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

독일의 역사
Die Geschichte Deutschlands
고대중세 ~ 근세근대현대
게르마니아게르만족프랑크 왕국동프랑크독일 왕국독일 기사단국프로이센 공국프로이센 왕국독일 연방북독일 연방독일 제국바이마르 공화국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
연합군 군정기동독독일
서독서독
로마 제국서로마신성 로마 제국라인 동맹바이에른
헤센
바덴
뷔르템베르크
자르

1 프로이센


지도 이미지 중 진청색 영역.[1]

1.1 개요

Preußen. 혹은 Preussen(독일어로 '프로이슨'이라 읽는다. 단어 끝의 -en은 '은'에 가깝게 발음된다. 또한 에스체트(ß)는 2005년부터 ss로 대체표기함.) 영어로는 프러시아(Prussia), 한자 음역으론 普魯斯(보로사) 또는 普魯西(보로서). '보불 전쟁' 등의 용어에 나오는 '보(普)'가 '보로사'의 약자다. 라틴어로는 Borussia(보루시아)라고 한다.[2] 그래서 영어로는 프러시아(Prussia)라고 쓰지만 러시아와는 혼동해서는 안된다.[3] 러시아와는 다르다! 러시아와는! 참고로, 프러시아와 보루시아 등으로도 검색해도 모두 이 항목으로 들어올 수 있다.

유럽 동북부와 중부(중앙유럽)에 있었던 지방 및 그 지방에 있었던 나라. 독일 제2제국 통합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흔히 (북부)독일의 전신이라고 말한다.

프로이센을 지배했던 왕가에 대한 항목은 호엔촐레른 왕조로 따로 기재되어 있다.

1.2 역사

1.2.1 원주민과 독일 기사단국

240px-Flag_of_the_Teutonic_Order.svg.png
프로이센 원주민인 프로이센(프루시)오족은 언어적으로 특수한 발트어족의 하나이며[4], 11세기에 폴란드의 지배를 받게 되자 자주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폴란드의 영주 마조비아 공은 1226년 튜튼 기사단을 불러 십자군 전쟁끝에 이 지역을 정복하게 하고 이후 쿨름 등의 도시를 건설, 이곳에 이주시켜 독일 기사단국을 건설, 독일화 시켜버렸다. 하지만 점차 기사단이 폴란드와 갈등을 벌이면서 쇠퇴하게 된다. 1410년의 탄넨베르크 전투가 결정타였다.

당시 북방 십자군에 가담한 나라들은 독일과 현 스웨덴, 덴마크였는데 사실 북유럽 국가들이 널리 쓰는 십자가 깃발도 이 당시에 저 깃발과 함께 십자군이란 의미에서 쓰기 시작한 것이다. 이 때문인지 독일에서도 북유럽식 십자가 국기를 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모두 무산되었다. 참고로 후자는 본래 1944년 히틀러 암살 미수사건에 가담했던 요제프 비르머(Josef Wirmer)가 암살에 성공했을 경우 하켄크로이츠까지 없애버리고 대신 쓰려고 만든 깃발이기도 했다.

1.2.2 프로이센 공국

항목 참조.

1.2.3 프로이센 왕국

항목 참조.

1.2.4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통일 과정 중에 있었던 프로이센-오스트리아전쟁으로 하노버 왕국 등을 병합하는 등 영토를 대대적으로 늘렸으므로 통일 이후에도 제국 전체의 2/3을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제국을 지배하였다. 이와 같은 독일·프로이센의 이중 구조는 바이마르 공화국에도 존속하였다.

600px-Flag_of_Prussia_%281918%E2%80%931933%29.svg.png
패션왕
아이러니 하지만,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프로이센 주의회와 주지사는 독일 사민당(SPD)이 장악하고 있어 프로이센은 독일 사민당의 요새나 다름없었다. 이 상황을 싫어하던 우익 정치인 프란츠 폰 파펜은 자신을 임의로 프로이센주의 총독으로 임명하는 불법행위를 저지른다. 이를 '프로이센 쿠데타'라고 부르며독일 사민당은 치명타를 입었다.

당시 독일의 경찰은 각 주 단위로 분산되어 있었는데, 나치당이 연립 내각을 구성하면서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총독이 된다. 이로서 독일의 2/3를 차지하는 광대한 프로이센의 경찰력이 나치당의 손에 떨어지고 만다.

600px-Flag_of_Prussia_1933.svg.png
[5]
나치 시대에 이르러 연방제는 폐지되었으나 프로이센 정부는 존속하였다. 하지만 지방자치가 유명무실해져서 의미는 없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프로이센은 민족주의 밎 전쟁 분위기는 물론 배후중상설까지 앞장서서 지지해서 나치 성장의 토대를 만든 것에 대한 징벌[6]로 해체되었다, 오데르강·나이세강 동쪽은 폴란드령이 되었고, 스탈린은 동프로이센 전체를 소련이 차지하거나 독일계땅 동프로이센 북부 3분의 2를 차지하려 했지만 관대하게(...) 동프로이센은 절반으로 갈려 북쪽은 소련령이 되고 남쪽은 폴란드령이 되었다. 원래 여기 살고 있던 독일인들은 추방되었고 여기를 비롯한 독일 주변의 독일어권은 깔끔하게 증발했다.

