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KgwSllr.png
청동기시대 한반도 북부 지방에서 사용되던 민무늬 토기
1 개요
美松里式土器
1959년 평안북도 의주 미송리에서 발견[1]되어 미송리식 토기라는 이름이 붙었다.[2]
6~5세기경 청천강에 살던 주민들이 청동기시대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며. 비단, 청천강 주변 뿐 만 아니라, 요령지역에 광범위 하게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영역을 가늠하는 전투력 측정기 유물 중 하나다. 호오 영역이 넓어지는군요?
2 내용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송리식 토기는 밑바닥이 평평하고 몸은 뚱뚱하고 목 부분이 V자로 들어가 있으며 손잡이가 2개 달린 모양이다. 빗살무늬 토기에 비하면 용됐다.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영역을 가늠해주는 유물 중 하나다. 하지만 위에서도 서술했듯이
동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지라
고조선의 영역이 아니라 당시 요령을 중심으로 한
청동기 문화권을 나타내주는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
주류는 아니다. 사실 비파형동검이나 미송리식 토기를 고조선이 발명한 고유의 유물이라기 보다는 이런 유물들을 생산한 수많은 소국 중에 하나가 고조선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기원전 7세기경 고조선이 이 소국들 중에서 가장 강력해져
요하-
대동강 사이를 통일했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 ↑ 현재까지 평북 용천군 신암리, 압록강 상류의 자강도 중강군 장성리 및 토성리, 청천강 유역의 세죽리 및 구룡리, 대동강·재령강 유역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심지어는 요동지방과 요서에서도 출토된다.
당대 동아시아 첨단을 달리는 항아리였나보다.
- ↑ 북한 학계에서는 '미송리형 단지' 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