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6/유닛/고유 유닛

< 문명 6‎ | 유닛

1 개요

문명 6의 문명별 고유 유닛을 모아 놓은 문서. 내용이 길어 분리되었다.
일부 문명의 고유 유닛은 기존의 유닛을 대체하는 대체 유닛 이외에 순수하게 추가되는 유닛들이 있다.
이런 유닛들은 대부분 상대보다 좀더 더 낮은 테크에서 뽑을 수 있는 상위 병종이거나 동시대에서 좀더 강력한 동종 유닛들이다. 앞선 예시는 수메르 전차, 중국 와호 등이 있고, 뒤의 예시는 일본 사무라이, 영국 레드코트 등이 있다.

2 고대시대

2.1 독수리 전사 (아즈텍)

civ6_eagle3.jpg
대체: 전사
이동력 2 / 전투력 28 / 생산 비용 ???
요구 사항: 없음
능력: 다른 문명의 적 유닛을 처치하면 건설자로 바꿀 수 있음[1]
도시국가의 유닛을 처치해도 건설자가 생긴다.
실제로 사용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특성이긴 한데 무조건 건설자로 바꿀수 있는게 아니고 확률적으로 바꿔진다. 높은 테크의 유닛 일수록 확률이 낮아져 천년만년 업그레이드를 안하고 건설자를 찍어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 확률은 독수리 전사로 처치 가능한 체력의 유닛에게 커서를 올렸을때 전투정보창을 보면 알수있다.

2.2 전차 (수메르)

civ6_war-cart1.jpg
대체: -
이동력 3 / 전투력 30 / 생산 비용 55
요구 사항: 없음
능력: 개방 지형에서 턴을 시작할 때마다 이동력 보너스 / 대기병 유닛이 주는 전투력 패널티 받지 않음

고대 유닛 중 그 어떤 유닛과 싸워도 이기는 강력한 특유 유닛으로 같이 싸우는 것 말곤 좋을 거 없는 길가메쉬의 꿈과 희망의 전차이다.
전차의 진정한 위력은 전사, 투석병사처럼 아무런 연구를 하지 않아도 뽑을 수 있는 유닛인데, 어떤 자원도 필요로 하지 않는 유닛이라는 점이다. 그런 주제에 전투력과 이동력, 생산비용 모두 자기보다 상위 테크 유닛인 중전차보다 높으며 창병과 싸울 때 패널티조차 받지 않는다. 이런 강점으로 길가메시는 남들은 전사와 투석병사로 버티며 궁수, 기마병, 중전차 테크를 기다리고 있을 때 전차로 상대 문명을 휩쓸며 고대 시대의 패왕으로 군림하게 된다.
높은 이동력으로 초반 야만인 주둔지를 쓸고 다니는데도 도움이 되고 매우 훌륭한 가격 대 성능으로 바퀴벌레처럼 마구마구 뽑아 다닐 수 있다. 두 대만 모이면 야만인 취락이란 취락은 죄다 털고다니며, 가까운 곳에 적국이 보인다면 두 대를 뽑고 전쟁을 하며 한 대 정도 보충해주면 바로 시작지점 보정을 받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낼름 삼킬 수 있다 (...)
이렇게 고대 깡패짓을 하면서 진급을 쌓아둔 전차를 보존해두면 곧 기사로 업그레이드되어 중반까지도 괴물같은 파워를 보여줄 것이다. AI도 그걸 아는지 굉장히 애용하며, 사실상 길가메쉬가 초반에 날뛰는 이유이자 알파이자 오메가인 유닛.

전차가 가지는 최고의 장점이 기본 유닛인 만큼 시간이 지나서 바퀴 연구를 마친 이집트의 마리야누 전차 궁병과 기마술 연구를 끝낸 사카 궁기병이 등장한다면 패권을 넘겨줘야 한다. 다만...두 문명의 특수유닛을 제외하곤 전차를 막을 고대 유닛이 없는 만큼 길가메시 플레이어라면 두 문명이 근처에 없기를 바라자.