1.3 프로이센 지역과 현재의 독일

앞에서 말했듯 독일은 1차 대전 직후 포젠과 서프로이센, 알자스-로렌 및 기타 일부 영토를 뺏기고, 2차 대전 직후 동프로이센, 슐레지엔[7], 브란덴부르크 동부와 포메른 절반을 잃어버렸다.

비록 현대에 이르러서 옛 프로이센의 대부분이 폴란드나 러시아에 예속되었다곤 해도, 프로이센이 독일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은 그 어떤 것들보다도 더할 나위 없이 크다. 30년전쟁 이후 수백개의 연방국으로 나뉘어지고, 나폴레옹 전쟁으로 태반이 정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왕국만 4개(프로이센, 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 작센)가 존재했던 독일이 지금의 통일된 독일로 있게 만든 나라인데다가 독일에 대한 대외 이미지 등 프로이센이 현대 독일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심지어는 앞서 말한 대로 독일 축구 국가대표 유니폼 색상이 흑적황 삼색이 아닌 흑백으로 되어있는 것도 프로이센의 영향 때문이 짙다고.

독일 극우파들의 염원이 이 과거 프로이센의 영토 수복인데, 현재 독일의 방침 자체가 상실한 영토의 영유권을 영구히 포기한다라서 가능성은 제로. 그렇다고 해도 프로이센 지역 실향민들의 숫자도 만만치 않고, 이들 역시 고향을 되찾고 싶어하는 마음이 간절하다는 것이 변하지는 않는다. 나치 잔재를 과도하다 싶을 만큼 지워버리려는 독일 정부에 의해 도매금으로 이들의 보상 요구조차 처절할 만큼 묵살당하고 있지만...

그러나 폴란드는 이게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과거 나치 독일은 폴란드를 침략하여 폴란드 전체 인구의 무려 16%를 학살했다. 이 막심한 손해를 폴란드 인들은 도대체 어디서 보상을 받아야 하는가? 여기에 공산 폴란드가 들어선 후 독일로 강제이주된 이들 중에는 바로 이 나치 독일이 유대인과 폴란드 인들을 학살하고 해당 도시에 대거 독일인들을 이민시킨 것도 있다. 전쟁기간 동안 250만에 이르는 폴란드 시민들이 독일의 강제이주로 쫓겨났고, 이 자리를 130만에 이르는 독일 정착민들이 차지했다. 한국의 일제강점기로 따지면 한국의 삼남지방이 일본과 가깝고 거주 조건이 더 낫다는 이유로 전체 인구의 6~7%를 한반도 북부로 강제이주시키고 그 자리를 그 절반 정도의 일본 정착민들이 차지한 것과 비슷한 것이다.

예를 들어 폴란드 공업도시 우치(Lodz)의 경우, 전전의 시민 중 독일계는 9%에 불과했지만 독일이 점령한 이후 25만에 이르는 유대인과 15만에 이르는 폴란드 인들이 쫓겨났고, 이들 대부분은 학살당했다. 그리고 그 자리를 15만에 이르는 독일인들이 차지했다. 단순히 우치뿐만 아니라 독일에 병합된 폴란드 서북부 영토에서도 이러한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리고 이렇게 폴란드인과 유대인들의 자리를 차지한 독일인들 중 일부는 독일군을 따라 독일 영토로 도망쳤고, 나머지 독일인들은 전후 폴란드 공산정권에서 독일로 강제이주시켰다. 이 경우는 단순한 압제자에 지나지 않는다.

단순히 인구뿐만이 아니다. 폴란드는 독일의 침공으로 전체 재산의 40%를 잃어버렸다. 바르샤바, 그단스크, 그디니아, 포즈난 등 유수의 폴란드 도시들이 폐허가 되거나 반파되었다. 특히 바르샤바의 경우는 독일에 의해 계획적으로 매우 철저히 파괴되었다. 또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이 폴란드 동부 지역을 자신이 가져갔고 그 보상으로 독일 동부 지역을 떼어 폴란드에 주었다. 당시 소련 지도자가 스탈린이었다는 점을 기억하자. 오히려 당시 런던의 폴란드 망명정부는 전전의 국경을 원했다. 독일 동부를 폴란드에 내준 것은 스탈린이다.

이외에도 폴란드는 전후 독일에게 보상을 청구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1945년 당시 폴란드 인들이 이 국경을 원했냐 하면 그렇지도 않은 것이 위에도 써놨지만 스탈린이 친히 그렇게 명령했다.강철의 대원쑤가 까라면 까야지 별꺼 있어? 그리고 폴란드는 독일 동부를 얻은 댓가로 자국의 동부 영토를 소련에게 빼앗겼다. 즉 폴란드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보상받은 것은 아무것도 없고[8], 남은 것은 독일이 남기고 간 폐허밖에 없다. 그리고 폴란드 인들은 이 폐허 위에서 모든 것을 완전히 재건해야 했다. 그런데 갑자기 독일이 폴란드에게 영토를 내놓으라 한다면(물론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 폴란드 입장에서는 정말이지 날강도도 이런 날강도가 없다. 나치 독일에 의해 유럽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가 폴란드와 소련인데, 그 역사적 과정을 그냥 무시하고 내놓으란 법이 있는가?

