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 소속 (나무위키에 등재된 단체만) | |||||||||||||||||||||||||||||||||||||||||||||||||||||||||||||||||||||||||||||||||||||||||||||||||||
종목 | 농구 | 배구 | 야구 | 축구 | |||||||||||||||||||||||||||||||||||||||||||||||||||||||||||||||||||||||||||||||||||||||||||||||
협회 | 대한농구협회 (KBA) | 대한배구협회 (KVA)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KBSA) | 대한축구협회 (KFA) | |||||||||||||||||||||||||||||||||||||||||||||||||||||||||||||||||||||||||||||||||||||||||||||||
연맹 | 한국농구연맹 (KBL) | 한국배구연맹 (KOVO) | 한국야구위원회 (KBO) | 한국프로축구연맹 (KL) | |||||||||||||||||||||||||||||||||||||||||||||||||||||||||||||||||||||||||||||||||||||||||||||||
한국여자농구연맹 (WKBL) | 한국여자야구연맹 (WBAK) | 한국여자축구연맹 (KWFF) | |||||||||||||||||||||||||||||||||||||||||||||||||||||||||||||||||||||||||||||||||||||||||||||||||
- | 한국실업배구연맹 (KCVF) | 한국독립야구연맹 (KIBA) | 한국실업축구연맹 (KNL) |
사단법인 대한배구협회(大韓排球協會) Korea Volleyball Association | |
설립일 | 1946년 3월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218[1] V-타워 8층 |
FIVB 가입일 | 1959년 10월 |
회장 | 서병문(38대) |
공식 홈페이지 |
1 소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대한민국 아마추어 배구와 국가대표팀등을 담당하며 배구의 보급을 담당하고 있는 기구이다.대부분의 스포츠 협회가 그렇듯이 배구계의 악의 축
1946년 3월에 대한배구협회가 창립되었다.
2009년 11월에 도곡동의 한 빌딩을 매입해 배구회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배구협회는 8층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일반 사무실로 임대 중.
외국인 선수들이 한국에 들어와 뛰기 위해서, 혹은 국내 선수가 해외로 나가서 뛰기 위해 필요한 국제이적동의서는 한국배구연맹이 아닌, 대한배구협회에서 발급해준다.
2 비판
배구계의 암적인 존재다. 여러가지 화려한(?) 전적은 흑역사/목록/배구, 금지어/배구 참조.
빙엿 따라하냐 이미 따라간다
2.1 협회의 돈놀이
- 2013년에 정규리그에 참가할 외국인용병들의 국제이적동의서를 확인해주는 대가로 3천만원씩 수수료를 요구한 사실이 밝혀져 물의를 빚었다. ## 논란이 커지자 결국 계획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 2014년 현재 배구회관 매입 관련 의혹으로 임태희 협회장, 이춘표, 박성민 부회장이 검찰수사를 받고 있다. 건물매입 비용 177억 원 중 무려 114억 원을 은행에서 빌렸는데, 검찰은 건물가가 부풀려진 의혹을 가지고 강도 높게 수사하고 있다. 그런데 이게 대단히 심각한게, 건물매입 비용에는 그동안 전직 배구인들이 수고하며 모은 배구협회 자체기금 45억 원이 포함되어 있다. 즉 배구인들이 모은 돈도 다 건물매입에 꼴아박은 것. 이때문에 국가대표팀 지원 등의 운영비가 삭감된 상태다.[2]
덕분에 임태희는 배구팬들에겐 금지어
2.2 선수들에 대한 지원 미비
- 국대차출에 있어 애국을 강요하며 출전을 요구하지만 그런 주제에 선수 케어도 제대로 못해 숱한 부상자들을 속출시켜 한국배구연맹과 각 배구구단과 언제나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그렇다고 대표팀이 성과를 얻어와도 제대로 축하해줄 여력도 없는 게, 위에 서술한 건물사건 때문에 돈도 없다(...). 실제로 2014년 아시안게임 때 여자배구 대표팀이 20년만에 금메달을 따왔어도 회식으로 고작 김치찌개나 사주는 추태를 부렸다. 그래서 배구협회장의 덕목은 재력이라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 이는 이번 리우 올림픽에서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함께 온 배구 대표팀, 귀국은 왜 따로따로 하나요 기사를 보면 국대로서의 대우를 하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다.
올림픽도 못나가는 신세가 된 남자배구의 월드리그만 신경쓰고 여자배구의 그랑프리 대회는 비용이 없다며 개최포기하는 이중잣대
100주년을 맞은 한국 배구의 민낯이 이렇다. 자기 밥그릇만 신경 쓸 뿐 역사에 대한 존중과 미래에 대한 계획 같은 건 찾아보기 힘들다. 앞으로 100년 뒤 후손들이 ‘그때 배구 인기가 그렇게 좋았는데 왜 아무 것도 하지 않으셨나요?’하고 물으면 뭐라고 답을 해야 할까. 아니, 누군가 한국 배구 200주년을 기억이나 할까.
- 여러 행사들도 대충 때우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대표적으로 2016년 배구 100주년 행사는 아예 없다.
- 2016 리우올림픽에서는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한 지원 부족과 무능력한 협회의 대응으로 인해 조건이 열악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관련기사) 해외 올림픽 출전할때는 반드시 통역팀이 필요하다 근데 대한민국 선수단에 배정된 AD카드가 부족으로 인해 통역팀이 오지 못했다. 이로인해 올림픽 기간동안 매우 불편을 겪었으며 현장 답사를 왔던 모 아나운서가 기자회견에서 통역을 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력분석관과 트레이너도 각각 1명만 배치했고, 전력분석관은 AD카드가 없어서 선수단 버스에 함께 탑승하지 못해 치안이 불안한 브라질 시내를 홀로 다니기까지 했다. 초기에는 전세기를 이용해 귀국할 예정이였지만, 협회 측이 비행기표가 부족하단 이유만으로 나눠타야 했다. 올림픽이 열리는 기간 동안 배구협회는 새로운 대한배구협회장을 선출하는 선거를 치렀다.
이정도면 대한빙신연맹급 막장이다.그리고 이번에는 그나마 김치찌개 회식도 없이 그대로 해산시켰다고 한다. 그리고는 25일 저녁에야 강남 고급 중식당에서 회식을 했는데, 보여주기 회식 쇼라고 비난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