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바리안(유희왕)

유희왕의 카드군.

1 과거

사용자는 죠노우치 카츠야. 유희왕 만화에서는 어둠의 유우기도 사용했다.

1.1 바바리안 1호

파일:Attachment/바바리안(유희왕)/Example.jp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1호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 1号
영어판 명칭Lava Battleguard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5전사족15501800
①: 자신 필드의 "바바리안 2호"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이쪽은 혼다 히로토의 카드. 혼다의 옷에서 떨어진 카드들을 살펴보던 죠노우치 카츠야가 자신의 바바리안 2호를 떠올리고 반쯤 뺐듯이 빌려갔다. 이 때 혼다도 듀얼을 했었냐는 유우기의 질문에 혼다는 자기도 흥미가 있어서 카드를 몇 번 샀었다고 했으나, 정작 애니메이션 끝날 때까지 듀얼을 한 번밖에 못했다. 안습.

1.2 바바리안 2호

파일:Attachment/바바리안(유희왕)/Example.Example.jp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2호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 2号
영어판 명칭Swamp Battleguard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5전사족18001500
①: 자신 필드의 "바바리안 1호"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DM 애니메이션에서는 다이노서 류자키와의 듀얼에서 첫 사용. 우정이라는 테마가 애니 전체에 깔려있는 것답게 두 카드를 같이 쓰는게 우정의 상징이라고... 류자키가 자랑한 레어 카드 이블 나이트 드래곤의 공격을 반사하여 파괴하는 혁혁한 전과를 올렸으나[1]이후 류자키가 진정한 에이스인 붉은 눈의 흑룡을 꺼내며 이블 나이트 드래곤이 페이크 에이스 몬스터가 되는 바람에 이들의 활약이 빛이 바랬으며, 암룡족의 손톱을 장착하여 공격력을 600포인트 올린 붉은 눈에게 둘이 함께 파괴되며[2]우정을 무덤까지 가져갔다(...)

확실히 같이 있으면 공격력이 올라가긴 하지만 저 절망적인 능력치 때문에 쓰이지 않는다. 레벨이 4만 됐어도 꽤 재밌는 카드군이 되었을 테지만, 저 둘이 나오던 시절은 듀얼 몬스터즈 초창기라 제물 소환 개념이 없었던 때라 레벨이 원작따라 저렇게 고정되어 버렸다. 암흑 기사 가이아커스 오브 드래곤과 비슷한 처지. 사실 조금만 더 늦게 나왔더라도 '원작과 OCG 환경이 다른 것을 감안해 능력치를 조절한다.'라는 규칙이 적용되어 쓸만하게 나왔을지도 모른다.

미친듯이 덱을 돌려서 죄다 소환하는데 성공하면 공격력 3050 2장, 공격력 2800 3장 혹은 공격력 3300 2장, 2550 3장이라는 상황을 만들 수는 있는데... 차라리 궁극완전체 그레이트 모스를 소환하는 편이 낫겠다.(...) 저 둘을 엑시즈 소환해서 랭크 5짜리 하나 소환하면 진정한 우정의 상징이 된다.

스킬 석세서의 일러스트에 등장.

2 부활

그리고 이 고대의 카드가 유희왕 ARC-V에 부활. 첫 화에서 챔피언이었던 스트롱 이시지마가 사용한다. 이 둘을 제물로 바쳐서 바바리안 킹을 소환하며, 바바리안의 이름을 가진 장착 함정인 바바리안 레이지 등 다양한 서포트 카드들까지 등장했다.

이 새로운 바바리안 카드들은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서 OCG화까지 되었다. 원작에서는 "바바리안" 카드군으로 묶였던 반면, OCG에서는 그렇게 하면 쓸 사람이 너무 없어질 것을 염려해서인지 전사족 공용 서포트 카드들로 조정되어 발매.

2.1 바바리안 킹

card100017794_1.jp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킹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キング
영어판 명칭Battleguard King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8전사족30001100
①: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는 일반 공격 외에도,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릴리스한 몬스터의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할 수 있다.

광전사의 진노를 사용한 바바리안.
원작에서는 바바리안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에 추가되는 효과였는데, OCG화되면서 소환 경로를 묻지 않고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처럼 필드 위의 전사족 몬스터를 릴리스해 그 수만큼 추가 공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 쪽은 릴리스할 몬스터가 전사족으로 한정된 대신 원하는 수만큼 릴리스할 수 있다.

2.2 야만족의 광연 LV5

유희왕 ARC-V에서 스트롱 이시지마가 유우야에 대항하여 사용, 패에서(...) 바바리안 1호와 2호를 특수 소환했다.

