롄장

(마쭈에서 넘어옴)

1 중화민국의 롄장 현

25px 중화민국의 실질 행정구역
제1급제2급
타이베이 시(臺北市, 北)
가오슝 시(高雄市, 高)
신베이 시(新北市, 新北)
타이중 시(臺中市, 中)
타이난 시(臺南市, 南)
타오위안 시(桃園市, 桃)
타이완 성(臺灣省, 臺)신주 시
(新竹市)
자이 시
(嘉義市)
지룽 시
(基隆市)
난터우 현
(南投縣)
먀오리 현
(苗栗縣)
신주 현
(新竹縣)
윈린 현
(雲林縣)
이란 현
(宜蘭縣)
자이 현
(嘉義縣)
장화 현
(彰化縣)
타이둥 현
(臺東縣)
펑후 현
(澎湖縣)
핑둥 현
(屛東縣)
화롄 현
(花蓮縣)
푸젠 성(福建省, 閩)롄장 현
(連江縣)
진먼 현
(金門縣)

4629456552_ec81bd59a8.jpg
連江縣(연강현) / Lienchiang County / Liân-kang

1.1 소개

500px-Taiwan_ROC_political_division_map_Lienchiang_County.svg.png
본토 다 뺏기고 남은 롄장 현의 잔해(...) 중화민국이 설정한 명목상의 행정구역은 중국 본토에도 걸쳐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위 지도에 색칠된 지역만 통치한다.

220px-Emblem_of_Lienchiang_County.svg.png
롄장 현의 휘장

중화민국 푸젠 성에 위치한 현. 마쭈 열도(馬祖列島)를 관할하고 있는 현으로 면적은 29km²로 울릉도의 반도 안 되는 크기이다. 물론 나우루보다 크다. 나우루 안습 인구는 1만 명이 조금 안 되어 울릉도와 비슷한 인구 규모이다. 명목상의 행정구역은 마쭈 열도 뿐만 아니라 중국 대륙(본토)에도 걸쳐 있으나 대륙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실질 통치 구역이다. 푸젠 성 자체도 중국(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모두)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성으로 남아 있는데, 그 푸젠 성 안에서도 롄장 현은 유일하게 분단된 현이다[1].

마쭈 열도는 송나라 이전엔 남간당(南竿塘)이라 불리웠다가[2] 송나라 때 마조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명나라 때 어민들이 정착했다. 1937년 일본군에게 점령되었다가 1945년 일본군이 물러난 이후 중화민국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1953년엔 이 좁은 열도에 롄장, 창러(長樂), 뤄위안(羅源)의 3개나 되는 현이 설치되었으나[3] 1965년 모두 롄장 현으로 편입되었다.

진먼과 마찬가지로 중국 국민당 지지세가 매우 강한 곳이다.

중화민국의 실질적 영토 중 유일하게 민남어권이 아닌 현/시이다.

1.2 산하 행정구역


롄장 현은 실질 행정구역으로 4개 향을 두고 있다(중국 대륙에 지정한 명목상의 행정구역은 제외)

  • 난간 향(南竿鄉) : 현청 소재지
  • 베이간 향(北竿鄉)
  • 쥐광 향(莒光鄉)[4]
  • 둥인 향(東引鄉)[5]

1.3 교통

난간 향과 베이간 향에 각각 공항이 있어, 난간 - 타이베이, 난간 - 타이중, 베이간 - 타이베이 노선으로 타이완 섬으로 갈 수 있다. 소요시간은 대략 1시간 정도.

난간 향과 타이완 성의 지룽 시와는 배편이 있으며, 하루 1회 운행한다(주 1회 운휴). 직항과 둥인 향 경유편을 격일로 운행한다(지룽-둥인-난간-지룽-난간-둥인-지룽... 방식). 그 밖에 난간 향을 중심으로 하여 현내를 운행하는 배편이 있다.

난간 향 내에서는 시내버스가 운행한다.

같은 성에 속하는 진먼으로 가는 교통편은 없고 타이완 섬에서 환승해야 한다.

난간 향에서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시 마웨이(馬尾) 구로 가는 배편도 있다.