무엇보다도 1차 대전과 2차 대전을 거치면서 폴란드로 넘어간 영토가 대대로 독일 영토인 것도 아니다. 히틀러가 구실로 삼은 그단스크(단치히)만 하더라도 원래 폴란드 인들이 건설한 도시를 독일 기사단이 강탈한 것이었다. 포즈난과 그 이동지역인 대폴란드(Wielkopolska, 비엘코폴스카) 또한 역사적으로 폴란드 영토였고[9], 인구도 폴란드 인이 대부분이었다. 근데 독일 극우파들의 주장은 이런 지역조차 모조리, 싸그리 폴란드가 토해내야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주장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한 것이, 현대 폴란드 영토의 3분의 2 정도가 옛 프로이센(독일제국 기준) 땅이다. 폴란드가 이 영토를 가지게 된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스탈린이 독소불가침 조약을 맺고 폴란드 침공에 가담하여 집어삼켰던 영토를 내놓지 않으려고 폴란드에게 일련의 보상으로서 대규모 탄전 지대이자 공업 지대였던 슐레지엔, 발트해 요충지인 포메른, 근대 독일의 발상지인 프로이센 및 브란덴부르크 동부 등의 독일 영토를 대신 할양한 것인데, 이 때문에 본래 폴란드의 정 중앙에 위치하고 있었던 수도 바르샤바가 상당히 동쪽에 쏠리게 되는 등 국토가 서쪽으로 많이 밀려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이센 해체는 1차대전 이후에도 프로이센이 지속적으로 민족주의와 전쟁을 찬양[10]해서 나치가 성장할 분위기를 만든 것에 대한 징벌 밎 이것이 반복될 여지를 영원히 차단한다는 의도도 있기 때문에 반환 가능성은 그냥 없다고 봐도 된다.

현대에도 이 지역은 폴란드의 알토란과 같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의 상실 영토 수복 발언이나 운동은 폴란드를 집어삼키겠다가 되어 버린다. 이건 폴란드 보고 존재하지 말라는 거나 다름없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아도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 지역을 구서독 지역과 균형을 맞추는 것만으로도 독일경제에 크게 무리를 줬고, 현재까지 그 부작용이 만만찮다. 그것도 모자라 구동독 지역보다 경제적으로 비교적 낙후된 구 프로이센 영토까지 덜컥 떠맡게 된다면...? 1989년 동독의 1인당 명목 GDP는 $9,679였는데, 폴란드는 1990년 당시 $1,698에 불과했다. 참고로 1988년 당시 독일은 $15,300. 거의 슬라브인으로 구성된 인구만 1,000만 명이 넘는 데다가 서독의 11% 수준의 안습한 경제력[11]을 자랑했던 이 지역을 떠맡는다면 훨씬 문제가 심각해졌을 것이다.

거기다가 전쟁중 있었던 대규모 학살이나 전후의 강제 이주로 인해 현재(21세기)는 슐레지엔이나 프로이센 지방에 독일인들이 거의 살지 않는다. 체코에 있는 주데텐란트 지방도 마찬가지로, 나치 독일 시절처럼 현지의 독일인들의 민족 심리를 자극하여 민족 자결주의를 운운하며 영토를 병합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이다.

다만 북부 오스트프로이센, 즉 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주에서는 2001~2004년경 러시아계 주민들의 자발적인 독일로의 병합 운동 및 쾨니히스베르크 명칭 복귀 운동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소련 붕괴 이전 소련 영토였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이 유럽연합에 가입하며 칼리닌그라드 주가 EU 안의 섬이 되어버렸기 때문. 같은 러시아 영토인데도 불구하고 칼리닌그라드에서 모스크바 등 러시아 본토에 육로로 이동하려면 비자가 필요한 해괴한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12] 안 그래도 주변국보다 경제적으로 낙후되어있던 차에 차별 아닌 차별까지 받게 되자 소외감이 극에 이른 주민들이 이 참에 아예 칼리닌그라드 주를 독일로 환수하거나, 적어도 자치권을 받기 원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돈은 피보다 진하다

하지만 러시아로서도 이 지역이 전략상 요충지고[13] 우크라이나일본과의 영토분쟁에 불리해질 선례를 남길 수도 없는 처지인데다[14] 현재 러시아의 실권자는 다른 사람도 아닌 푸짜르...거기에다 독일에서도 종전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다시한번 칼리닌그라드 주는 엄연한 러시아땅이라고 천명하며 독일 환수운동의 입을 막았다. 러시아가 나서서 돌려주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독일로 돌아갈 가능성은 없다. 다만 현재도 칼리닌그라드에 독일인들이 문화, 사회, 경제면으로 칼리닌그라드 내 지분을 착실히 늘려가고 있고, 프로이센 시대 문화유산 유지보수에 신경쓰는 것을 보면 아돌프 히틀러처럼 당장 무리수는 두지 않고 차근차근 순리적으로 병합할 걸 노리는건 아닌가 하는 소리도 간간히는 나온다.#

