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 토기

1 정의

파일:2j8vvMs.jpg
수능 한국사 1번 문제에 단골로 나오는 그림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빗살무늬를 넣은 이유에 대해서 주술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이라 주장하기도 하고, 토기 이전에 사용했던 게 버드나무나 지푸라기를 엮어 만든 도구들이라 그것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새겼다는 주장도 있다. 아무튼 이 같은 잉여예술 행위가 발생 된 원인으로 수렵채집 시절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농경시대로 가면 무문토기들이 나온다. 좀 더 발전되고 기능적인 형태지만 무늬가 없다. 뼈빠지게 농사 짓느라 바빠서 무늬 새길 시간도 없는 것.안습

2 용도

토기의 용도는 그 크기에 따라 각각 달랐을 것으로 추측하는데,현재의 과 같이 대형은 음식저장용, 중형은 취사용, 소형은 식기와 음식준비 과정에 각각 사용되었다고 한다.

3 분포지역

우리나라 빗살무늬 토기와 유사한 형태의 토기는 핀란드, 스웨덴 남부, 북부 독일, 서북 러시아의 카렐리아 지방에서 오카 강·볼가 강 상류지방에 걸친 북유럽 일대, 우랄 산맥을 넘어서 오브 강·예니세이 강 유역 일대, 바이칼 호지역, 몽고지방, 연해주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들 지역의 토기도 빗같은 무늬새기개의 끝으로 눌러서 새기고, 그어서 생긴 선으로 토기 겉면을 장식하고 있고, 토기의 기형면(器形面)에서도 공통되는 점이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 빗살무늬 토기와 동일계통의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가 출토된 유적의 수는 135개에 달한다. 이들은 한반도 전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고 주로 해안가·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서 발견된다. 크게는 대동강·한강을 포함한 서해안 지역, 낙동강을 포함한 남해안 지역, 두만강을 포함한 동해안 지역의 3개 지역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지역군 사이에는 뚜렷한 지역차가 있다.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서는 뾰족 밑을 기본으로 하는 첨저형 빗살무늬 토기가 분포된 반면, 동해안지역에서는 납작 밑을 기본으로 하는 평저형 빗살무늬 토기가 분포되어 있다.

4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문화의 주류를 이루는 빗살무늬토기의 성격이나 변천과정은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문화내용이나 편년설정 규명에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반도에 번영했던 빗살무늬토기도 서기전 1세기 전후에는 농경을 배경으로 전개된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문화의 융성으로 대부분은 무문토기에 흡수, 동화되어 버렸다. 일부 도서지방 같은 곳에서는 그 문화의 전통을 보다 오래 이어가다가 점차 쇠퇴해버린 것으로 생각된다.

5 그 외

2010년대 전후로 넷상에서 누가 뒷북을 치면 이걸 공구하자는 말이 시조새 파킹과 더불어 댓글로 자주 달리기도 했다. 빗살무늬 토기 삽니다 가격 제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