 때문에 적어도 TVA는 더이상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사실 애니 제작을 굳이 샤프트가 또 다시 맡아서 해야 한다는 법도 없다.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바뀌어서 나오는건 타작품들에서도 흔한 경우라 가능성 역시 있다. 몇몇 팬들은 여차 한 김에 2기부터 다시 만들라는 아우성도 친다(...)

그러나 원작 만화 결말의 평이 안 좋아 3기가 나올 가능성이 많이 낮아졌다.

4 엔드 카드

5 아이캐치

6 에피소드 목록

제목인 니세코이가 한자(偽恋)가 아닌 가타카나(ニセコイ)로 쓰인 것에 맞춰 화수 제목은 모두 가타카나로 쓰고 4글자로 구성되어있는게 특징.

1기
화수부제 (번역)원작 화
01화ヤクソク(약속)제 1화
02화ソウグウ(조우)제 2화 - 제 4화
03화ニタモノ(닮은 꼴)제 5화, 제 6화
04화ホウモン(방문)제 8화, 제 9화
05화スイエイ(수영)제 10화, 제 11화
06화カシカリ(보답)제 12화 - 제 14화
07화ライバル(라이벌)제 15화 - 제 17화
08화シアワセ(행복)제 18화, 제 20화, 제 21화
09화オンセン(온천)제 21화 - 제 23화
10화クジビキ(제비뽑기)제 24화, 제 25화
11화オイワイ(축하)제 27화, 제 28화
12화カクニン(확인)제 29화 - 제 31화
13화ホウカゴ(방과 후)제 31화, 제 32화
14화シュラバ(아수라장)제 33화 - 제 35화
15화サンボン(세 개)제 36화, 제 37화
16화タイフウ(태풍)제 38화, 제 39화
17화エンニチ(축제)제 42화, 제 43화
18화ウミベデ(해변에서)제 44화, 제 45화
19화エンゲキ(연극)제 46화 - 제 48화
20화ホンバン(본 공연)제 49화, 제 50화
OVA 1화フンシツ(분실)
ミコサン(무녀)
제 58화, 제 64화
OVA 2화ヘンボウ(변모)
オシゴト(아르바이트)
제 65화, 제 71화
OVA 3화セントウ(대중목욕탕)
サービス(서비스)
제 81화, 제 105.5화
2기
화수부제 (번역)원작 화
1화コレカラ(이제부터)
キズイテ(눈치채 줘)
제 51화, 제 57화
2화インネン(인연)
ショウブ(승부)
제 54화, 제 55화
3화ヒツヨウ(필요)제 59화, 제 60화
4화ハハオヤ(어머니)제 61화 - 제 63화
5화オシエテ(가르쳐줘)
ラクサマ(라쿠님)
제 56화, 제 104화
6화オイシイ(맛있어)제 67화 - 제 69화
7화イモウト(여동생)제 75화, 제 76화
8화ハタラケ(일일도우미)제 77화
9화オソウジ(청소)
オミマウ(병문안)
제 82화, 제 86화
10화オウエン(응원)제 83화 - 제 85화
11화ヤセタイ(살 빼고 싶어)
オハヨウ(좋은 아침)
제 93화, 제 98화
12화ソウサク(수색)
オタメシ(시험삼아)
제 100화, 제 106화
OVA 4화シンコン(신혼)니세코이 특별편(신혼)[7]

7 OST

니세코이/음반 문서 참조.

1기 1화부터 6화까지는 소니 뮤직 퍼블리싱 소속의 작편곡가인 치바 나오키(千葉“naotyu-”直樹)와 코우사키 사토루가 이끄는 작곡팀 MONACA에서 주로 애니메이션 OST를 담당하는 작곡가인 이시하마 카케루(石濱翔)가 음악 스태프로 참여하였다. 그 후부터는 오오쿠보 카오루와 마츠다 아키토(구 닉네임 虹音) 등이 소속된 POPholic의 작곡가 키쿠야 토모키(菊谷知樹)가 계속 담당하고 있다.

오프닝 테마는 1기에서는 ClariS를 프로듀싱하는 작곡가 겸 DJ인 kz가 2곡을 담당하였으며, 2기 오프닝 테마는 카게로우 프로젝트로 유명한 90년생 작곡가 진(자연의적P)가 담당하였다. 작화력을 빨아먹힌 애니의 원작자이기도 하다(...).

엔딩 테마의 경우, 스마일컴퍼니 소속의 와타나베 쇼(渡辺翔)가 모든 엔딩테마의 작사/작곡을 담당하고 있다. 2기 8화의 "マジカル☆スタイリング" 역시 와타나베 쇼의 곡. 그리고 각 곡의 편곡자는 동 회사의 다른 크리에이터인 마스다 타케시(増田武史), 와타나베 카즈노리(渡辺和紀), 마에구치 와타루(前口渉) 등이 공동작업자로 참여하였다.

