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g Lear.
1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
“내가 누구인지 말해줄 수 있는 자가 누구란 말인가?”“Who is it that can tell me who I am?”
─Act 1, Scene 4
영국의 왕인 리어왕과 그의 세 딸, 그리고 그의 신하들에 관한 희곡으로, 4대 비극 중 하나다.
늙은 리어 왕은 유산을 물려주기 전에 딸들에게 자신을 얼만큼 사랑하냐고 묻는다. 장녀 고네릴은 아버지를 무척 사랑한다며 갖은 아부와 아양을 다 떨어서 유산의 1/3을 받는다. 차녀 리건도 고네릴의 행동을 모방해서 똑같이 1/3만큼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왕의 총애를 받는 막내딸 코델리아만 남았다. 그녀는 언니들의 말이 거짓말이며 아첨이라는 사실을 알았지만, 자신만은 정직하게 말하기로 마음먹는다. "아버님을 나를 태어나게 해주셨고, 키워주셨고, 사랑해 주셨습니다. 난 그 은혜를 당신에게 복종하고, 사랑하고 존경함으로서 되갚는 것이 온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왜 내 언니들이 당신을 그리 사랑한다면 남편이 있을까요? 만약에 내가 결혼을 한다면, 내 남편은 내 사랑의 반과 함께 책임과 의무를 가져갈 것입니다. 확언하건대, 나는 당신만을 사랑하기 위하여, 언니들처럼 결혼하지 않을 것입니다."[1]라고 말한다. 리어왕은 이에 크게 역정을 내며 재차 "정녕 네 뜻이 그리하다는 것이냐?"[2]라고 묻는다.[3] 코델리아는 그렇다고 답하고, 리어왕은 코델리아가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자 배은망덕한 후레자식이라고 몰아붙이고 코델리아의 몫으로 예정된 유산을 언니들에게 각각 나눠줘버리고 코델리아에게는 한 푼도 주지 않는다.[4] 그래서 구애하던 영국의 버건디 공작은 유산이 없다고 떠나버리고 프랑스 왕이 데리고 갔다. - 라는 이야기를 서두로 하여 시작되는 이야기.
막내를 쫓아내버린 왕에게 직언을 하던 충신 켄트 백작은 나라에서 영원히 추방당하는 벌을 받는다. 사실상의 사형 선고를 받은 것이다. 그러나 다시 변장을 하고는 리어 왕에게 가서 그의 시중을 드는 천인 카이어스로 살아간다.
한편 리어왕의 신하 중 한 사람인 글로스터 백작의 서자인 에드먼드는 충분히 능력이 있음에도 서자라는 이유로 적자보다 차별을 받는 것에 불만을 품고 음모를 꾸며 적자인 형 에드거를 죽이려 한다. 에드거는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도망쳐 미친 사람인 것처럼 행동한다. 게다가 정작 유산을 다 물려받은 고네릴과 리건은 유산을 받자 아버지를 점점 홀대해서 아주 살 맛이 안나게 만들고, 결국 대놓고 아버지를 비판하기 시작한다.
믿었던 두 딸이 자신을 홀대하자 얼마 남지 않은 기사들과 함께 밖으로 쫒겨난 리어왕. 이에 리어왕은 자신의 어리석음에 미쳐버리고... [5] 글로스터는 에드먼드의 음모에 휘말려 두 눈을 잃고 나서 죽고, 장녀와 차녀는 에드먼드를 두고 경쟁하다 둘 다 죽어버리고, 에드먼드는 자신의 신분을 속여가며 이를 갈던 에드거의 손에 죽으며, 막내딸은 이미 프랑스 왕가에 속했음에도 광야 속에 비참히 죽어갈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영국에 선전 포고를 하고 목숨을 바쳐 전투에 참전하나 결국 우세한 영국군의 손에 포로로 잡혔다가 에드먼드에 의해 허무하게 죽어 버린다, 전쟁은 끝나지만 결국 리어왕도 후회 속에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다 죽고 만다. 늘 그렇듯이 모든 게 끝나면 남은 사람들[6]이 뒤를 정리해 주며 막을 내린다.
다른 4대 비극이 인간적인 갈등관계에서 몰락이 오고 있다면, 리어왕은 매우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물론 극의 중심에는 리어왕과 그 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들 이상으로 강렬하게 빛을 발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일종의 군상극과 같은 양상을 띈다.
또 몇몇 인물의 갈등을 중심으로 했던 것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다층적인 갈등관계를 맺으며 극의 배경 또한 여러 영지를 오고가기 때문에, 매우 스케일이 크고 위에서처럼 권선징악도 확실한 장엄한 이야기가 되었다.
