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이 만든 후장식 소총. 별칭은 니들 건(Needle Gun). 공이가 바늘모양이라서 붙은 별명이다.
1 제원
무게: 4.7kg 전장: 142cm 총신길이: 91cm 총탄: 도토리 모양의 탄환과 장약, 뇌관을 종이로 된 탄피에 싼 형태 구경: 15.4mm 장전방식: 볼트액션 1분에 10~12회 발사가능 유효사정거리: 600미터 급탄방식: 단발장전 |
2 최초의 후장식 볼트액션 라이플
Zündnadelgewehr Dreyse(췬트나델게비어)[1]
프로이센의 기술자 요한 니콜라우스 폰 드라이제(Johann Nikolaus von Dreyse)가 1836년 개발한 여러가지로 혁신적인 소총으로 장약+뇌관+탄환을 하나로 묶은 종이탄피를 사용하고 뒤로 장전하는 최초의 제식 후장식 소총이자 최초의 볼트액션 소총이었다. 사실 최초의 후장식 소총은 영국에서 개발되었으나 여러가지 단점 때문에 도입되지 못했다고 한다.
3 후장식 총기로서의 이점
이전의 전장식 소총은 일정한 양의 흑색화약을 부어넣고 그 위로 탄환이 총신 안에 꽉 물리게 꼬질대로 쑤셔넣어야 했다. 무엇보다 전장식이기에 서있거나 무릎을 꿇은 상태 외에는 장전이 불가했으며 때때로 흑색화약을 쏟아버리거나 미처 꼬질대를 제거하지 못하고 총신 안에 집어넣은 상태로 발사하는 경우[2]도 종종 있었으며 30발 이상 발사하면 부싯돌을 갈아줘야만 했다.[3] 게다가 아무리 빨라도 1분안에 1~2발 이상을 발사했다면 상당히 빠른 편에 속할 정도로 느려 미리 장전된 탄환을 발사하고 재장전을 하더라도 최대 분당 2~3발을 넘길수는 없었다.
그러나 드라이제의 후장식 소총의 종이탄피는 재장전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후장식이기에 엄폐한 상태나 엎드려 쏴 자세에서도 적을 지향한 상태로 연사할 수 있었다. 1868년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7주전쟁 당시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후장식 소총을 사용한 프로이센군이 엎드려 쏴 자세로 분당 5발을 연사하며 전장식 소총으로 무장한 오스트리아군을 관광보냈다.[4]
▲ 독일 ZDF에서 제작한 역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Die Deutschen(독일인들)>에 등장한 드라이제 후장식 소총. 총기의 작동 방식 및 전장식 소총과의 차이점을 잘 알 수 있다. 동영상 후반부에 내레이터는 전쟁 마지막 날에 오스트리아군은 15,000여 명이 전사하거나 실종됐으나, 프로이센군은 불과 2000여 명만 전사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현대식 소총이 공이-뇌관-화약의 수순을 거쳐 격발하는 것과는 달리 이 드라이제 소총은 위 동영상처럼 공이-화약-뇌관의 수순을 거쳐서 격발한다는 점이 독특하다.
즉 바늘이 흑색화약을 거쳐서 탄환의 탄저판(Sabot[5])에 부착된 뇌관을 때리고 그로 인해서 흑색화약에 점화되어 폭발하는 방식이었다.
드라이제 소총과 샤스포 소총의 종이탄피 구조 비교
위에 보듯이 드라이제 구조적 순서는 Firing Pin (Needle) - Charge - Primer. 바늘 공이가 종이 탄피의 후장에 구멍을 뚫고 화약을 지나 Sabot의 홈에 들어 있는 뇌관을 격발한다.
4 단점
드라이제는 혁신적인 소총이었음에도 전장식에 비하여 밀폐가 잘 되지 않았기에 가스가 새어나오거나 공이가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도 그럴것이, 노리쇠 폐쇄기술은 근대 금속 탄피를 사용하는, 프랑스의 그라스 소총같은 단발식 볼트액션 소총의 등장 후부터 도입된 것이다. 이 당시엔 그런 장치를 금속 성형 할만한 기술이 없어서 사실상 전장식 총에다가 총알넣을 구멍내고 볼트달린 뚜껑으로 닫았다 열었다 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가스가 새는 게 오히려 당연한 정도였다. 그걸 막으려고 고무링에 왁스 바른 명주실까지 동원하였으나, 고무링이나 실이 먼저 녹아내리는경우가 더 많았다. 사수가 패킹이 녹아내린지도 모르고 발포하면 사수는 자기도 모르는 새에 얼굴이 새까맣게 타 녹아내리는 문제가 발생하는것이다. 그리고 종이탄피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경우[6]가 있었기에 비전투손실이 무시못할만큼 커진 프로이센군은 1870년 벌어진 프랑스와의 보불전쟁에서는 보다 향상된 성능의 프랑스식 니들건인 샤스포 소총과 이들의 신식 기관총에 의해 보병대 보병으로 붙기만 하면 녹아내리게 된다.[7][8]
결국 프랑스가 그들이 사용하던 종이탄피 샤스포 소총을 그라스 소총이란 금속탄피 단발식 소총으로 개조하여 종이탄피식 소총들을 퇴역시켰듯 1871년부터 마우저가 개발한 금속탄피 사용 소총인 Gew71로 대체된다.
- ↑ Zündnadelgewehr의 정확한 뜻은 바늘 점화식 소총, 즉 영어의 Niddle gun이지만 편의상 후장식 소총으로 부른다.
- ↑ 이렇게되면 어디서 꼬질대를 새로 구해올 때까지는 총을 쓸 수 없게 되어버린다!
작살총? - ↑ 나중에 뇌관을 이용하게 되면서 부싯돌 문제는 해결
- ↑ 하지만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이 패한 것은 소총의 질적 차이도 있지만 지휘계통이 혼란해진 오스트리아군의 실책이 컸고, 전쟁 전반에 걸쳐 프로이센은 철도를 비롯한 빠른 군수보급 능력을 보여주었다.
- ↑ 분리철갑탄의 뒤의 Discarding Sabot 를 번역한 경우 "이탈피"라고 쓰는데, 분리철갑탄의 작동 현상을 직역하여 번역한 경우지만 이 경우는 탄저판이다. Sabot는 실은 이탈하는 물체도, 탄저판도 아닌 "총기 격발시 폭압을 제대로 받기 위해 구경에 꽉 맞게 채워주는 물체나 판대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조선시대 화포의 격목이나 토격과 같은 역할의 물체다.
- ↑ 탄피가 찢어지거나 습기를 흡수해서 작동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쾨니히그래츠 전투가 끝난 후 몰트케도 '이 소총이 나쁜건 아니었지만, 결코 훌륭한 소총은 아니었다'고 인정할 정도.
- ↑ 그러나 무기의 우수성에만 의존하던 프랑스는 전술적으로는 매 전투에서 승리를 거머쥘수 있었겠으나 전략적으로는 보불전쟁에서 이길 수 없었다.
- ↑ 더 정확하게는 독일이 채용한 후장식 크룹포의 화력 덕분이었다. 포병화력에서 압도한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