2.3 마리야누 전차 궁병 (이집트)

civ6_maryannu1.jpg
대체: 중전차
이동력 2 / 근접 전투력 21 / 원거리 전투력 33 (사거리 2) / 생산비용 140 / 유지비 2
요구 사항: 바퀴 연구
능력: 개방 지형에서 이동력 보너스

마리야누 전차는 사거리 2라는 우월한 원거리 공격으로 적들을 휩쓸 수 있는 문명 6의 유일한 기병 계열 유닛이다. 능력으로 개방 지형 이동력 보너스가 붙어 중전차와 기마병에게도 꿀리지 않는 다는 점도 눈에 띈다.
문명 5에서 최고효율을 내어 중세까지 굴릴 수 있었던 전차 궁수가 문명 6에선 삭제되고, 같은 기마 병종이면서 원거리 공격을 지닌 사카 궁기병의 사거리가 1인 걸 생각하면 상당히 강력한 유닛. 말이 필요 없는 걸 제외하면 안습하기 그지없던 문명5의 이집트 전투 전차가 전차 궁수 삭제와 훈족 궁기병의 부재로 인해 간접 상향을 먹어 문명 6에 등장한 셈이 되었다.

2.4 장갑 보병 (그리스)

civ6_hoplite1.png
대체: 창병
이동력 2 / 전투력 25 / 생산 비용 65 / 유지비 1
요구 사항: 청동 기술 연구
능력: 다른 장갑 보병과 인접해 있으면 전투력 +10

팔랑크스를 구현한 것인지 장갑 보병과 인접해 있으면 전투력 보너스 10을 얻는데 인접한 장갑 보병 하나당 10을 얻는 것은 아니다. 보너스를 받으면 35라는 검사급의 전투력을 얻어 아테나라면 수비에, 스파르타라면 공격에 유용하게 쓰이는 유닛
단, 그래도 창병이기에 검사 UU가 있는 문명 상대론 전투력 페널티를 받고 밀린다.

2.5 바이킹 롱십 (노르웨이)

civ6_longship4.jpg
대체: 갤리
이동력 3 / 전투력 30 / 생산 비용 65 / 유지비 1
요구 사항: 항해 연구, 지도자 하랄 하르드라다
능력: 해안 약탈로 민간 유닛을 잡을 수 있음. 연안 타일에서 이동력 4로 증가

문명 5의 갤리[2] 대체 유닛이 좋은 평을 못들었던 만큼 그 전통을 이어 성능은 애매하다는 평.

2.6 사카 궁기병 (스키타이)

civ6_saka1.png
대체: -
이동력 4 / 근접 전투력 15 / 원거리 전투력 25 (사거리 1) / 생산비용 100 / 유지비 2
요구 사항: 기마술 연구
능력:행동력 4와 사거리1을 보유한 원거리 유닛.

전략 자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 스키타이의 특성을 받아 한번에 두 기가 생산되는 물량전의 핵심. 다만, 골드로 구입할 경우 한 마리만 나온다. 두 기가 함께 나오는 만큼 한 기의 전투력만으로 따졌을 때는 생산력도 전투력도 중전차나 기마병에 한참을 못미친다.
그렇기에 압도적인 기동력과 물량. 더불어 스키타이의 지도자 특성인 유닛 처치 시 체력회복과 부상당한 유닛 공격 시 추가 전투력 획득을 잘 이용해야만 빛을 보는 유닛이다.

