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전생

無想転生

북두의 권에 등장하는 기술. 북두신권 최종오의.

단지 권의 강력함만으로는 터득할 수 없으며, 인간의 모든 감정 - 그 중에는 슬픔과 사랑도 있다 - 을 깨우친 자만이 익힐수 있는 궁극 오의. 그 근본 원리는 상대의 기술을 한 번 본 것으로 자신의 것으로 할 수 있는 북두신권 오의 수영심(水影心)에 있다. 즉 상대의 기술을 따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자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열쇠 중 하나.

결국 모든 것을 비우고 일종의 해탈의 경지에 들어서면 무(無)가 되는데, 세상에서 무라는 개념이 사라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이 기술을 깰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켄시로와 라오우의 싸움에서 '무'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같은 '무'라는 것이 드러난다. 바로 무상전생을 부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무상전생으로써 동화되는 것.[1] 엑스데스??

북두신권 2000년의 역사중 이것을 터득한 자는 아무도 없었다...라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대에 라오우, 켄시로 모두 이 기술을 터득하는 불행에 가까운 우연이 일어난다. 두 개의 무상전생의 발동이 겹치면 서로의 몸이 새하얘지고 모두의 분노, 증오 등이 씻겨져 보여 순수한 모습으로 보이는 모양.

켄시로는 지금까지 친구라 부를 수 있었던 수많은 강적들과의 싸움에서 그들의 슬픔을 몸에 하나씩 새기면서 이 기술에 도달했고, 슬픔도 사랑도 모른다 자부했던 라오우는 사랑하는 유리아의 죽음과 그런 앞에서도 자신을 위하는 그녀의 마음에 의해 슬픔과 사랑을 깨닫고 이 기술을 익히게 되었다.

라오우 또한 후도우와 유리아의 죽음(정말로 죽은건 아니지만)에 슬픔에 눈을 떠 사용할수있게 되어 켄시로와 최후의 싸움을 벌였다.

후에 북두류권의 계승자 카이오우와 싸우다가 그의 암류천파에 의해 허무하게 깨지지만, 사실 무상전생은 켄시로의 삶 자체였기 때문에 이후엔 이거 특별히 안 써도 이 기술 저 기술에 쳐맞고 패배하게 된다.[2]

하지만 켄시로 전의 계승자들은 아무도 쓰지 못했다는 이 기술도 앞선 시대를 다룬 창천의 권에선 카스미 켄시로가 사용한다, 류켄이 대륙에서 놀던 형님의 이야기를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문에라고 한다면 커버가 가능하다지만...그런데다가 이 무상전생을 넘어선 궁극오의 창룡천라 라는게 덜컥 나와버러서 위상이 좀 흔들거린 적도 있다.[3]

기술에 대한 묘사로는 흐르는 듯한 움직임으로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오의이다.(암류천파의 투기공간에서는 투기흐름을 제어하지 못해 실체가 파악당했다.) 슬픔을 알고 모든 것을 해탈한 무의 경지에서 비로소 생이 생겨난다는 등 있어보이는 설명으로 도배해놨지만 사실 이건 토키의 유권의 움직임이나 류켄의 칠성점심과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다. 애초에 작품에서 흐르는 듯 여러명으로 보이는 묘사역시 토키의 움직임이나 류켄의 칠성점심과 동일하다.(상대의 실체나 움직임을 잡아내지 못하는 효과 역시 동일하다.)[4]

후속작이자 프리퀄인 창천의 권에서는 유종무와의 싸움에서 선보이는데 이때의 연출은 암흑으로 변하면서 만약 유종무가 주먹을 넣었다면 오히려 당했을거라며 땀을 흘린다.
다만 여기서는 창룡천라라는 오의가 등장했기에...

점프 얼티밋 스타즈에선 반격기로 등장. 후딜은 약간 길지만 일단 걸리면 킹왕짱 데미지를 선사하며[5], 덤으로 라오우나 켄시로 본인에게는 일시 무적 효과까지 걸린다. 게다가 밀어내는 반경이 멀어서 번지용으로도 제격. 단 반격 자체는 판정이 강해도 무적은 아니라서 범위 넓고 판정 좋은 기술이랑 부딪히면 발동되다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그 점 주의하자.

북두무쌍에서는 켄시로라오우의 전승오의로 나오는데, 사용시 몸이 빛나면서 일시적으로 무적이 된다. 다만 투기게이지를 3개나 사용하는데 비해 지속시간이 짧은 편이라 효율성이 낮아서 잘 쓰이진 않는다. 하지만 상대가 쓰면 공포. 켄시로 전설편 마지막 보스인 라오우가 무상전생 쓰고 달려들면 리치왕급의 공포를 느낄 수 있다.

AC 북두의권 에서는 켄시로와 라오우의 초필살기 개념으로 등장, 기술 자체는 아무런 공격효과를 내지 못하고, 부스트 게이지 상단에 불꽃이 생기며, 스트리트 파이터 서드의 블로킹 개념처럼 상대방의 공격에 맞춰 레버를 앞 , 하단공격은 밑으로 입력해서 성공하면 상대방의 뒤로 돌아간다. 킹오파의 가드캔슬 긴급회피를 생각하면 될듯. 7번 사용하면 사라지며 AC북두의권의 게임 특성 상 상당히 유용한 기술. 초필살기급은 무상전생이 불가능하다.

  1. 무상전생에 대항할 수 있는 다른 기술이라고 한다면 후술하다시피 켄시로의 무상전생을 무력화시킨 북두류권의 암류천파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공간 왜곡을 통해 시전자를 당황시켜서 허점을 만든 것이므로 무상전생 자체를 파괴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지도 모른다. 공간 왜곡에 대처하는 물리적 원리를 터득한 켄시로에게는 암류천파도 더 이상 통하지 않았다.
  2. 효우와의 대결에서는 암류천파를 직접 깨부수는 방법도 묘사되는데, 흑야차는 암류천파의 좁은 범위를 빠르게 벗어남으로서, 켄시로는 몸을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중심을 잡음으로서 암류천파를 무효화시켰다. 궁극오의 무상전생도 무력화시킨 암류천파이지만 암류천파의 위력은 공간 왜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만드는 것에서 기인하므로 그 상황의 대처법을 아는지 여부에 따라 무상전생의 경지에 올라도 당할 수 있고, 오르지 않아도 파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그렇지만 창룡천라 라는 기술이 딱히 데미지를 주는게 아니고 걍 1:1을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정도라서, 카운터기술로 묘사되는 무상전생의 입지를 위협하지는 않는다. 정확히 말하면 궁극의 비기인데 걍 본 사람이 없어서 궁극인듯
  4. 사실 켄시로가 처음 무상전생을 시전했을 때도 라오우가 켄시로의 움직임을 보고 토키의 움직임을 연상한다. 계속해서 토기의 기술, 레이의 기술 등을 쓰는데 명확하게 무상전생이 어떤 기술인지 설명이 안나오다가 바닥이 붕괴되어 결전이 미뤄지고 이후 라오우와의 최종결전에서 다시 무상전생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그냥 토키의 물흐르는 듯한 움직임으로 묘사가 고정되어 버린다. 이후 카이오우와의 결전에서 겨우 무상전생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그냥 단순히 토키의 유권의 움직임 내지 류켄의 칠성점심이다. 작가의 상상력의 한계에 의한 돌려쓰기인 듯
  5. 특히 지타입의 캐릭터들에게는 낮은 체력+무상전생의 데미지+역타입 보정의 효과로 인해 걸리면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