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산인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의 암천향(暗天香)의 유진에서 소개된 아미(峨嵋)의 시조로, 스스로를 산인(散人)이라 일컬었다. 원래 곤륜 너머의 서역에서 살던 그가 아미산까지 오게 된 이유는 한 친구를 따라 온 때문이었다. 그 친구는 청성(靑城)의 시조인 전귀(戰鬼)였고, 그가 마검(魔劍)으로 인해 악명을 얻어 고향을 등지려 하자 산인은 그를 홀로 둘 수 없어서 함께 오게 된 것이다. 아미산에 당도해서는 '대정(大靜)'이라는 두 자를 산인 위에 덧 붙이게 되었는데, 칠현대금을 탄주하며 풍류를 즐기는 그가 정좌하면 산중의 맹호조차도 그 고요함을 추종하여 흉내낸다는 일화 때문이다.[1]

이런 저런 이유로 대정산인의 주변에는 사람이 모였고, 시끌벅적함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산인의 이러한 사교성은 아미파의 초석을 다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대정산인으로서는 전귀의 후예에 대해, 더불어 자신의 후대에 대해 한가지 염려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천람(天嵐)이라 불리우는 전귀의 마검법이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었고, 산인 스스로 창안한 진룡항마검(眞龍抗魔劍)에도 천람을 압도하기 위해 가볍게 여길 수 없는 패기가 맴돌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대정산인은 아미에 십수(十秀)라 부르게 될 열 명의 특별한 제자를 두었고, 그들을 위해서 진룡무경을 기술했다. 더불어 그 일부로서 탄금지(彈琴指)와 복호살법(伏虎殺法) 이십사수를 아미 본문에 유출해 두었다. 함부로 절기를 남용하는 자가 문중에 나올 경우에는 십수에 의해 심판이 가능하다는 본보기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귀의 천람이 재현되고 아미문중에서 진룡항마검의 연성에 실패하여 홀로 감당할 수 있는 자가 없을 때, 십수가 있다면 그 난관과 번뇌를 눌러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 것이다.

대정산인이 이런 안배를 마치고 이를 전귀에게 말하자, 전귀는 벽운도(劈雲刀)와 비류보(飛流步)를 보여준다. 이는 두 문파의 시조를 웃게 하였고, 한가지 결말을 내도록 했다. 천람이 남용될 경우를 막기 위해서 전귀는 벽운도와 비류보의 전승자를 두기로 하였고, 산인은 진룡무경의 기반이 되는 진룡항마검을 무경에서 삭제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두 시조가 거둔 대제자 둘인 항마검선(降魔劍仙)과 표풍검랑(飄風劍郞)은 진룡항마검과 천람이 사라져야 한다는 부분에서 동의하지 않았기에 스승의 유언을 어기고 문파에 오직 한 사람의 전승자만 두는 진룡보전(眞龍寶傳)과 표풍보록(飄風寶錄)을 남기었다.

이 진룡보전과 표풍보록은 암천향의 유진에서 풍현에게 전해진다. 탄금지와 복호살법은 『경혼기(驚魂記)』에 나온다.

2 무공

  • 진룡항마검(眞龍抗魔劍) : 대정산인은 전귀가 검을 마물이라며 혐오하는 것을 그만두게 하고자 복마신룡검(伏魔神龍劍)의 예를 들었으나, 신화는 전혀 마음에 닿을 수 없는 동화였을 뿐이었다. 그래서 방법을 실례로 바꾸고자 하였고, 택한 수단이 그 보검을 재현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나온 것이 진룡항마검이라는 검법이다. 그러므로 매우 강력한 파사절기일 것이며, 전귀의 마검법이라는 천람을 제압할 수 있다고 한다. 후대에도 전승이 되고 있는 지는 알 수가 없다.
  1. 실제로는 대정산인의 기백에 산중 짐승이 버텨낼 까닭이 없었던 탓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