3 고전시대

3.1 군단병 (로마)

civ6_legion1.jpg
대체: 검사
이동력 2 / 전투력 40 / 생산 비용 110 / 유지비 2
요구 사항: 철제 기술 연구
능력: 요새와 도로 건설 가능 (횟수 제한 있음)

문온 빼고 문명 시리즈에서 언제나 처럼 중세시대급 능력치의 고전시대 유닛으로 나왔다. 초기 로마의 막강함을 담당한다. 적을 전멸시킬 시 군단병 중 한명이 적을 향해 덤블링 하면서 밴다(...)
군단병은 요새와 도로 건설 말고도 벌목과 습지제거 둘다 가능한데 고전시대유닛 +50% 특성을 받으면 군단병생성-벌목-군단병생성-벌목의 무한반복으로 빠르게 다수의 군단병을 확보할수 있다

3.2 은가오 음베바 (콩고)

civ6_ngao_mbeba1.jpg
대체: 검사
이동력 2 / 전투력 35 / 생산 비용 110 / 유지비 2
요구 사항: 철제 기술 연구
능력: 숲과 열대우림에서 이동력, 시야 방해 없음 / 원거리 공격을 방어할 때 전투력 +10

전작의 숲과 정글 보너스를 받는 유닛들이 대부분 전투력에 보너스를 받았다면 이 유닛은 시야와 이동력에 보너스를 받고 있다. 검사의 대체 유닛이지만 철이 들지 않는다는 점도 전작과 동일. 하지만 문명 6은 5와 다르게 자원을 하나만 소유하고 있어도 자원을 요구하는 유닛을 무한정 뽑을 수 있기에 자원을 요구하지 않는 점을 메리트 삼아 물량전으로 밀고 들어갔던 전작의 검사 대체 유닛보단 성능이 덜한 편이다.
하지만 숲과 정글을 바리게이트 삼아 방어를 시작하면 고전 시대에선 은가오 음베바를 뚫을 유닛이 없기에 자연스레 콩고를 방어와 내정 위주로 가게 만든다.

원거리 공격을 방어할 때 전투력 +10은 보병계열의 1번째 진급과 효과가 같지만 그 진급을 가지고 생산되는게 아니라 유닛의 고유 능력이기에 중복으로 적용되고 업그레이드 하면 효과가 없어진다.

3.3 바루 (인도)

civ6_varu1.jpg
대체: 기마병
이동력 2 / 전투력 40 / 생산 비용 120 / 유지비 3
요구 사항: 기마술 연구
능력: 인접한 적 유닛의 전투력 -5

코끼리라서 그런지 기병 계열임에도 이동력이 느리다. 대신 전작의 카트타고 고유 유닛인 아프리카 숲 코끼리와 비슷한 보너스를 가진 것이 특징.
말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생산력과 유지비가 동시대의 어떤 유닛보다 높기에 디버프를 골고루 뿌려주는 용으로 쓰는 편이 효율이 높다. 참고로 전투력 디버프는 중첩이 가능하며 도시에도 적용이 된다! 바루들로 도시를 포위하면 도시의 전투력이 급감하는 모습을 볼수 있다.

4 중세시대

4.1 사무라이 (일본)

civ6_samurai1.png
대체: -
이동력 2 / 전투력 45 / 생산 비용 180 / 유지비 3
요구 사항: 군사전술 연구
능력: 체력이 줄어도 전투력이 줄지 않음

전작의 사무라이가 검사 대체 유닛이었던 것과 달리 추가 유닛으로 등장했으며, 전작 일본의 특성인 무사도를 능력으로 달고 나왔다.
개방 보너스도 사라지고 위대한 장군 점수도 사라진 대다가 대체가 아닌 추가 유닛으로 등장하는 바람에 검사보다 테크도 늦어지고 말았다. 하지만 사무라이의 강점은 시대의 틈을 찌르는 유닛이란 점이다.
문명 6은 유닛의 진급 텀이 제법 크기 때문에 르네상스 시대가 오기 전에 검사와 석궁병, 기사를 운용해야 하는 기간이 긴 편이다. 거기서 일본은 중세와 르네상스 사이에 사무라이를 들고 나옴으로서 남들보다 강력한 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무라이는 테크가 늦는 만큼 같은 시대의 유닛보다 강력하기에 이 사이가 일본이 군사력에 있어 가장 강력한 시점이다.

다만, 문명 6이 생산력을 구하기 힘든 점 때문에 전쟁을 벌일 만큼의 사무라이가 준비 된 시점이면 다른 문명들이 르네상스 시대로 접어들어 검사들을 머스킷병으로 진급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장점도 있는 만큼 이래저래 패널티도 큰 편. 전작과 달리 검사의 진급 유닛이 아닌 게 아쉬워지는 타이밍이다.