사실 이제 유럽같은 안정된 사회에서 영토분쟁을 일으키는 것도 자폭행위이거니와, 이미 세계대전을 두번이나 치른 독일이 다시 영토수복 움직임을 보이는 것 자체가 주변국들에게는 굉장히 위협적인 일이기 때문에 독일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15]

참고로 독일 국가독일인의 노래 1절에는 '마스(뮤즈강)에서 메멜(네만강)까지, 에치(아디제 강)에서 벨트해[16]까지'라며 독일 민족의 영토를 규정하는 구절이 있는데 지금 이 경계들은 벨트해를 빼고는 주변국 땅이다. 특히 네만강은 동프로이센 동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메멜까지'는 현재 폴란드의 전체 영토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본래 비더마이어 시대(1815-1848)에 지어진 시로서, 독일 제국 때부터 부른 노래이긴 하지만 현재는 그 1절을 부르는 게 금기시되고 있고[17] 2절도 그닥 부르기에 좋지 않기 때문에 3절만 부른다.(같은 이유로 네오 나치들은 1절만 부른다.)

1990년대 한때 브란덴부르크 주를 베를린과 합쳐 프로이센 주로 개명하려는 운동이 있었지만, 무산되었다.

뱀발로 해방후 한국에서 대다수의 신사와 일본식 절들이 죄다 박살났듯 폴란드에서도 루터교회들이 독일 문화와 동일시되어 대거 박살나거나 가톨릭 성당으로 개조되는 등의 일이 있었다. 이후에도 공산정권과 가톨릭 사이에서 등터진 새우신세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현재 폴란드 내 신교도 수는 약 6만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4 프로이센의 수반 일람

1.4.1 프로이센 공국 시대(1525~1618) 공작

순번이름재위기간
01알브레히트 Albrecht[18]1525~1568
02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Albrecht Friedrich1568~1618

1.4.2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공국(선제후) 시대(1618~1701) 공작

순번이름재위기간
01요한 지기스문트 Johann Sigismund[19]1618~1619
02게오르크 빌헬름 Georg Wilhelm1619~1640
03프리드리히 빌헬름 Friedrich Wilhelm 대大선제후1640~1688

1.4.3 프로이센 왕국 시대(1701~1918) 국왕

프로이센 왕국은 독일 통일(1871) 이후 독일 제국의 구성국이 되고 독일 황제는 프로이센 국왕을 겸하게 된다.

순번이름재위기간
01프리드리히 1세 Friedrich I1688~1701(프로이센 공)
1701~1713(프로이센 왕)
02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Friedrich Wilhelm I1713~1740
03프리드리히 2세 Friedrich II[20]
= 프리드리히 대왕 Friedrich der Große
1740~1786
04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Friedrich Wilhelm II1786~1797
05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Friedrich Wilhelm III1797~1840
06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Friedrich Wilhelm IV1840~1861
07빌헬름 1세 Wilhelm I1861~1888[21]
08프리드리히 3세 Friedrich III1888
09빌헬름 2세 Wilhelm II1888~1918

1.4.4 바이마르 공화국나치 시대[22](1918~1945) 주총리

Ministerpräsident는 주지사로도 번역되지만 주 총리가 좀 더 정확하다. 사실 왕국 시대에도 동일한 Ministerpräsident가 있었는데 이건 국가원수급이 아닌 정부수반급이었다.[23] 하지만 독일 제국과 프로이센 왕국 멸망 이후에는 왕이 사라지므로 아래에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시대의 주총리를 대신 정리한다.

순번이름재임기간
01프리드리히 에베르트 Friedrich Ebert1918
02파울 히르슈 Paul Hirsch1918~1920
03오토 브라운 Otto Braun1920~1921
04아담 슈테게어발트 Adam Stegerwald1921
05오토 브라운 Otto Braun1921~1925
06빌헬름 마르크스 Wilhelm Marx1925
07오토 브라운 Otto Braun1925~1932
-공석[24]1932~1933
08프란츠 폰 파펜 Franz von Papen[25]1933
09헤르만 괴링 Hermann Göring1933~1945

참고로 1933년 나치 독일은 Ministerpräsident와 별도로 진짜 '주지사'나 총독과 유사한 Reichsstatthalter[26]란 직책을 만들었는데[27] 1933~35년에는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프로이센의 이 Reichsstatthalter를 맡았지만 1935년부터 1945년까지는 헤르만 괴링이 대행했다.

1.5 행정구역 일람

1.5.1 빈 회의-북독일연방 시대(1815~1871)

1815년 빈 회의 이후 회복지와 점령지를 합치며 체계적인 행정구획으로 재정비되었다.


1818년의 지도

순번주(Provinz)주도비고
01프로이센쾨니히스베르크1824년 베스트-오스트프로이센 주 합병.[28]
現 칼리닌그라드(러)
02브란덴부르크포츠담1827~1843 주도는 베를린[29]
03포메른슈테틴現 슈체친(폴)[30]
04슐레지엔브레슬라우現 브로츠와프(폴)[31]
05포젠포젠1848년 설치. 포젠 대공국 형태변환.
現 포즈난(폴)[32]
06작센[33]마그데부르크1816년 설치[34]
07하노버하노버1868년 설치.[35]
08헤센-나사우카셀1868년 설치[36]
09베스트팔렌뮌스터1815년 설치[37]
10라인란트코블렌츠1822년 설치(행정구역 조정)[38]
11슐레스비히-홀슈타인1868년 설치[39]
12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1850년 설치[40]

(러) = 러시아령, (폴) = 폴란드령

1.5.2 독일 제국 시대(1871~1918)


베를린이 포함되지 않은 지도.

