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파(풍종호)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에는 전통적인 구파일방이 아닌 신주제파(神州諸派)라는 천외(天外)의 대문파가 나온다. 이들은 구정(九鼎)의 비밀을 지키는 사명을 받아들인 문파들로, 아미파(峨嵋派)도 여기에 속한다.

시조는 『지존록(至尊錄)』에서 풍현운령암천향(暗天香)의 유진에 들어왔을 때, 진룡보전(眞龍寶傳)을 읽음으로써 대정산인(大靜散人)임이 밝혀진다. 그는 청성(靑城)의 시조인 전귀(戰鬼)와 친구 사이로, 전귀가 살육의 마귀로 대접받게 되면서 고향을 등질 때 함께 중원으로 들어온다. 그리고 그는 아미산에 자리를 잡는데, 사교성이 높아서 주변에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것이 아미파의 시초가 된다.[1]

풍월드의 가장 늦은 시대인 『검신무(劍神舞)』에서 청성파의 하후대장로도운연에게 다른 문파들에 관하여 얘기해 줄 때 아미파도 간략히 소개되며, 세 개의 문호로 이루어졌다고 한다.[2]

1.1 아미삼문

  • 아미승문(峨嵋僧門) : 염주를 신패로 사용한다. 확실히 불가의 일맥이기는 하나, 좀 과격해서 주먹질을 해댄다고 한다. 세 개의 문호 중 가장 유명하다고 한다.
  • 아미검문(峨嵋劍門) : 달리 아미선검파(峨嵋仙劍派)라고 불리기도 하며, 선가(仙家)의 일맥으로 검을 호신의 수단으로 삼는 도문이라고 한다. 간혹 세상에 나오는 일이 있어서 세인들 사이에는 아미파의 숨겨진 검법을 연수한 이들이라고 알려져 있다.
  • 아미절연문(峨嵋絶緣門) : 세속의 인연을 끊고 산다고 하여서 절연문이라고 자칭한다는데, 뜬금없이 세상에 튀어나오기도 한다.[3]

2 행적

오랜 세월 전승을 지켜온 대문파였기 때문에 풍작가의 여러 작품에 조연으로 많이 등장한다.[4]

2.1 경혼기(驚魂記)

분뢰수(奔雷手)가 곤륜파(崑崙派)를 지나 중원에 들어서면서 제일 먼저 들린 곳이 바로 아미파이다. 이곳에서 분뢰수는 아미철승(峨嵋鐵僧) 혜과(慧過)와 겨루고, 그를 통해 아미파의 비전절기인 탄금지(彈琴指), 복호살법(伏虎殺法), 적하신공(赤霞神功)을 격파한다.

2.2 광혼록(狂魂錄)

아미삼걸(峨嵋三傑)이라는 적하노니(赤霞老尼), 백영법사(白永法師), 백릉대사(白綾大師)가 등장한다.

적하노니는 풍가화의 스승으로, 금강십자인(金剛十字刃)이라는 기문병기를 사용하는 고수이다. 풍가화가 가문의 복수를 위해 무단 가출을 하자 그녀를 찾기 위해 산문을 나오게 된다. 백영법사는 형주(衡州)에 있는 진성사(眞性寺)의 주지로 지내면서 맹룡회(猛龍會)의 일을 돕는데, 야응(夜鷹) 구원산에게 당하여 큰 상처를 입기도 한다. 백릉대사는 청성파의 황엽도사(簧葉道士), 굉뢰귀견수(宏雷鬼見愁) 석일도와 대영웅대회에서 혈선교(血仙敎)가 어떤 흉계를 저지를지 걱정하여 대영웅대회장 주변에서 잠복을 하며 경계를 한다.

2.3 호접몽(胡蝶夢)

육대세가 중 상관세가의 초청으로 신임장문인이 된 진명대사(眞命大師)가 아미파의 주전력인 아미십걸(峨嵋十傑)을 대동하고 논검회(論劍會)가 열리는 모용세가에 당도한다. 상관세가는 모용세가의 움직임이 수상해서 만약의 상황에 도움을 얻고자 아미파를 초청해온 것이나, 실상은 진명대사가 마지막 모용세가주였던 모용성과 한 약속[5]을 수행하기 위해 모용세가에 온 것이다.

2.3.1 아미십걸(峨嵋十傑)

세상에는 아미십걸로 불리나, 아미파 내에서는 조금 다르게 일쾌(一快), 이걸(二傑),[6] 삼아(三兒), 사영(四英)으로 나뉘어 불린다.

  • 일쾌(一快) : 쾌수(快手) 진영[7]
  • 이걸(二傑) : 도걸(刀傑) 탁중한,[8] 비걸(飛傑) 양전비
  • 삼아(三兒) : 홍아(鴻兒) 주문태, 엽아(獵兒) 목중인, 검아(劍兒) 성위찬
  • 사영(四英) : 방제남, 홍수탄, 남위성, 배운담

3 무공

  • 대정신공(大靜神功) : 아미파의 기본공으로 보인다. 『경혼기』에서는 아미철승(峨嵋鐵僧) 혜과(慧過)가 자신의 심마를 떨치기 위해 이 대정신공을 바탕으로 항마후(降魔吼)를 펼치기도 한다.
  • 적하신공(赤霞神功) : 탄금지와 함께 아미파 내에 비전으로 전승되는 무공으로, 신공을 펼치게 되면 눈빛이 노을빛으로 물들게 된다. 『경혼기』에서 혜과가 분뢰수와의 대결에서 보여준다. 기초이자 부록격이 복호살법(伏虎殺法)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복호살법을 펼치기 위해서는 필히 적하신공이 요구되는 것 같다.
  • 탄금지(彈琴指) : 역시 혜과가 분뢰수와의 대결에서 보여주는 절기로, 말그대로 금(琴)을 연주하는 듯한 자세로 펼치는 지법(指法)이다.
  1. 다른 무협소설에는 일반적으로 아미파가 여성만의 문파로 설정될 때가 많다. 하지만 풍월드에서는 시조인 대정산인이 남성인 만큼 여성만의 문파가 아니다. 오히려 작가의 소설에서는 여성보다도 남성들이 더 많이 등장한다.
  2. 『지존록』과 『검신무』에서는 아미파가 직접 등장하지 않고, 말과 글로만 전해지기에 따로 소제목을 달지 않고 개요에 기술하였다.
  3. 하후염이 가장 골치 아픈 패거리라고 한다. 청성의 가장 골칫거리인 하후염이 이런 소리를 할 정도면 도대체 어느 정도일지 예단이 안 된다.
  4. 『검신무』에서 주연으로 등장한 청성파를 제외한다면, 풍월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신주제파이다.
  5. 모용성은 모용세가에 변고가 생길 시 난곡의 백성들의 안전을 지켜달라 부탁을 한다. 당시 진명대사는 자신이 아미파의 장문인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였지만, 막상 약속을 수행해야 할 시기에는 장문인이 됐기에 아미십걸을 대동하여 올 수밖에 없었다.
  6. 무림에서 가장 활동이 많아서 명성이 알려졌다. 이로 인해 이 두 사람에 필적한다고 아미 장로들이 자부하는 다른 여덟 명도 '십걸'이라는 호칭으로 뭉뚱그려진 것이다.
  7. 쾌활하고 호감을 주는 성격이며, 선이 굵다. 다른 아홉과 달리 경묘함을 장기로 삼아 그만이 따로 떨어져 나와 일쾌라 불린다.
  8. 대불광도법(大佛光刀法)에 통달하여 도걸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