4.2 광전사 (노르웨이)

civ6_berserker1.jpgciv6_berserker2.jpg

대체: -
이동력 2 / 전투력 40 / 생산 비용 180 / 유지비 3
요구 사항: 군사전술 연구
능력: 약탈 시 이동력 소모 -1 / 공격 시 전투력 +7, 방어 시 전투력 -7 / 적 영토에서 턴을 시작하면 이동력 4로 증가

전작의 광전사가 가지는 강력함을 그대로 가지고 이어온 유닛. 거기에다가 노르웨이의 문명 특성과 지도자 특성 때문에 더욱더 강력해졌다.
남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지도 제작 연구를 해야 해양 타일 이동이 가능한데 비해 고전 시대의 조선 연구만 끝내면 해양 타일 위를 이동할 수 있어 바다 건너 문명을 개박살 내러 가는데다가 전작의 고유 능력인 수륙앙용이 지도자 특성으로 나와 다른 유닛과 함께 해안 강습이 가능하다. 적 영토 내에서 이동력이 4로 증가되는 능력은 가히 독보적으로 전작의 이동력이 3이던 광전사가 2로 줄어든 점이 전혀 아쉽지 않게 해준다. 다만, RPG에서나 나오는 광전사의 약한 방어력이 문명 6에서 등장해 상대의 공격을 받으면 의외로 허무하게 쓰러지는 장면도 볼 수 있다.

르네상스 시대가 오길 기다리는 다른 문명을 무차별 침공하여 중세 시대의 깡패로 군림하게 하는 훌륭한 역사적 고증을 보여주는 유닛이라 할 수 있다. 광전사의 약탈 러쉬에 당한 문명은 중세 암흑기가 뭔지 간접 체험하게 된다.

4.3 맘루크 (아라비아)

civ6_mamluk2.jpg
대체: 기사
이동력 4 / 전투력 48 / 생산 비용 180 / 유지비 3
요구 사항: 등자 연구,철 2[3]
능력: 턴이 끝날 때마다 체력 10 회복

많은 사람이 기다리던 아랍권의 고유 유닛인 맘루크다.
모든 능력치가 기사와 같지만 고유 능력으로 턴이 끝날 때마다 체력 회복이 붙어있어 장기전에 유리한 유닛. 기사의 대체 유닛이라 가득이나 강력한 성능을 지녔는데 능력 덕에 어떤 유닛과 붙어도 쉽게 쓰러지지 않기 때문에 종교 특성을 전부 전쟁, 전투에 몰아버린 아라비아 플레이어들이 성전을 부르짖게 만든다.

하지만 근처에 아라비아가 있단 사실을 알고 있는 플레이어라면 그 전에 넉넉히 장창병을 마련해놨을 가능성이 높으니 이래저래 남의 눈치를 살피게 만드는 유닛이기도 하다.

5 르네상스 시대

5.1 콩키스타도르 (스페인)

civ6_conquistador4.jpg
대체: 머스킷병
이동력 2 / 전투력 55 / 생산 비용 250 / 유지비 4
요구 사항: 화약 연구, 질산칼륨 2[4]
능력: 선교사, 이단심문관, 사도와 같은 타일에 있으면 전투력 보너스 +10 / 도시가 점령될 때 콩키스타도르가 옆에 있으면 해당 도시는 자동으로 스페인의 대중 종교로 개종됨 [5]

