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요슈

1 내용

万葉集
만엽집

일본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시 모음집이다.

만엽집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엽의 뜻에 대해서 '코토노하(言の葉)', 즉 말이라는 설도 있고 이야기나 시의 비유라고도 하는 설도 있어서 어쨌든 만엽집은 '많은 시를 엮은 책'이라는 뜻이다. 판본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20권의 책에 약 4516수의 시가 실려 있으며, 아직 가나가 만들어지지 않은 시기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향찰과 비슷하게 일본어 발음을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만요가나'로 쓰여 있으며 고대의 일본어를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고대의 일본어로 쓰여 있고 그 발음이 어떤 것이었는지도 불분명한 만요가나로 쓰여 있기 때문에 일본어로도 번역이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현재도 그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시들도 있다고 한다.

시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유교, 도교의 내용을 차용한 것도 있으며, 후기의 작품에서는 불교의 내용을 반영한 것도 보인다. 또한 그와 더불어서 신토와 일본의 덴노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다. 이 20권의 책은 한번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모은 시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그 양을 늘려나간 것으로 보이며 그에 따라 수집자가 누군인가와 편찬자가 누군인가에 대해서 많은 설이 존재한다. 일본 왕실이 그 편찬에 크게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일단 마지막 편집자가 오토모노 야카모치라고 하는 것이 현대의 통설이다. 시의 창작연대는 347년부터 759년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지만 다수의 시는 600년 이후에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책마다 문체, 만요가나의 사용법 등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 일부 존재하는데, 이 역시도 만엽집이 긴 시대를 걸쳐 다양한 저자에 의해 집필되었다는 설에 힘을 실어준다.

그 방대한 양[1] 때문에 현재 영어중국어로만 완역이 되어 있고, 한국어로의 번역은 현재 이연숙 교수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20권 모두를 번역할 예정이라고 하며 현재 제 9권까지의 번역을 완료하였다. 이 만요슈가 사실은 한국어 시집이며 한국어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 이영희라는 사람도 있는데, 과거 90년대 조선일보에 '노래하는 역사[2] '라는 이름으로 그 내용을 연재한 적도 있다. 하지만 고대 한국어가 어땠는지에 대한 통일된 의견도 없는 마당에 이영희는 무척이나 자의적으로 해석하였고, 미즈노 슌페이의 고문헌 연구의 방법론에 기초한 체계적인 반박에 논파당하면서 현재는 이런 설을 믿는 사람은 극소수이다. 자세한 반박 내용은 미즈노 슌페이 문서를 참조. 다만 만요슈의 많은 노래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다는 주장도 있긴 하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굉장히 부러운 책이 아닐 수 없는데, 고대의 시인 향가가 겨우 28수[3]만 남아 있어서 고대의 한국어에 대한 자료가 너무나도 부족하고 고대 한국어의 재구 또한 몇몇 단어에 한정되어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어학계에 비하면 4,516수라는 거대한 분량은 과거의 어휘는 물론 문법이나 활용 등등 연구할 분야가 끝도 없을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예전부터 이런 고전 문헌들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이 발달해와서,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은 아니지만 신라향찰을 해석할 때 일제강점기시절 일본인 언어학자 오구라 신페이만요가나와의 유사점에 착안해서 역사상 최초로 향가를 해석을 시도했다.

2 관련 항목

  1. 총 20권에 수록된 시가만 4500수가 넘어간다. 현대의 책 기준으로 해도, 만요가나 원문+현대어 해석+역주가 달려있는 일본 현지 서적들의 분량도 가볍게 10권이 넘어간다.
  2. 이 책 자체는 조금만 일본 고문학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불쏘시개에 가깝다는 걸 알 수 있는데, 마쿠라코토바를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내용을 음탕하게 바꾸어놓는 등 그 의도가 학술적이라기보단 악의적인 해석이 많다
  3. 그마저도 두 수는 위서로 추정되는 화랑세기에 적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