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보

大字報대학교 자유게시판 보드가 아니다.

1 대학가의 선전, 알림, 광고 벽보

대학가의 벽에 크게 붙여서 정치적인 일이나 학교의 문제 등을 밝히는 벽보. 보통 전지로 공고하며 대학생들이 많이 사용한다. 보통 사람들은 대자보라고 하지만 활동가들은 그냥 '자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대자보란 단어의 유래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인 1950년대 중국 전역에서 여러 주체가 대중선전용으로 붙인 벽보다. 조직, 단체 내부에 돌리는 소식지 성명서 같은 걸 소자보라 불렀고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벽에 큰 글자로 붙이는 벽보를 대자보라 했다. 이 대자보는 격동의 중국 현대사와 함께 80년대 초중반까지 중국 전역에서 성행했다. 현대 중국의 영상 자료를 보다보면 농촌의 담벼락이나 대학내에 붙은 수많은 대자보를 발견하게 된다. 대자보의 중국어 '다즈바오'(Dazibao)는 꽤나 유명해져서 심지어 영어에서도 일반명사화되기까지 했다. 아울러 중국 대자보 속 독특한 한자 글꼴은 같은 시기 일본의 좌익 학생운동권에게 전해져서 일본 학생운동의 자보에도 현대적인 중국 한자 글꼴을 발견할 수 있을 정도다.

대학 내에서는 정치시사적인 내용 외에도 학내 자치 활동의 알림, 동아리 홍보 등을 담은 비정치적인 벽보 또한 대자보, 자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냥 "포스터"와 동일한 의미.
요즘은 과cc가 생기면 큼지막하게 두 사람 이름을 적어서 붙여놓는다

1.1 한국의 대자보

한국의 대자보는 중국의 대자보를 계승한 건 아니고 단어만 빌어온 것이다. 학생운동이 성행할 때 대학 내에 정치시사적인 벽보를 붙이는 건 세계적으로도 보편적인 일이기 때문. 80년대 초중반부터 당시 언론 탄압, 통제라는 악조건하에 하나의 언론 역할을 톡톡히 하기도 했으나 이후 우리 사회의 언론 자유가 확보되고 대놓고 특정 정당이나 정파를 지지, 지원하는 언론매체가 생겨나면서 대자보의 정치적 영향력은 많이 사라졌다. 2010년 고려대의 한 학생이 자퇴하면서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고 쓴 대자보는 9시 뉴스에 언급될 정도로 사회적인 일로 확대되기도 했지만, 여러 대학에 확산되지는 않았다.

2013년 12월 10일에는 고려대의 한 학생이 '하 수상한 시절에 안녕들하십니까 라는 대자보를 작성해서 큰 반향을 얻었다.(#) 14일 이후 전국 대학가로 확대되기도 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대자보에 글씨를 쓰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한다.(#) 코팅 전지 + 유성매직 콤보에다가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야 한다는 특성상 구비전승되는 어떤 스킬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학생운동의 퇴조로 현재는 실전되어가는 중인 듯.

어떤 사람은 대자보에다가 '진리의 상아탑'을 쓴답시고 상아의 진리탑이라고 바꿔서 썼다가 중학생한테 비웃음을 당했다고 한다. 1월 7일 서울대 학관 밖 게시판이라곤 말 못한다[1]

2 인터넷 신문

파일:Attachment/daejabo news.jpg

표어는 "진보와 정론의 인터넷 신문"이다. 오그리토그리 1999년 창간.

1998년 당시 PC통신에서 활동하던 온라인 논객하이텔의 이창은, 나우누리의 임상빈 등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 1999년 1월 23일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우석훈, 김영국 등 학자들[2]변희재(!), 민경국[3] 등의 인터넷 논객들의 주도로 참여하였다. 우석훈은 실제로 2011년까지 기고를 계속했다.

2000년대 초반이 리즈 시절로 진보적인 민주당원 성향(+대중적인 반일감정)의 논조를 보이며 강준만 교수가 시작했던 인물과 사상과 함께 활황을 띄었다. 16대 대선 후보 단일화를 지지하면서도 특별히 어느 한 후보 편을 들지 않아 노무현 지지자였던 공희준과 변희재서프라이즈로 갔다는 격세지감이 드는 이야기가 있는데 변희재는 2005년까지 근무했으므로 확인바람. 변희재의 진중권 워너비던 흑역사가 여러모로 아로새겨져 있다.

이후 세력이 많이 줄었으나 아직도 글을 내고 있다. 2012년 통합진보당 부정경선사건으로 말미암은 분당 이후에는 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에 중립적인 면모를 보였다. 사실 진보 정당 쪽 언론도 아니고
  1. 4.19혁명 시절 서울대 학생들의 시국선언문이 이렇게 시작한다는 건 함정.
  2. 근데 논문 한편 안쓰는 우석훈을 학자라고 할 수 있을런지...
  3. 이 사람은 당시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함께 사이버스페이스 어쩌구 하면서 상당히 잘팔리던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