기사 대체 유닛이었던 전작과 다르게 이번엔 머스킷병 대체로 등장했다. 기사 대체인 바람에 중세 시대에 등장했던 전작과 달리 시대적 고증을 만족시키고 있다.
종교 유닛과 동행하면 +10이라는 높은 보너스를 얻게 되며, 점령지를 바로 개종시키는 능력은 스페인을 종교 전쟁의 강자로 만들게 된다.
기본 성능에 더불어 정책 카드에 군사 정책인 종교 전쟁(다른 종교를 믿는 문명의 유닛과 싸울 때 +4 전투력 보너스)을 넣고, 지도자 특성인 엘에스코리알(다른 종교를 따르는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경우 전투 유닛은 전투력 보너스 +4를 획득)이 더해져 강력한 성능을 지니는데 콩키스타도르의 능력인 강제 개종과 종교 강화 교리인 신앙의 옹호자(종교를 믿는 우호적인 도시 영토 내에서 전투력 +10)의 시너지가 더해지면 무시무시한 전투력 보너스를 획득한다.
동시대 유닛은 공격하자마자 삭제, 한 시대 차이의 유닛과도 교전이 가능한 종교 전쟁의 강자라 볼 수 있다.

5.2 와호 (중국)

civ6_tiger_cannon1.jpgciv6_tiger_cannon2.jpg

왜 애들이 파타퐁을 들고 있냐...
대체:-
이동력 2 / 근접 전투력 30 / 원거리 전투력 50 (사거리 1) / 생산 비용 160 / 유지비 3
요구 사항: 기계
능력: 사정거리가 1이고 매우 강한 공격력을 가진 원거리 유닛[6]

와호라 번역되었지만 실제 명칭은 호준포(虎蹲炮)다. 영문명인 Crouching Tiger Cannon를 직역한 것으로 보인다. 역자들의 조사부족이 느껴지는 아쉬워지는 유닛.
별다른 능력을 지니지 않은 포병이면서 사거리도 1이란 점 때문에 별로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제론 무시무시한 유닛. 그 이유는 포병인 주제에 석궁병과 같은 테크 때 뽑히기 때문이다. 사거리 1의 패널티가 아무렇지 않을 정도로 강력한 파괴력은 능력이 없는 이유가 밸런스 때문임을 느끼게 해준다. 실제로 유닛 설명에도 매우 강한 공격력을 지녔다고 나올 뿐이다.
석궁병과 같은 테크지만 둘다 뽑을 수 있는 중국은 검사 같은 별다른 근접유닛을 뽑지 않은 채 와호를 전열에 세우고 뒤에서 석궁병이 보조하는 형식으로 중세를 지배할 수도 있다.

5.3 영국 해적 (영국)

civ6_seadog3.jpgciv6_seadog4.jpg

대체: 사략선
이동력 4 / 근접 전투력 40 / 원거리 전투력 50 (사거리 2) / 생산 비용 280 / 유지비 4
요구 사항: 중상주의 정책
능력: 물리친 적선을 나포할 수 있음

전작의 사략선의 능력을 들고온 유닛이다. 막타만 치면 죄다 전향되는 사략선 러쉬의 악랄함은 군도맵을 해본사람이면 잘 알것이다. 게다가 6의 사략선은 원거리 유닛이라 생존성도 더 높다.
다만 야만인 유닛은 나포할 수 없다.[7]

6 산업시대

6.1 레드코트 (영국)

civ6_redcoat5.jpg
대체: -
이동력 2 / 전투력 65 / 생산 비용 340 / 유지비 5
요구 사항: 군사학 연구, 지도자 빅토리아
능력: 수도가 없는 대륙에서 전투력 보너스 +10 / 수도가 없는 대륙에 상륙 시 이동력을 소모하지 않음

아래 서술된 제국 근위대와 정반대의 능력을 지녔다.
문명 6의 대륙은 바다를 사이에 둔 땅만이 아닌 아시아와 유럽처럼 이어진 땅도 다른 대륙이 될 수 있기에 굳이 바다로 진출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쓸 수 있다. 물론 상륙 보너스도 있는 만큼 해외 식민지 사업에 쓰는 편이 제일 효율이 좋다.

