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북한/행정구역
북한의 광역행정구역 | |||||||
직할시 | 평양직할시 | ||||||
특별시 | 남포특별시 | 라선특별시 | |||||
특별구 | 신의주특별행정구 | 금강산국제관광특별구 | |||||
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자강도 |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양강도 |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강원도 |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慈江道 / Jagang-do
1 개관
북한이 1949년 신설한 도. 도의 이름은 자성과 강계에서 한 글자씩 이름을 따왔다.
양강도와 함께 여기를 신설한 것은 분단 당시 북한이 7도[1], 남한이 8도로 총선거 때 의석이 부족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2][3] 강계시는 6.25 전쟁 당시 북한이 밀리면서 임시수도로 기능하기도 했다.
탈북이라는 측면에서는 옆쪽의 양강도에 밀리고, 중국과의 무역이라는 점에서는 역시 옆집인 평안북도에 밀린다. 어째 무관심받는 곳(...) 하지만 나름대로 항일 활동을 했답시고 김일성 관련 유적들이 많은 곳이다.
별로 그렇게 보이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교통편도 좋은 곳인데, 만포혜산청년선을 청년돌격대를 동원해서 뚫어버렸다던가(만포선은 이미 일제 강점기에 진즉 뚫렸다), 평양 - 희천간 고속도로(!!!)가 뚫렸다던가... 덧붙이면 평양 - 신의주간 고속도로도 아직 안 뚫려 있다! 이건 묘향산의 영향이 좀 커 보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 추운 곳으로 유명한 중강진이 중강군(광복 당시에는 자성군의 일부)에 있으며, 6.25 전쟁 당시 국군이 유담리를 넘어 진격하려고 했던 동문거리가 바로 낭림군이다. 이에 대해서는 장진호 전투를 참고.
2008년 기준으로 인구는 1,299,830명이다.
2 지리
면적의 90%가 산지인데다 대륙성 냉대기후 지역답게 겨울에 몹시 춥고 일교차와 연교차가 심하다.
3 주요 산업
지역이 지역인지라 벼보다 옥수수와 콩을 많이 재배한다고 한다. 벼는 주로 낮은 평야지대에서 재배한다고 한다. 그 외에 감자, 밀, 보리 등도 재배한다고 한다.
또한 군수 공업이 크게 발달된 지역이기도 하다. 군사적 요충지로도 중요한 곳으로 여겨지는 곳.
4 북한 내에서의 인식
굉장히 춥고 척박한 곳으로 여겨지지만 물 좋고 미인 많은 곳으로 유명하다. 도의 최대 도시인 강계시가 수려한 경관, 좋은 물, 미인, 살기 좋은 곳으로 워낙 유명하기 때문.
5 하위 행정구역
자강도의 시, 군 | ||||
시 | 강계시 | 만포시 | 희천시 | |
군 | 고풍군 | 동신군 | 랑림군 | 룡림군 |
성간군 | 송원군 | 시중군 | 우시군 | |
위원군 | 자성군 | 장강군 | 전천군 | |
중강군 | 초산군 | 화평군 |
6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좌측이 광복 직후, 우측이 현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
표에서 기록하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평안북도 및 자강도의 행정구역 변화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참고 |
평안북도 | A | 신의주시 | 평안북도 | A | 신의주시 | 166 | [4] | |
평안북도 | B | 의주군 | 1,677 | [5] | ||||
평안북도 | B | 의주군 | 420 | |||||
C | 피현군 | 439 | [6] | |||||
D | 삭주군 | [7] | ||||||
E | 천마군 | 763 | [8] | |||||
평안북도 | C | 용천군 | 570 | 평안북도 | C | 피현군 | 439 | [9] |
F | 룡천군 | 270 | ||||||
G | 신도군 | 108 | [10] | |||||
H | 염주군 | 330 | [11] | |||||
평안북도 | D | 철산군 | 456 | 평안북도 | [12] | |||
I | 철산군 | 364 | ||||||
J | 동림군 | 437 | [13] | |||||
평안북도 | E | 선천군 | 673 | 평안북도 | [14] | |||
K | 선천군 | 450 | ||||||
평안북도 | F | 정주군 | 828 | 평안북도 | L | 곽산군 | 310 | [15] |
M | 정주시 | 473 | ||||||
N | 운전군 | 360 | [16] | |||||
평안북도 | G | 박천군 | 589 | 평안북도 | [17] | |||
O | 박천군 | 288 | ||||||
평안북도 | H | 영변군 | 1,709 | 평안북도 | P | 녕변군 | 504 | |
Q | 구장군 | 584 | [18] | |||||
R | 향산군 | 483 | [19] | |||||
평안북도 | I | 운산군 | 820 | 평안북도 | S | 운산군 | [20] | |
평안북도 | J | 태천군 | 684 | 평안북도 | T | 태천군 | 730 | |
평안북도 | K | 구성군 | 1,242 | 평안북도 | E | 천마군 | 763 | [21] |
U | 구성시 | 653 | ||||||
평안북도 | L | 삭주군 | 1,153 | 평안북도 | D | 삭주군 | ||
W | 대관군 | 837 | [22] | |||||
평안북도 | M | 창성군 | 1,323 | 평안북도 | V | 창성군 | 620 | |
Y | 동창군 | 665 | [23] | |||||
평안북도 | N | 강계군 | 5,404 | 자강도 | 1 | 강계시 | 264 | |
2 | 만포시 | 672 | [24] | |||||
3 | 시중군 | 602 | [25] | |||||
4 | 장강군 | 727 | [26] | |||||
5 | 성간군 | 949 | [27] | |||||
6 | 전천군 | 1,001 | [28] | |||||
7 | 룡림군 | 1,195 | [29] | |||||
평안북도 | O | 희천군 | 2,366 | 자강도 | 8 | 희천시 | 984 | |
9 | 동신군 | 1,205 | [30] | |||||
평안북도 | P | 자성군 | 1,806 | 자강도 | 10 | 자성군 | 887 | |
11 | 중강군 | 669 | [31] | |||||
12 | 화평군 | 1,219 | [32] | |||||
평안북도 | Q | 후창군 | 2,429 | [33] | ||||
양강도 | 김형직군 | 1,473 | [34] | |||||
함경남도 | 장진군 | 5,688 | 자강도 | 13 | 랑림군 | 2,062 | [35] | |
평안북도 | R | 위원군 | 1,234 | 자강도 | 14 | 위원군 | 1,160 | |
평안북도 | S | 초산군 | 2,328 | 자강도 | 15 | 초산군 | 590 | |
16 | 고풍군 | 675 | [36] | |||||
17 | 송원군 | 1,080 | [37] | |||||
평안북도 | T | 벽동군 | 1,215 | 자강도 | 18 | 우시군 | 703 | [38] |
평안북도 | X | 벽동군 | 640 |
- ↑ 사실상은 6도이다. 경기도는 황해도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사라진 것.