이른바 "프로이센 12주(Provinz)"[41]이다. 베를린과 남부에 따로 떨어진 호엔촐레른은 제외되었다. 2~7번은 동부주, 8~13은 서부주이다.

순번주(Provinz)주도비고
01베를린베를린1881년 독립
02오스트프로이센쾨니히스베르크1878년 프로이센 주에서 분리
03베스트프로이센단치히1878년 프로이센 주에서 분리
現 그단스크(폴)
04브란덴부르크포츠담
05포메른슈테틴
06슐레지엔브레슬라우
07포젠포젠
08작센마그데부르크
09하노버하노버
10헤센-나사우카셀
11베스트팔렌뮌스터
12라인란트코블렌츠
13슐레스비히-홀슈타인슐레스비히1879년 이전 주도는 킬
14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

(폴) = 폴란드령

1.5.3 바이마르 공화국-나치(2차대전 발발 전)(1918~1939)


1920년의 지도

순번주(Provinz)주도비고
01베를린베를린
02오스트프로이센쾨니히스베르크
03브란덴부르크베를린[42]
04포메른슈테틴
05니더슐레지엔브레슬라우1938년 오버슐레지엔과 통합.
06오버슐레지엔오펠른1938년 니더슐레지엔과 통합.
現 오폴레(폴)
07포젠-베스트프로이센[43]슈나이더뮐1922~1938 존속. 現 피와(폴)
08작센마그데부르크
09하노버하노버
10헤센-나사우카셀
11베스트팔렌뮌스터
12라인란트코블렌츠
13슐레스비히-홀슈타인
14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이후 뷔르템베르크에 흡수되어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구성원.

(폴) = 폴란드령

1.5.4 나치(2차대전 발발 후)-종전 처리(1939~1947)

(소), (미), (영), (프)는 각각 점령되었던 국가를 말한다.(구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

순번주 이름주도비고 및 종전 후 처분
01베를린베를린4개 연합국이 분할점령.[44]
02오스트프로이센쾨니히스베르크(소). 이후 분할 됨.[45]
03단치히-베스트프로이센단치히(소). 폴란드에 할양.
04마르크 브란덴부르크베를린[46](소). 동부는 폴란드에 할양.[47]
05포메른슈테틴(소). 중부 및 동부는 폴란드에 할양[48]
06니더슐레지엔브레슬라우1941년 슐레지엔에서 재분리.
(소). 폴란드에 할양.[49]
07오버슐레지엔카토비츠1941년 슐레지엔에서 재분리.
(소). 폴란드에 할양. 現 카토비체(폴)
08바르텔란트[50]포젠(소). 폴란드에 할양.
09마그데부르크-안할트데사우(소). 작센 북부+안할트.[51]
10할레-메르제부르크할레(소). 작센 남부.[52]
11쥐드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하노버하노버 남부+브라운슈바이크.
(영). 서독 니더작센주로 통합.
12오스트하노버뤼네부르크하노버 북동부.
(영). 서독 니더작센주로 통합.
13베저-엠스올덴부르크하노버 북서부+브레멘+올덴부르크.
(영) + (미).[53]
14쿠르헤센카셀헤센-나사우 북부.
(미). 서독 헤센주로 통합.
15헤센-나사우프랑크푸르트헤센-나사우 남부.
(미). 서독 헤센주로 통합.
16베스트팔렌-노르트뮌스터베스트팔렌 북부.
(영).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로 통합.
17베스트팔렌-쥐트보훔베스트팔렌 남부.
(영).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로 통합.
18에센에센라인란트 극북부.
(영).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로 통합.
19뒤셀도르프뒤셀도르프라인란트 북부.
(영).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로 통합.
20쾰른-아헨쾰른라인란트 북중부.
(영).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로 통합.
21모젤란트코블렌츠라인란트 중남부+룩셈부르크. (프).[54]
22베스트마르크자르브뤼켄라인란트 극남부+바이에른령 팔츠
+프랑스령 로트링겐 / (프).[55]
23슐레스비히-홀슈타인(영). 서독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로 잔류.
(24)(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56]

1.6 현재 독일 행정구역과 프로이센 행정구역과의 관계

프로이센 발원지를 포함한 영토 상당부분을 현재 러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에 내어준 상태이긴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독일연방공화국에서도 프로이센 통치지역과 연관이 없는 곳은 바이에른, 브레멘의 두개 주 뿐이다. 그나마도 브레멘과 함부르크는 프로이센의 입김이 강하고 그저 주권만 독자적으로 유지한 자유였던 것을 보면, 또한 러시아와 폴란드에 넘어간 땅의 실향민들이(물론 전부 프로이센계) 주로 정착한 곳이 브레멘, 함부르크, 니더작센[57],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58],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인 것을 보면 현재의 독일에서도 프로이센과 연관 없는 곳은 바이에른 뿐이라고 봐도 될 정도. 괜히 독일연방공화국과 바이에른 소리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양차대전을 거치며 상실한 지역은 오로지 프로이센의 지역만으로, 바이에른작센[59]을 비롯한 기타 지역은 현재의 독일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잠시 눈물 좀 닦고...