6.2 제국 근위대 (프랑스)

civ6_imperial_guard1.jpg
대체: -
이동력 2 / 전투력 65 / 생산 비용 340 / 유지비 5
요구 사항: 군사학 연구
능력: 수도가 있는 대륙에서 전투력 보너스 +10 / 적 처치 시 위대한 장군 점수 얻음

레드코트와 능력이 정반대다.
산업시대 유닛이지만 그 이후의 시대에도 상당히 쓸만한 유닛인데 능력에도 나와있듯이 수도가 있는 대륙에있을 경우 전투력이 10더해져 75나 되는데 이는 현대시대의 보병보다도 더 높은 수치다. 한마디로 어지간히 멀리 나가싸우지 않는 이상은 현대시대 보병과 싸워도 전혀 약하지 않은 유닛이다

6.3 코사크 (러시아)

civ6_cossack3.jpg
대체: 기병대
이동력 5 / 전투력 67 / 생산 비용 340 / 유지비 5
요구 사항: 군사 과학 연구
능력: 공격 후 이동 가능

6.4 의용 기병대 (미국)

civ6_cavalry1.jpg
대체: -
이동력 5 / 전투력 67 / 생산 비용 385 / 유지비 2
요구 사항: 강선 연구, 말, 미국 지도자로 시어도어 루즈벨트가 있어야 함 [8]
능력: 언덕 지형에서 전투력 +10 / 수도가 있는 대륙에서 적 처치 시 문화 얻음

6.5 미나스 제라이스 (브라질)

civ6_minas_geraes6.jpg
대체: 전함
이동력 5 / 근접 전투력 70 / 원거리 전투력 80 (사거리 3) / 대공전투력 65 / 생산 비용 430 / 유지비 6
요구 사항: 강철 연구

전함의 대체유닛. 미나스 제라이스는 1차대전시기에 만들어진 12인치 주포탑재 전함인데, 기본 전함이 16인치 주포탑재의 사우스다코타의 외형이기 때문에 모든면에서 기본전함보다 성능이 좋은 미나스 제라이스는 고증면에서 좀 아이러니하게 되었다. 차라리 가격을 싸게 해주지 시간을 뛰어넘는 브라질의 기술력 애초에 근대의 전함들을 보면 사우스다코타는 중~후반쯤에 태어난 셈인데(문명식 시대구분을 따르자면 원자력시대나 현대시대쯤) 기본전함을 사우스다코타로 해서 이런 문제가 생긴것이다. 산업시대에 흑색화약을 쏴대는 소총병이랑 같은 시대에 놓으려면 후기형 전열함이나 철갑선, 아무리 가도 전 드레드노트급 전함이 나와야한다.

7 현대시대

7.1 유보트 (독일)

civ6_u-boat1.jpg
대체: 잠수함
이동력 5 / 근접 전투력 65 / 원거리 전투력 75 (사거리 2) / 생산 비용 430 / 유지비 6
요구 사항: 전기 연구

8 원자력 시대

8.1 P-51 머스탱 (미국)

civ6_fighter1.jpg
대체: 전투기
이동력 6 / 근접 전투력 85 / 원거리 전투력 65 (사거리 4) / 생산비용 540 / 유지비 7
요구 사항: 고급비행 연구
능력: 전투기 상대로 공격력 +5 / 경험치 획득량 +50%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명 6/유닛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야만인은 해당되지 않는다.
  2. 문명 5에서는 삼단 노선이라 번역되었다.
  3. 주둔지가 있을 시 철 1.
  4. 주둔지가 있을 시 질산칼륨 1.
  5. 그러나 현재(발매 이후 첫 버전) 도시 개종 능력은 적용되지 않고 있다. 버그로 추정됨.
  6. 실제로 나오는 유닛 설명
  7. 5의 야만갤리 생각하면 안되는 게, 6에선 야만인의 기술 수준이 게임 안에서 가장 연구가 빠른 문명을 따라가기 때문에(!) 야만인도 캐러밸과 프리깃을 굴려대는지라 하다보면 많이 아깝다.
  8. 조건에는 이렇게 되어있지만 아직 미국 지도자는 T. 루즈벨트 한명뿐이라 나중에 DLC나 업데이트로 지도자가 추가되면 유효한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