2.3 바바리안 레이지

card100017693_1.jp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레이지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レイジ
영어판 명칭Battleguard Rage
지속 함정
①: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올리고, 그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묘지로 보내지 않으며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대상의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원작에서는 바바리안 몬스터만을 지정할 수 있는 대신 공격력 상승치가 2000이었다.

전사족 몬스터를 1장 지정해 강화하는 지속 함정 카드. 묘지로 가면 곤란한 몬스터나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패로 되돌려 재활용을 방해하는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공격력의 상승폭이 높기 때문에 공격해 들어온 상대를 엿먹이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이럴 경우 바로 밑의 하울링의 하위호환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이쪽은 그후 지속적인 강화와 추가적인 바운스를 노릴 수 있다.

아쉽지만 장착 카드로 취급하는 것은 아니라 중무장무사-벤 케이에다 달고 연속 바운스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4 바바리안 하울링

card100017823_1.jp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하울링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ハウリング
영어판 명칭Battleguard Howling
일반 함정
①: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또는 상대 몬스터의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크아아아앙" 바바리안중에서도 최강의 바바리안 2호가 울부짓었다

상대 몬스터가 자신의 전사족 몬스터를 공격이나 효과의 대상으로 했을 경우, 상대 몬스터 1장을 바운스하면서 데미지도 주는 카드. 바운스의 위력도 위력이지만 의외로 이걸 발동할 상황을 생각해보면 들어가는 데미지가 장난이 아니기 때문에 전사족 덱이라면 투입해볼 가치가 매우 높아졌다.

3 OCG화 되지 않은 카드

아크파이브에서도 시간이 좀 더 지나 30화에서 안코쿠지 겐이라는 인물이 다시 사용했다. 기존 1,2에 이어 바바리안 3,4호에 컨트롤을 갖고 노는 서포트 카드들도 추가되었다. 안타깝게도 등장 시점 1년이 한참 지난 2016년 시점에서도 OCG화될 기미는 없어 보인다.

3.1 바바리안 3호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3호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3号
영어판 명칭Battleguard #3(비공식 번역명)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3전사족1000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은 패에서 "바바리안 4호"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바바리안 4호와 연계해서 빠른 전개력을 보여줄 수 있는 카드. 다만 이 카드나 바바리안 4호가 튜너가 아니라 싱크로 소환에도 애매하고, 엑시즈를 할려 해도 3호는 레벨 3, 4호는 레벨 4인지라 엑시즈도 안되서 이래저래 애매한 세트.

3.2 바바리안 4호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4호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4号
영어판 명칭Battleguard #4(비공식 번역명)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전사족1200
①: 배틀 페이즈에 1번, 자신 필드의 "바바리안" 몬스터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한다.

바바리안 전용 고철의 허수아비. 자기 자신도 바바리안이기 때문에 본인도 전투 파괴 내성을 부분적으로나마 갖추고 있는 셈이다.

3.3 바바리안 매드 샤먼

ShamanBattleguard-JP-Anime-AV.png

한글판 명칭바바리안 매드 샤먼(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マッド・シャーマン
영어판 명칭Battleguard Mad Shaman(비공식 번역명)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10어둠전사족2000
①: 이 카드는 "바바리안"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②:1턴에 1번, 이하의 효과 중 1개를 선택해 발동할 수 있다.
● 이 카드가 이 카드의 효과로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이 카드가 이 카드의 효과로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는 경우, 그 몬스터와 상대가 컨트롤하는 몬스터 1장을 골라 컨트롤을 맞바꾼다. 이 효과로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는 경우,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대상으로 할 수 없다.

바바리안의 새로운 최상급 몬스터. 텍스트는 가려서 잘 안 보이지만, 컨트롤 탈취 효과가 있었다. 바바리안과는 별 관계 없어 보이지만(...)

3.4 바바리안의 저주

일어판 명칭バーバリアンの呪術
일반 함정
자신이 "바바리안"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상대가 2장 이상의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는 경우,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욕망의 고블린
  1. 듀얼리스트 킹덤의 필드 능력치 상승 효과에 의해 바바리안 2호의 공격력이 2340이었던 데다 바바리안 1호의 효과에 의해 2840이 되었다. 이때, 류자키의 라이프가 1330에서 840으로 줄었으므로, 2840-2350=490으로 줄어든 라이프와 같다. 아마 바바리안들의 효과 역시 이것을 기준으로 책정했을 가능성이 높다
  2. 이전에 수비 몬스터를 격파할 때도 바바리안 두 마리가 함께 공격하는 연출이었으므로 둘이 합쳐 한 몬스터처럼 취급되었을 것이다룰 파괴 정점 듀얼리스트 킹덤 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