1.4 개명 논의

롄장이라는 지명은 중국 대륙(본토) 내 명목상 관할 지역에 있는 민 강(閩江), 아오 강(敖江)과 연계된 지명이다. 그런데 현재는 마쭈 일대만 실질 관할하고 있으므로 이 일대를 마쭈 현(馬祖縣)으로 바꾸자는 주장도 있다고 한다.# 만약 이 주장이 받아 들여지면, 중화민국 정부는 롄장 현의 범위를 중국 대륙 내 명목 관할 구역으로 축소하고 마쭈 일대에 마쭈 현을 신설하는 식으로 행정구역을 변경할 것으로 생각된다.[6][7]물론 중화민국이 중국 대륙을 지배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롄장 현이 마쭈 현으로 개명된 것이나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어차피 중화민국 롄장 현 정부 조직도 모두 마쭈 현 정부로 승계될 것이니...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사례로 인천광역시 옹진군 송림면이 1999년 연평면으로 변경된 사례가 있다.[8]

2 중화인민공화국의 롄장 현

連江縣(연강현) / 连江县 / Lianjiang County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 푸저우 시(福州市)[9]에 소속된 현이다. 명목상으로는 중화민국이 실질 통치하는 지역도 관할구역으로 편성하고 있으나(단 중화민국의 쥐광 향에 속한 섬들은 롄장 현이 아닌 창러 시에서 관할한다) 실질적으로는 그 지역을 제외한다. 중화민국의 롄장 현과 마찬가지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현이다. 물론 만약에 중화민국이 마쭈 열도 지역을 마쭈 현으로 분리시킬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입장에서만 분단된 현이 될 것이다. 창러 시는 각주에서 언급한 대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만 분단된 현급시이다.

  1. 푸젠 성 푸톈(莆田) 현도 원래는 분단된 현이지만(푸톈 현 우추 향이 중화민국 령), 원래의 푸톈 현(중화인민공화국은 이후 푸톈 시로 승격시킴) 중 중화민국의 주권이 미치는 지역은 현재 진먼 현으로 이관(진먼 현 우추 향)되어 있다.
  2. 지금도 이 열도의 주 섬은 난간(南竿) 섬이다.
  3. 창러는 롄장과 마찬가지로 푸젠 성 본토에 있는 현이었고(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승격시켜 창러 시) 도서부 일부(창러 현 쥐광 향)를 중화민국이 영유했다. 뤄위안 역시 푸젠 성 본토에 있는 현이지만 중화민국이 전부 잃었다. 하지만 둥인 향 지역(원래 롄장 현 소속. 여기는 창러 현으로 편입시킨 적도 있다.)을 이곳에 편입시켜 한동안 유지시켰다. 그래서 남한의 옹진군과 비슷한 식이 된 것이다.
  4. 국공 내전 이전에는 창러 현 소속. 원래 이름은 바이취안 향(白犬鄉)이었으나 1970년에 개명하였다. 그래서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개명 전 이름으로 쓴다.
  5. 가장 큰 섬인 둥인 섬에서 따온 이름인데, 둥인 섬 바로 옆에는 정반대의 의미를 가진 시인(西引) 섬이 있다. 두 섬은 둑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화민국의 실효통치구역 최북단이 속하는 행정구역이다.
  6. 아니면 롄장 현을 통째로 마쭈 현으로 개명하면서 마쭈 현(기존 롄장 현)의 관할구역을 마쭈 지역으로 축소하고 새로운 롄장 현을 중국 대륙에 설치하는 식으로 조치할 수도 있다. 어차피 기존 롄장 현이 사실상 그대로 마쭈 현으로 승계될 것이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하는 게 행정 처리상 편할 수 있다.
  7. 그런데 현 중화민국 롄장 현 중 원래 창러에 속했던 쥐광 향을 제외한 나머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에서는 롄장 현 마쭈 향에 속한다. 마쭈 향에 속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실질적인 영토는 없다. 즉 소유자는 행정구역명으로는 마쭈를 안 쓰는데 영유권을 주장하는 상대편이 쓰는 셈.
  8. 송림면은 북한이 지배하는 옹진반도 본토에 걸쳐 있었다. 본래 황해도 벽성군 소속이었으나 38선이 설정된 이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 구 송림면 전체는 38선 이남에 위치해 6.25 전쟁 이전에는 미 군정→대한민국 관할지역이었으나, 1953년 휴전 이후 송림면의 7개 리 중 연평리만 남게 되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정부 수립 전에는 미 군정)의 법정 행정구역상 옹진군이 남북 분단 직후 경기도로 옮겨졌다가 휴전 이후 옹진군이 남북한 관할지역으로 쪼개지게 된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휴전선 이북 지역은 명목상 황해도 옹진군으로 환원하고 휴전선 이남 지역만 경기도 옹진군으로 남겼다. 즉 대한민국에서 사용 중인 법정 행정구역상으로는 옹진군이 둘로 쪼개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송림면도 6.25 전쟁 이후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이후 인천광역시 옹진군 송림면→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과 황해도 옹진군 송림면(현재 북한에서 쓰는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남도 강령군 소속으로 바뀜)의 둘로 쪼개졌다. 따라서 지금까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실질 관할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음에도 행정구역을 분할하지 않고 있는 롄장 현과는 차이가 있다.
  9. 중화민국이 설정한 롄장 현은 푸저우 시라는 행정구역에 속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