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룽

1 중화민국의 도시

25px 중화민국의 실질 행정구역
제1급제2급
타이베이 시(臺北市, 北)
가오슝 시(高雄市, 高)
신베이 시(新北市, 新北)
타이중 시(臺中市, 中)
타이난 시(臺南市, 南)
타오위안 시(桃園市, 桃)
타이완 성(臺灣省, 臺)신주 시
(新竹市)
자이 시
(嘉義市)
지룽 시
(基隆市)
난터우 현
(南投縣)
먀오리 현
(苗栗縣)
신주 현
(新竹縣)
윈린 현
(雲林縣)
이란 현
(宜蘭縣)
자이 현
(嘉義縣)
장화 현
(彰化縣)
타이둥 현
(臺東縣)
펑후 현
(澎湖縣)
핑둥 현
(屛東縣)
화롄 현
(花蓮縣)
푸젠 성(福建省, 閩)롄장 현
(連江縣)
진먼 현
(金門縣)

基隆市(기륭시) / Keelung City킬룽시[1]/ Ke-lâng-chhī[2]
500px
날씨가 흐리다 사진에 있는 도로는 중산고속공로의 지룽 시종점 구간.
500px
저녁의 지룽항의 모습.

300px-Taiwan_ROC_political_division_map_Keelung_City.svg.png200px-Seal_of_Keelung.svg.png
지룽 시의 위치지룽 시의 문장B가 보이면 기분탓

1.1 개요

중화민국 타이완 성에 있는 월경지. 남부의 가오슝과 비견되는 무역 항구도시이다. 대한민국인천광역시에 해당하는 급의 위치이다. 인구는 2010년 기준 387,207명.

타이베이의 외항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원래는 신베이단수이 지역이 타이베이의 외항이였으나 토사가 쌓여 선박 진입이 불가능해져서 항구의 기능을 지룽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 지역은 본래 대만 원주민 중 한 일족인 케타갈란(Ketagalan, 한자 음차로는 凱達格蘭이라고 한다) 족의 땅이었고, 계롱(雞籠[3], 대만어로는 Ke-lâng으로 불리는데 '케타갈란'이 와전된 것으로 보이며 한자에는 별 뜻이 없는 음차 표기이다)이었으나 1861년 개항이 되어 외국과 교류할 때 이름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188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다만, 대만어로는 변함없이 이전 지명인 Ke-lâng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고, 현재의 한자 표기대로 읽은 Ki-liông은 드물게 쓰이는 듯하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일본 제국의 군항으로 사용되었다. 일본과 가까운 이유로 일본인이 대규모로 이주해서 살았다. 1925년 지룽시의 인구는 약 7만명이었으나, 이 중 일본인이 1/4이 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가 끝나면서 장제스가 전부 다 쫓아내거나 죽였다 카더라

타이베이의 위성도시이며, 국공내전에서 패전한 뒤 대만으로 들어온 외성인의 비율이 높다. 좀 옛날 통계지만 1990년 기준으로 외성인 인구가 19.8%로 대만 섬에거는 타이베이(25.5%)에 이어서 2위. 그리고 야경이 매우 유명하다. 아시아에서 야경이 아름다운 도시를 꼽을 때 홍콩과 더불어서 지룽은 꼭 꼽힌다.

타이베이역에서 지룽역까지는 기차로 45분 가량이 소요되며, 요금은 구간차가 41NTD. 쥐광호는 54NTD, 즈챵호는 71NTD이다. 버스로는 30~50분 가량이 소요되며, 타이베이역, 송샨공항, 동취, 스린, 공관 등 타이베이 시내 주요지역에서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이 도시는 우항(雨港)이라는 별명이 있다. 연 강수량이 3,755mm에 달한다! 열대우림??

파일:R3wefrweftwetwert.jpg
'우항지룽'(雨港基隆)이라는 미연시 게임도 있다.(...) 위키피디아 대만판 해방 정국인데... 어째 Nice Boat.삘이다

1.2 모에화 캐릭터: 지룽소녀

지룽소녀 페이스북
파일:Keelungmusume.jpg
2015년 가오슝 첩운 소녀에 자극을 받았는지 지룽소녀라는 공식 모에화 캐릭터를 만들었다.

1.3 산하 행정구역

  • 지룽 시는 산하에 7개의 시할구가 있다.
Districts_of_Keelung-Taiwan.png중정 구(中正區) [4]
중산 구(中山區)
런아이 구(仁愛區)
신이 구(信義區)
안러 구(安樂區)
놘놘 구(暖暖區)
치두 구(七堵區)

2 네이버 웹툰 헬퍼의 등장인물 지룽

지룽(헬퍼) 항목 참조.

  1. 영어 Keelung은 우정식 병음 표기에서 나온 것으로, 표준중국어가 아닌 남부 방언 발음을 전사해서 그렇다. 지룽 시를 한어병음으로 적으면 Jīlóng Shì,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으로 적으면 Chi¹-lung² Shih⁴가 된다.
  2. 대만 민남어(대만어)로는 옛 이름인 雞籠(계롱)의 발음대로 읽어서 Ke-lâng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基隆市대로 읽는다면 Ki-liông-chhī가 된다.
  3. 현재 대만에서는 '닭 계' 자를 雞로 쓰는 게 표준이라 여기서는 雞籠으로 적었다. 하지만 한국의 한자나, 중국 대륙에서 필요 시 사용하도록 정해져 있는 번체자, 일본의 구자체로는 鷄가 표준이다. 그래서 鷄籠 식의 표기도 볼 수 있긴 하다.
  4. 시청 소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