2차대전 이후 연합국이 무리할 만큼 프로이센 본령을 할양시켜버리고 흔적을 지워버리려 한 것도 독일의 정체성을 희석시키려 한 것과 관련이 있다.

○ : 순수 구 프로이센 지역 (5개주)
□ : 구 프로이센 지역에서 다른 독일계 지역 흡수 (4개주)
△ : 다른 독일계 지역에서 구 프로이센 지역 흡수 (5개주)
× : 프로이센 통치 지역 불포함 (2개주)

순번주 이름주도상관 관계과거 지역
01바덴-뷔르템베르크슈투트가르트뷔르템베르크+바덴+호엔촐레른주.[60]
02바이에른뮌헨×
03베를린베를린
04브란덴부르크포츠담
05브레멘브레멘×
06함부르크함부르크구 함부르크+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남부 일부[61]
07헤센비스바덴헤센-나사우 주+헤센 주.
08니더작센하노버하노버+올덴부르크+브라운슈바이크.[62]
09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슈베린메클렌부르크+포메른주 서부.
10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뒤셀도르프라인란트주 북부+베스트팔렌주.
11라인란트-팔츠마인츠라인란트주 남부+바이에른령 팔츠.
12자를란트자르브뤼켄라인란트주 남서부.
13작센드레스덴작센+슐레지엔주 극서부.
14작센-안할트마그데부르크작센주+안할트.
15슐레스비히-홀슈타인
16튀링엔에어푸르트튀링엔 군소 공국 지역군+작센주 역외지역.[63]

2 고중세 발트어족의 프로이센

이 지방에 살았던 프로이센 족속을 의미하기도 한다. 러시아에 인접해있는 발트지역의 주민을 지칭하는 고대 프로이센어[64] '프루사(Prūsa)'에서 나왔다. 위에서 나온 프로이센 국명의 유래이기도 하다. 여기서 '루사(러시아)'가 중세 독일어로 러시아를 뜻하는 '로이센(Reußen)'으로 바뀐 것이다.

다만 게르만 계통이 아니고 현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에 더 가까운 민족이었다고 한다. 프로이센 원주민은 보통 '고 프로이센 인(Old Prussians)', 그들의 언어는 '고 프로이센 어'라고 부른다. 물론 프로이센어는 독일어와 폴란드어에 밀리면서 18세기부터 쓰이지 않게 되었고, 고 프로이센인들의 후손들은 오랜기간 동안 튜튼기사단과 폴란드의 통치기를 거치면서 독일과 폴란드에 각각 동화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독일인이나 폴란드인으로써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비록 민족이랑 언어 자체는 독일민족에게 통화당해버렸음에도 고대 프로이센에서 기원한 프로이센이 근현대 독일을 통일한 주체인 것을 볼때 프로이센이 독일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어느면에서는 최후의 승자라 봐도 좋을듯

