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스포츠협회 소속 (나무위키에 등재된 단체만) | |||||||||||||||||||||||||||||||||||||||||||||||||||||||||||||||||||||||||||||||||||||||||||||||||||
종목 | 농구 | 배구 | 야구 | 축구 | |||||||||||||||||||||||||||||||||||||||||||||||||||||||||||||||||||||||||||||||||||||||||||||||
협회 | 대한농구협회 (KBA) | 대한배구협회 (KVA)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KBSA) | 대한축구협회 (KFA) | |||||||||||||||||||||||||||||||||||||||||||||||||||||||||||||||||||||||||||||||||||||||||||||||
연맹 | 한국농구연맹 (KBL) | 한국배구연맹 (KOVO) | 한국야구위원회 (KBO) | 한국프로축구연맹 (KL) | |||||||||||||||||||||||||||||||||||||||||||||||||||||||||||||||||||||||||||||||||||||||||||||||
한국여자농구연맹 (WKBL) | 한국여자야구연맹 (WBAK) | 한국여자축구연맹 (KWFF) | |||||||||||||||||||||||||||||||||||||||||||||||||||||||||||||||||||||||||||||||||||||||||||||||||
- | 한국실업배구연맹 (KCVF) | 한국독립야구연맹 (KIBA) | 한국실업축구연맹 (KNL) |
명칭 | 사단법인 대한체조협회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
링크 | [1] |
유형 | 비정부기구 |
설립 | 1945년 9월 1일 |
위치 | 서울특별시, 송파구 |
회장 | 한찬건[1](2016년 8월 5일) |
대한민국의 스포츠 협회.
- 상위 항목 : 협회
1 소개
WE ARE GYMNASTICS!
모든 스포츠의 기본은 체조입니다.(Basic of all sports!)
체조 종목에 관한 사업 전반을 관장하는 경기단체이다. 체조 종목의 발전과 보급을 목적으로 여러 사업을 벌이고 있다. 협회 본부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舊 오륜동 88-2번지)[2]에 있다.
어떤 막장 협회에 비하면 별다른 병크를 저지르는 협회는 아니지만, 종목 팬들로부터 일처리를 제대로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자세한 것은 하단의 사건사고 항목 참조.
2 역사
순서 | 이름 | 임기 | 비고 |
22~23 | 손근석 | 1995.3 ~ 1999.1 | (주)포항종합제철 회장 |
24~27 | 박득표 | 1999.1 ~ 2010.1 | (주)포스코건설 회장[3] |
28~29 | 정동화 | 2010.1 ~2015.1 | (주)포스코건설 대표이사 |
30 | 황태현 | 2015.1 ~ 2016.8 | 포스코 회장보좌역 |
30 | 한찬건 | 2016.8 ~ 현재 | (주)포스코건설 대표이사 |
1945년 9월 1일에 기존의 체조연맹과 기계체조연맹이 통합되어 창립되었으며, 이후 1946년에 한국체조기술연맹을 흡수통합, 현재 체조 종목을 관장하는 유일한 협회가 되었다. 1985년부터 포스코의 임원들이 계속 회장을 맡고 있다. 실제로 대한체조협회의 가장 큰 후원기업이 포스코이다.[5]
3 활동
3.1 체조 보급 및 활성화
생활체조 보급에 힘쓰고 있다. 2010년부터 매년 '대한민국 체조제'라는 생활체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3.2 대회 개최
4 사건사고
여러모로 문제점도 많은 협회이다. 특히 리듬체조에서의 논란이 많은 편이다.
4.1 기계체조
- 2012년 1월 26일, 초등부 김지현 선수[6]가 훈련중 착지를 잘못하는 바람에 머리를 부딪쳐 외상성 뇌출혈이라는 큰 부상을 당했다. 40여 일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있었으며, 다섯 시간이라는 대수술 끝에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후유증으로 큰 장애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재판과 피해보상 과정에서 협회 측에서 사고와 증거를 은폐하고 조작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결국 법원에서는 선수측에 2억 8천만 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4.2 리듬체조
- 세종대와의 파벌 싸움이 매우 심한 상황이다. 때문에 세종대에서는 대학 소속 선수들의 대회 참가를 막아버렸고, 결국 천송이 선수는 학교를 자퇴해야 했다.
- 올림픽 이후 해체될 예정이었던 단체전 국가대표팀을 일본으로 전지훈련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