1기 오프닝 테마 - 작사・작곡・편곡은 kz(livetune). 노래는 ClariS
「CLICK」(제2화 - 제14화、OVA14권)
「STEP」(제15화 - 제20화、OVA16권、OVA17권 )
1기 엔딩 테마 - 전곡 와타나베 쇼 작사・작곡
「Heart Pattern」(제2화 - 제7화、BD・DVD판제2화)
편곡 - 와타나베 카즈노리 / 노래 - 키리사키 치토게 (토야마 나오)
リカバーデコレーション」(제8화,제10화 - 제13화,BD・DVD판제3화 - 제5화)
편곡 - 모리야토 시노리 / 노래 - 오노데라 코사키 (하나자와 카나)
「TRICK BOX」(TV판제15화,제17화,BD・DVD판제6화 - 제8화)
편곡 - 쿠라우치 타츠야 / 노래 - 츠구미 세이시로 (코마츠 미카코)
「オーダー×オーダー」(BD・DVD판제9화 - 제11화)
편곡 - 마스다 타케시 / 노래 - 미야모토 루리 (우치야마 유미)
「はなごのみ」(TV판제18화 - 제19화,BD・DVD판제12화 - 제13화)
편곡 - 마에구치 와타루 / 노래 - 타치바나 마리카 (아스미 카나)
「想像ダイアリー」(TV판제20화,BD・DVD판제15화 - 제17화,제20화,OVA14권・16권)
편곡 - 시미즈 텟페이 / 노래 - 키리사키 치토게(토야마 나오), 오노데라 코사키(하나자와 카나), 츠구미 세이시로(코마츠 미카코), 타치바나 마리카(아스미 카나)
「大切の作り方」(BD・DVD판제18화 - 제19화,OVA17권)
편곡 - 마에다 타케시 / 노래 - 키리사키 치토게(토야마 나오), 오노데라 코사키(하나자와 카나)
2기 오프닝 테마
「Rally Go Round」(제1화 - 제7화)
작사 - LiSA、후루야 신 / 작곡 - 진/ 편곡 - akkin / 노래 - LiSA
「マジカル☆スタイリング」(제8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마에구치 와타루 / 노래 - 매지컬파티시에 코사키쨩(하나자와 카나)
2기 엔딩 테마 - 전 작사 작곡 와타나베 쇼
「曖昧ヘルツ」(제1화、제3화、제6화, 제8화, 제9화, 제12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시미즈 텟페이 / 노래 - 키리사키 치토게(토야마 나오), 오노데라 코사키(하나자와 카나), 츠구미 세이시로(코마츠 미카코), 타치바나 마리카(아스미 카나)
「TrIGgER」(제2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카와타 타카히로 / 노래 - 츠구미 세이시로(코마츠 미카코)
「Sleep zzz...」(제4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와타나베 카즈노리 / 노래 - 키리사키 치토게(토야마 나오)
「またどーらぶ」(제5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마스다 타케시 / 노래 - 타치바나 마리카(아스미 카나)
「marchen ticktack」(제7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오오쿠보 카오루 / 노래 - 오노데라 하루(사쿠라 아야네)
「通り雨drop」 (제10화)
작사・작곡 - 와타나베 쇼 / 편곡 - 쿠라우치 타츠야 / 노래 - 미야모토 루리(우치야마 유미)
「クレヨンカバー」 ( 제 11화 )
작사・작곡 - 와타바네 쇼 / 편곡 - 마에구치 와타루 / 노래 - 오노데라 코사키(하나자와 카나)

1기 때는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지 않아서 많은 팬들의 불만을 샀고, 이로 인해 팬들이 재현해서 유튜브에 올리거나 하기도 했다. 그러나 2기에는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 3개의 볼륨으로 나눠서 발매되었는데 이상하게도 1기 11화에서 오노데라 코사키와 이치죠 라쿠가 같이 비밀의 장소로 갈 때와 20화에서 둘이서만 로미오와 줄리엣 연극을 할 때 나오는 배경음악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위의 영상에서 5분 49초부터 7분 6초까지 나오는 음악이다.

8 관련 항목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니세코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왜 굳이 애매하게 20화로 끝냈냐 하면 원래 종영 후에 하나모노가타리를 5주간 방영하려고 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8월에 한번에 방영하는걸로 변경되었다. 스케줄 관리 못해서 자기네 밥줄도 제대로 못챙기는 샤프트를 욕합시다
  2. 스태프 정보가 막 공개됐을 당시에는 신보가 감독이었지만, 이후 총감독으로 직책이 변경되고 타츠와 나오유키가 감독이 됐다.
  3. 웃긴점은 그 욕을 엄청나게 먹은 메카쿠시티 액터즈가 판매량은 본작품보다 끝내줬다는것(...)샤프트는 땅을 치고 후회중이라 카더라. 솔직히 메카액은 BD에서 작화를 싹 고쳐놔서 BD를 살 수 밖에 없었다고
  4. 1화는 치토게가 메인, 2화는 츠구미가 메인이다. 특히 2화는 그야말로 여신강림이라며 츠구미 팬들이 잔치를 벌일 정도(...)
  5. 딱 봐도 맞지 않는 인체 비율이라던가, 씬마다 달라지는 얼굴 분위기라던가.
  6. 사실 7화 맨 마지막에서 '라쿠는 이 사실 (하루가 자물쇠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며칠 후에 깨닫게 된다' 라는 언급이 있긴 있다, 근데 딱 그거 한장
  7. 히로인 3명(오노데라,마리카,츠구미)이 라쿠랑 결혼한다면?이라는 if설정으로 만들어진 특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