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도리안 예이츠 (Dorian Yates) |
출생 | 1962년 4월 19일 |
신장 | 178cm |
체중 | 110kg (대회) 132kg (오프시즌) |
미스터 올림피아 | 6회 |
목차
1 개요
90년대를 지배했던 전설적인 보디빌더. 미스터 올림피아 6회 수상자[1]이며 이러한 대단한 수상 경력뿐만 아니라 그가 가져온 보디빌딩계의 변화나 트레이닝 스타일의 영향력으로 보디빌딩 역사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갖는 보디빌더이다.
2 커리어
영국 출신의 보디빌더로 어렸을때 소년원을 갔다오기도 할만큼 문제아였었다고 한다. 그러나 소년원 이후로 정신을 차리고 보디빌딩에 입문, 트레이닝 시작 5년만에 브리티시 챔피언쉽을 우승하면서 아마추어 무대에서 정점을 찍었다.
이후 1990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에서 2위로 수상하면서 프로 데뷔를 하게 된다. 이듬해인 1991년부터 본격적으로 프로 커리어를 쌓아나가 같은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올림피아 대회에 입성, 당시 챔피언이던 리 헤이니가 역대 최다인 8번째 우승 기록을 쌓는 것에 밀렸지만 첫 대회를 2위로 마치게 된다. 리 헤이니가 은퇴한 1992년 마침내 올림피아 1위로 우승하면서 세계 최고의 보디빌더로 등극하게 된다.
그러나 진짜 도리안 예이츠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된 것은 1993년의 두번째 올림피아 우승이었다. 위 사진만 봐도 한 눈에 알 수 있듯이 1년 사이 어마어마한 벌크업이 이뤄진 것. 특히 그를 상징하는 부위인 어마어마한 등이 이때부터 시작됐다. 물론 약물의 도움을 받았겠으나 정상급 보디빌더가 1년 사이 저 정도의 벌크업을 이룬다는 것은 굉장한 것이었고, 당연히 이런 "괴물"이 되서 돌아온 도리안 예이츠는 보디빌딩계를 충격에 몰아넣었다. 심지어 예이츠가 가져온 이러한 "거대함"은 보디빌딩계에 변화를 가져와 이전의 그리스 조각상같은 체형이 주류이던 무대가 흡사 헐크를 보는 듯한 괴물같은 거대한 체형의 무대로 바뀌게 된다. 쉽게 비교하자면 6, 70년대의 아놀드 슈워제네거와 90, 00년대의 로니 콜먼을 비교하면 콜먼이 8cm나 신장이 작음에도 대회 무게는 30kg이 더 나갔다.[3]
1994년에는 훈련 도중 그를 커리어 내내 괴롭히게 될 이두근 부상을 당한다.[4] 그러나 부상을 극복하고 3연속 올림피아 타이틀을 지켜내며 이후 1997년까지 무려 6회 연속 올림피아의 왕좌를 지키내 역대 최고의 보디빌더 중 한명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그러나 계속되는 이두근 부상과 1997년 대회를 앞두고 당한 삼두근 부상으로 1997년 올림피아 수상 후 은퇴를 결정한다. 35세라는 보디빌더로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은퇴했지만 선수 시절 6회 올림피아 포함 총 15번의 프로 무대 우승 기록을 거두었다.
3 트레이닝 스타일
커리어도 커리어지만 그의 독특한 운동법 또한 보디빌딩 역사에 그의 이름을 새기게 된 요인이다. 이러한 운동법들은 그가 창시자는 아니지만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상에 오른 선수는 예이츠이기 때문에 그의 이름과 함께 널리 알려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참고하고 있다. 승자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그 중 대표적인 것은 고강도 훈련(High Intensity Training)으로, 최대한 무거운 중량을 6-8회 횟수로 세트를 끝낸 뒤, 짧은 시간의 휴식 후 다음 세트로 돌입하는 방식이다. 또한 선피로 훈련(Pre-exhaust Training)이라 불리는 방식을 활용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일반적인 트레이닝이 쌩쌩한 상태에서 고중량 복합 운동 후 고립 운동으로 이어지는 구성인 반면, 이 훈련법은 고립 운동 후 복합 운동으로 넘어가 목표 부위를 공략하는 반대의 방식이다. 예를 들면 머신 운동같이 타겟 부위의 집중이 더 용이한 기구를 사용하여 미리 공략한 뒤 고중량 프리웨이트로 넘어가 이미 지친 근육의 자극을 최대화시키는 식.
이외에도 그가 애용한 예이츠 로우라 불리는 바벨 로우의 변형도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의 등운동에 자리하는 운동이다. 다만 아이러니한 것은 그의 빠른 은퇴로 이어진 이두근 부상이 바로 이 예이츠 로우 도중 당한 부상이다.[5]- ↑ 8회 리 헤이니, 로니 콜먼, 7회 아놀드 슈워제네거에 이어 역대 4위다.
- ↑ 現 뉴욕 프로
- ↑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아놀드는 현대 보디빌딩이 아름다운 체형이 아닌, 그저 사이즈 경쟁이나 하는 대회로 전락했다며 까기도 했었다. 특히 이러한 변화의 원천인 약물의 발전이 역효과로 선수들의 내장 근육까지 키워 배를 튀어나오게 만드는 것인데, 이 또한 미형의 체형을 크게 해치는 요소라고 비판했다.
- ↑ 이 때문에 이후 역대 최고의 등을 가진 선수 중 하나이면서도 등운동의 필수 보조근인 이두근이 그의 최대 약점이 된다. 조금 더 설명하면 그는 바벨 로우를 역그립으로 하기를 즐겼는데 그렇게 되면 당연하게도 이두에 부담이 가게 된다. 거기다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나 다름없는 광활한 광배근을 위해 어마어마한 중량을 쳐댔으니..
- ↑ 운동 자체가 특별히 위험성이 높다기 보다는 부상 당시 예이츠처럼 언더핸드 그립으로 고중량을 칠 때 이두근의 개입이 크게 이뤄질 경우, 커다란 근육인 등이나 다룰 중량을 작은 근육인 이두근이 버티지 못하기 때문에 부상으로 이어지는 것. 참고로 얼터너티브 그립 데드리프트에서도 무심코 팔을 사용하다가 언더그립 쪽 이두근에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