2.1 관련 문서

  1. 이 색이 바로 물감 이름으로 많이 알려진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로, 당시 프로이센의 수도였던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2.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가 이 뜻으로 유명하다. BV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보루시아는 초기 팀 설립 당시 지역의 양조장 이름을 딴 것이다. 따지고 보면 그 양조장도 보루시아가 그 뜻인 거 아니냐
  3. 러시아가 주로 프로이센을 통하여 서구 문물을 받아들였을 뿐. 엄연히 다른 나라이다.
  4. 혈통적으로 리투아니아나 라트비아와 더 가까웠다.
  5. Gott mit uns! : 신의 가호와 함께!
  6. 이미 연합군은 두번다시 배후중상설의 ㅂ자도 못꺼내게 하겠다는 이유로 휴전 협정을 거부한 뒤 무조건 항복을 하던지 다 죽던지 양자택일하라고 강요하고, 실제로 무조건 항복을 할 때까지 독일 영토를 무력으로 밀어버렸다.
  7. 아주아주 조금 남아서 작센 주에 흡수되긴 했다.
  8. 물론 독일 동부 지역은 폴란드 동부 지역보다 경제적 가치가 더 높긴 했지만.
  9. 심지어 대폴란드의 그니에즈노(Gniezno)는 960년 폴란드가 건국한 곳이다(...).
  10.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도 교과서 등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11. 현재는 그래도 독일의 30% 수준. 2013년 당시 독일 GDP는 $46,251, 폴란드는 $13,654.## PPP로 따지면 현재는 독일의 50~60% 수준이다.
  12. 칼리닌그라드주의 특수상황을 감안해달라는 러시아와 난색을 보이는 EU의 협상 끝에 현재 칼리닌그라드에서 러시아 본토로 육로이동할 때는 간이통행증을 발급받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그런데 비자나 간이통행증이나 그게 그거 아닌가...
  13. 발트해 연안의 요충지로 스칸디나비아 지역과 중부 유럽을 동시에 견제할 수 있는 곳이다. 러시아 해군의 발트 함대의 모항인 이유가 이때문이다. 또한 부동항이라는 것도 중요한 요소다.
  14.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는 크림반도를, 일본과는 쿠릴열도 4개 도서(하보마이, 쿠나시르, 이투루프, 시코탄)를 놓고 영토분쟁 중이다.
  15. 영국, 프랑스나 폴란드 등 주변국의 독일 영토수복에 대한 경계심은 정말 상상을 초월한다. 1990년 독일이 통일될 때에도 영국은 아예 통일 자체를 반대하고 나섰고, 프랑스와 폴란드는 더 이상의 영토수복이 없다는 걸 명시하라고 수차례나 압박하고 맹세를 강요했으니.
  16. 발트(Balt)해가 아닌 벨트(Belt), 즉 덴마크에 있는 소 벨트 해협(Little Belt)이다.
  17. 단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처럼 완전 금지는 아니다. 어쨌건 이 지역들이 한때 독일 땅이었다는 건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고, 프로이센 시절 영토라고 우기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18. 1510년 튜튼 기사단의 기사단장이 됨.
  19. 요아힘 프리드리히 브란덴부르크 공의 아들이자 알브리히트 프리드리히 공의 맏 사위였다. 브란덴부르크 공으로는 1608년에 이미 즉위.
  20. 1772년 폴란드 분할 직후 프로이센 왕(King 'in' Preußen)과 형식적이던 브란덴부르크 공과 기타 직위들을 모두 합쳐서 대 프로이센 왕국을 확립하고 칭호를 프로이센 대왕(King 'of' Preußen)으로 바꾼다.
  21. 독일 황제로서는 1871~1888.
  22. 독일 제국 해체 후에도 프로이센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프로이센 자유주로 남게 된다(정부수반의 명칭은 주총리 Ministerpräsidenten). 제국 내 여타 왕국이나 공국들도 군주제만 폐지되고 각 지역의 자유주로 변환. 단 튀링겐 지역의 군소국가들은 튀링겐 자유주로 묶인다.
  23. 오토 폰 비스마르크도 프로이센 왕국의 Ministerpräsident였다.
  24. 제국 총리 프란츠 폰 파펜이 중앙정부 직속으로 프로이센 주 총리를 겸임했다. 후임 총리 슐라이허도 프로이센 주지사겸 프로이센 주 경찰청장까지 겸임함.
  25. 히틀러 내각 때 부총리 겸 프로이센 주 총리를 지내다가 곧 해임된다.
  26. 영어로 "Reich Lieutenant" 또는 "Reich Governor" 등으로 번역된다.
  27. 본래 이 직위명 자체는 독일 제국 시절에 있었다가 바이마르 공화국 때 없어졌다. 그러다 나치 시기에 부활시킨 것.
  28. 1224년 건국된 튜튼 기사단국이 전신이다. 프로이센의 발원지이며 베스트프로이센 지역의 마리엔부르크를 수도로 삼고 한때 에스토니아까지 세력을 뻗쳤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와의 전쟁에 패하면서 베스트프로이센을 비롯한 대부분의 영토를 상실하고 오스트프로이센 만으로 영토가 축소된다(1466년 2차 토른 평화조약). 이 와중에 수도를 쾨니히스베르크로 옮기고 숨죽여 지내다 1525년 기사단장 알브레히트의 개신교 전향 및 공국 선언과 함께 오스트프로이센 지역은 프로이센 공국으로 거듭나게 된다. 1466년 2차 토른 평화조약으로 상실했던 베스트프로이센은 1772년 1차 폴란드 분할로 수복했다.
  29. 프로이센 본가의 대가 끊기자 프로이센과 혼인으로 프로이센을 사실상 흡수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1157년 건국)이 전신이다. 주도권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이 쥐고 있었고 사실 통합명칭도 브란덴부르크가 되는 것이 순리였으나 신성 로마 제국에 소속되어있었던 브란덴부르크와 영외 지역이었던 프로이센의 특성상, 신성 로마 제국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폴란드의 봉신국이었던 프로이센의 폴란드에 대한 의무까지 감수하며(!) 오히려 프로이센을 대외 명칭으로 채택한다. 다만 브란덴부르크도 프로이센도 전부 호엔촐레른 가문이었고 상기한 정치적 문제도 겹쳐 프로이센은 단순한 세력확장 발판이 아닌 국가 핵심지역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30. 30년전쟁 후 1648년 베스트팔렌 평화조약 및 1653년 슈테틴 조약에 의해 대가 끊긴 포메른 공국을 서부는 스웨덴, 동부는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이 각각 분리점령한다. 이후 스웨덴과의 전쟁을 거치며 1722년 스웨덴령 서부 포메른을 일부 점령하고, 1815년 빈 회의에서 남아있던 부분까지 양도받게 된다. 하지만 정작 현재 독일에 남아있는 포메른은 이 1815년에 얻은 서부 뿐이라는 것이 아이러니