- ↑ 황해도의 남·북도도 그렇게 분할되었다.
- ↑ 그러나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고, 정작 도급의 행정구역인 직할시/특별시는 붙였다 뗐다 했던 점을 보면, 일부러 큰 행정구역들을 쪼개서 주민통제를 철저히 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나 하기도 한다. 여하튼 의도가 수상하고 남한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으나, 북한은 남한의 행정구역 변화를 인정한다. 그런데 이를 인정한다는 것은, 남한 역시 행정구역들을 잘게 쪼갰고 설상 적화통일을 하면 본인들이 주민통제를 더 쉽게 할 수 있지 않나 한다는 의도도 있을 지 모른다.
- ↑ 구 행정구역의 면적이 10.6㎢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에서 변화된 것이라고는 의주군에서 위화면(이성계가 넘었다는 바로 그 위화도)이 넘어온 것과 용천군에서 삼교천 일대 유역 일부가 넘어온 게 전부이기 때문.
- ↑ 서쪽 끝의 위화면이 이동.
- ↑ 위원면, 고관면의 절반, 비현면, 월화면이 이동
- ↑ 가산면, 광평면, 옥상면이 이동. 현재의 삭주군 면적 대부분은 의주군에서 온 것이며 원래 삭주군이였던 지역은 1/3 정도만 남아 있는 상태.
- ↑ 고령삭면이 이동
- ↑ 동북부 동상면이 이동
- ↑ 비단섬 일대의 섬만 따로 떼어서 만든 군.
- ↑ 군 남단의 내중면, 외하면, 외상면, 부라면이 이동
- ↑ 군 북부의 서림면이 이동
- ↑ 군 북부의 점면이 이동
- ↑ 군 서부의 심천면, 용연면이 이동
- ↑ 군 서부의 안흥면, 옥천면, 관주면, 임포면이 이동
- ↑ 군 동부의 고덕면, 마산면, 대전면이 이동
- ↑ 군 서부의 용계면의 절반, 청룡면의 절반, 가산면, 양가면, 서면이 이동
- ↑ 군 동부 남신현면, 고성면의 절반, 오리면의 절반, 용산면, 백령면이 이동
- ↑ 군 동북부 남송면의 2/3, 태평면, 북신현면이 이동
- ↑ 정확한 면적은 불명이지만 행정 구역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860~87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잠시 금광이 있던 지역을 북진군으로 분리한 적이 있다.
- ↑ 군 서부의 관서면, 천마면, 사기면이 이동
- ↑ 군 남부의 수동면, 양산면, 외남면, 남서면이 이동
- ↑ 군 남부의 청산면, 대창면, 동창면이 이동
- ↑ 군 북서부의 고산면, 만포읍, 문옥면, 이서면과 외귀면의 1/3이 이동
- ↑ 군 북서부의 외귀면 남부 2/3, 시중면, 곡하면, 어뢰면이 이동
- ↑ 군 서부의 공북면, 종남면, 종서면이 이동
- ↑ 군 중부의 성간면, 간북면이 이동
- ↑ 군 남서부의 전천면, 화경면과 입관면의 서부 1/5이 이동
- ↑ 군 남동부의 용림면과 입관면의 대부분이 이동
- ↑ 군 동부의 신풍면, 장동면, 동창면이 이동
- ↑ 군 최북단의 장토면, 중강면이 이동
- ↑ 군 남부의 이평면이 이동
- ↑ 군 서남부의 남신면, 칠평면이 이동
- ↑ 후창군이 이름이 바뀐 것.
- ↑ 동문면, 북면과 상남면의 서부 절반이 이동
- ↑ 군 중부의 고면, 풍면, 강면이 이동
- ↑ 군 남부의 판면, 송면, 도원면이 이동
- ↑ 군 동부의 벽동면의 동부 절반, 오북면, 우시면, 가별면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