사실 햄릿과 함께 막장 드라마라고 이야기 하지만 사실 중세 시대에서 귀족들의 암투에 비하면 이 정도는 상당히 양반에 속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전말이 독자들에게 드러났기 때문. 따라서 당시에 혼란하던 정세를 알 수 없던 대중에게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또한 영문학에 정통한 셰익스피어의 필력으로 손꼽히는 명작이 되었다. 다만 선한 자들이 전부 다 사망하고 그나마 에드거만 살아남았기 때문에 이에 분노하여 결말을 멋대로 고친 수많은 극본이 자리를 메우기 시작했다. 덕분에 원본은 거의 공연이 안되고 개작본들만 무대에 올라야 했던 흑역사도 존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의 거장 구로사와 아키라감독이 '란'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일본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딸이 아니라 아들이긴 하지만, 물론 결말은 동일하다. 이쪽도 엄청난 대작 영화.
참고로 셰익스피어 이전에 널리 공연된 Leir of Britain(원전이라 할수 있다)에선 코델리아가 죽지 않으며 리어 왕이 왕위를 되찾은뒤 코델리아에게 왕국을 물려준다(...)
2 1의 등장인물
리어 왕. 말 그대로 잉글랜드를 통치한 지배자.
생전에는 누구도 그에게 대항할 수 없는 막강한 권력의 소유주이나 그가 은퇴를 결심한 이후 그 즉시 나락으로 굴러 떨어지게 된다. 딸자식 복 없는 사람. 자신의 첫째와 둘째 딸을 너무 믿은 것이 죄인 인물이다.
셰익스피어의 주인공들은 타인의 악덕이나 내부의 갈등으로 몰락한다. 그러나 리어왕은 자신의 실책이 있었다 하더라도, 정치적, 사회적인 차원에서 학대당하여 몰락한다. 작품은 왕이기에 앞서 인간이었던 한 늙은이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집중한다.
햄릿이나 오델로가 인간관계에서 온 비극으로 죽었다면 그의 죽음은 성격이 다르다. 멕베드 또한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다 죽고 말지만(왕이 된다는 목적) 그는 어디까지나 부와 명예에 대한 욕구에 의해 멸망하는 것이다. 리어왕은 오히려 부와 명예에 대한 집착이 적다. 다만 그는 혈육의 정과 안락한 노후를 요구할 뿐이다. 그러나 그는 왕이었고 권력 투쟁의 한 복판에 있다는 걸 간과했다. 그는 모든 권력과 재화를 포기하고 편안한 삶을 원하였지만 결국 광야를 헤매다 비통한 죽음을 맞는다.
3 미디어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에서 애니로도 만들어진 바 있다.
파일:/img/img link7/538/537225 1.jpg 파일:/img/img link7/538/537225 7.jpg- ↑ Good my lord, you have begot me, bred me, loved me: I return those duties back as are right fit, obey you, love you, and most honour you. Why have my sisters husbands, if they say they love you all? Haply, when I shall wed, that lord whose hand must take my plight shall carry half my love with him, half my care and duty: Sure, I shall never marry like my sisters, to love my father all.
- ↑ Doth your heart goes with this?
- ↑ 리어 왕은 이미 이전에 자신의 딸에게 결혼하는 귀족에게 땅을 주겠다고 명시했다. 즉 리어왕이 왕으로서 딸들에게 내린 마지막 명령은 결혼하는 것이었다. 즉 이 질문은 결혼하지 않겠다는 것에 대한 것을 묻는 것이다. 즉 "너는 정말로 결혼하라는 내 명령을 어길 것이냐"라는 확인 사살이었던 것.
- ↑ 이는 절대적인 가부장권과 왕권에 대한 도전의 처벌이었던 것. 하지만 코델리아의 정직하고 꾸밈 없는 성격을 모를 리도 없었을텐데 이상하리만치 큰 벌을 내렸기에 이 부분이 왕이 노망났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 ↑ 이때 비바람이 부는 들판에서 울부짖으며 외치는 광기 어린 대사는 말 그대로 정신 나간 이라 치부하기 어려운 자식 잘못 키운 후회와 비탄으로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덧붙여 이러한 상황에서도 왕의 곁에서 첨언하는 광대 또한 잘 생각 해보면 광대로서 대단히 충실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 ↑ 올버니 공작과 에드거, 켄트 백작. 에드거는 두말할 것 없는 선인, 켄트는 마지막까지 남은 리어의 충신이었으며 올버니는 고네릴의 남편이긴 했지만 아내의 행동을 옳지 않게 여기는 그나마 상식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