  31. 1742년 프리드리히 2세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점령, 이후 1756–1763년 7년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슐레지엔을 사수하며 프로이센 영토로 확정.
  32. 1793년 2차 폴란드 분할에서 프로이센이 획득했던 쥐드프로이센을 나폴레옹전쟁에서 상실했다 종전 후 1815년 빈 회의에서 회복. 다만 포젠 대공국이라는 괴뢰국 형태로 운영하다 1848년에 정식 주로 변경한다.
  33. 작센 왕국과는 별개인 프로이센의 작센
  34.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승리 및 빈 회의 협상으로 마그데부르크 공국,알트마르크 지역,마인츠 대주교령,작센 왕국령 점령지 흡수합병.
  35.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승리로 오스트리아를 지지했던 하노버 왕국 점령 및 흡수.
  36.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승리로 오스트리아를 지지했던 헤센-카셀 영주국, 나사우 공국, 프랑크푸르트 자유시를 점령 및 흡수합병.
  37. 프랑스 혁명 이전부터 프로이센이 소유하던 서부지역 영토. 나폴레옹에게 빼앗겼다 빈 회의 이후 회복.
  38. 프랑스 혁명 이전부터 프로이센이 소유하던 서부지역 영토. 나폴레옹에게 빼앗겼다 빈 회의 이후 회복. 이때 비텔스바흐가의 윌리히 주가 윌리히, 베르크로 분리되었다. 그 당시 (1815) 3개주로 통합 설치했던 윌리히-클레베-베르크(Jülich-Kleve-Berg) 주, 괴뢰국 니더라인 대공국을 합병하며 라인란트 주가 된다.
  39.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으로 슐레스비히 공국, 홀슈타인 공국에서의 덴마크의 지배권을 빼앗은 후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오스트리아까지 도태시키며 프로이센 영토로 확정.
  40. 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 백국, 호엔촐레른-헤힝겐 백국 흡수합병. 프로이센 왕실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선산으로 이미 프로이센과는 밀접한 관계였다.
  41. 여기서는 편의상 Provinz를 '주'라고 번역하긴 했으나, 이는 1차대전 이후 프로이센 왕국을 대체한 프로이센 자유'주'(Freistaat Preußen, 영어 Free State of Prussia)를 번역할 때 문제가 된다. 프로이센 자유주(Freistaat) 안에 계속 Provinz가 존속했기 때문. 참고로 중국어에서는 프로이센 자유주 같은 staat는 방(邦)으로, 산하의 Provinz들은 성(省)으로 번역해서 혼동을 회피하고 있다.
  42. 베를린 내 샤를로텐부르크
  43. 1938년 브란덴부르크, 포메른, 슐레지엔으로 분리흡수.
  44. 이후 미영프 3개국 점령지역을 합친 서독령 서베를린과 구소련 점령지역인 동독 수도 동베를린으로 분할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통합
  45. 북동부는 리투아니아에, 북부는 러시아에, 남부는 폴란드에 각각 할양
  46. 베를린 내 샤를로텐부르크을 말한다.
  47. 서부 및 중부는 동독 체제에서 해체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브란덴부르크주로 부활.
  48. 서부는 동독 체제에서 해체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메클렌부르크 지역과 합쳐지며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로 부활.
  49. 극서부만 동독 체제에서 해체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작센주에 흡수.
  50. 초기에 포젠이었다 개명.
  51. 동독 체제에서 해체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작센-안할트주로 부활.
  52. 동독 체제에서 해체되었다 독일 재통일과 함께 작센-안할트주로 부활.
  53. 미국 점령지역인 브레멘은 재분리시키고 나머지 영국 점령지역은 서독 니더작센주로 통합.
  54. 룩셈부르크 재분리독립 후 서독 라인란트-팔츠주로 통합.
  55. 로트링겐은 알자스-로렌으로 프랑스에 재복속, 팔츠는 라인란트-팔츠주로 통합, 라인란트 극남부는 프랑스 보호지구 형태로 분리되었다 1956년 서독으로 복귀하며 자를란트주 구성.
  56. (프). 뷔르템베르크에 흡수되어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구성원으로 존재하다 종전 후 이름만 같은 프랑스 점령지역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에 소속. 이후 1952년 미국 점령지역 뷔르템베르크-바덴과 합쳐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소속되며 명의 상실.
  57. 뤼네부르크에 오스트프로이센 민속박물관이 있다. 민속박물관은 자연히 해당 지역 유민이 많이 이주해 있거나, 연관이 있는 곳에 세워진다.
  58. 뮌스터에 베스트프로이센, 뒤셀도르프 인접 라팅엔에 오버슐레지엔 민속박물관이 있다. 여담으로 포메른과 니더슐레지엔의 민속박물관은 독일이 재통일되며 쪼가리라도 남아있는 지역-각각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 그라이프스발트(구 포메른), 작센 주의 괴를리츠(구 니더슐레지엔)-에 있다.
  59. 다만, 동쪽 극히 일부분은 폴란드로 넘어갔다.
  60. 2차 대전 직후에도 호엔촐레른-뷔르템베르크 식으로 명의는 남아있었으나 이후 바덴과도 합쳐지며 사라짐.
  61. 함부르크 시가 대확장을 거치며 인근 프로이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지역을 대거 흡수했다.
  62. 그냥 하노버주가 이름만 바꾸며 중간중간에 있던 지역까지 흡수했다고 봐도 될 정도.
  63. 현재 주도인 에어푸르트는 구 작센주.
  64. 현재는 사멸한 서발트어파 계통의 언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