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지역의 간선 철도 노선. 위 지도에서 초록색 라인이다. 빨간색은 유명한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
제2의 시베리아 철도라는 이명이 있다.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을 보조하는 바이패스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에 비해 비교적 인구밀도가 낮은 북쪽 지역을 주로 통과한다.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과는 이르쿠츠크 주 타이셰트에서 분기해 동해 해안가의 항구도시 소베츠카야 가반까지 4,287km를 잇는다. 이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의 대략 절반 정도에,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중국 등 웬만한 크다는 나라들 동쪽 끝~서쪽 끝 거리와 비슷하다.
2 역사
이 노선의 건설 사업은 과거 소련에서 엄청나게 밀어주던 사업 중 하나였다. 그렇기에 공로가 있는 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칼-아무르 철도건설메달까지 제작되기도 했다. 당시 서기장 무능의 대명사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대 실패한 제10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이 바이칼-아무르 철도 건설 사업을 소련의 2대 국책사업으로 선포했다. 게다가 "바이칼-아무르 철도는 오로지 깨끗한 노동자의 손에서 건설되어야만 한다."라며 굴라그의 죄수들을 동원하지 않는, 평소에 하지 않던 짓거리까지 했다. 사람이 갑자기 바뀌면 죽는다는데
건설하는 위치가 위치라 죽을 고생해서 간신히 만들었다. 게다가 70~80년대는 이전의 사기충천하는 기세는 다 갖다 줘버린 소련 공산당경로당의 삽질이 극에 달하던 시기여서 더욱 그랬다. 140억 달러가 들어서 1974년부터 1991년까지 근 30년 동안 만들었을 정도. 사실 완공 선포는 1984년에 했는데 이는 1983년에 끝내겠다고 호언장담한 소련 정부가 울며 겨자먹기로 제대로 만들어 놓지도 않고 완공했다고 '선포만' 한 것이었다. 그래서 철도 건설의 상태가지고 서방에서 트집 잡을까봐 일부러 서방측 인사는 초청하지 않았다고 한다.
우여곡절 끝에 소련이 망하는 1991년에야 두 번째로 완공이 선포가 된다. 만들어 놓고도 바이칼 아무르 철도의 운명은 평탄하지 않았다. 철도 건설이 국가적 사업이 됨에 따라 많은 신흥 도시가 근처에 건설되었는데 막상 완공하고 나서는 소련이 좆망해버렸기 때문에 철도 근처에 건설할 각종 공업단지라든지 여러 국가 사업이 죄다 취소 크리를 먹었다.[1] 그래서 건설이 끝나자마자 죄다 유령도시화되었고 망했어요 그래도 요즘에는 묘한 매력으로 서방의 철덕들을 끌어모으고 있다고 하니 다행.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바이칼-아무르 철도건설메달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3 관광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보다 훨씬 오지 지역을 지나면서도 소련이 심혈을 기울여 만든 철도 인프라가 '생각보다는' 잘 깔려있어서 속도는 좀 느리지만 연착률도 낮고 그렇게 다니기 어렵지는 않기 때문에 서구권 철덕들에게 나름대로 인지도는 있다. 반면 이 동네에서 거리상 가까운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사실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이 러시아 제국의 동방 개척 초기에 건설된 비교적 유서 깊은 도시를 많이 지나는 것에 반해 이 지역은 관광지라고 할 만한 것도 본선에 비해 적은 편이다. 험한 지역이기 때문에 바깥 타이가 지대의 경치는 상당히 아름다운 곳이 많지만, 일단 연선 도시들은 거의 다 아무 것도 없는 수준의 마을들이 철도가 지나면서 조금 도시 구색을 갖춘 정도의 소련식 신흥 소도시들이 대부분. 그나마 관광지라고 한다면 온천이 많은 바이칼 호의 북쪽 연안의 휴양도시들이 있다. 그 외에도 아무르 강 유람선이라던가 수호이 전투기 공장 견학이라던가 스탈린 시대의 굴라그 투어(...) 등 철도 연선의 주요 도시에서는 여행사들이 이런저런 투어를 팔고 있다. 그 외에 사할린 섬으로 가는 배를 탈 수도 있다.
4 주요 기착지
- 타이셰트 - 공식적인 기점이지만 작은 도시. 실제 열차들은 크라스노야르스크 등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상의 대도시에서부터 출발한다.
- 브라츠크 - 안가라 강에 지어진 거대한 댐이 있다.
- 세베로바이칼스크 - 바이칼 호 북쪽의 휴양도시.
- 탁시모
- 틴다 - 시베리아 횡단철도 본선과 야쿠츠크로 가는 철도가 분기된다.
- 콤소몰스크 나 아무레 - 아무르 강가의 고풍스런 도시. 수호이 공장이 있다.
- 바니노 - 동해의 항구도시. 매일 오후 4시에 사할린으로 가는 배가 출발한다.
- 소베츠카야 가반
- ↑ 별 수 없던 게 당시 러시아가 초인플레이션을 겪었고 국가재정도 파탄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그런 사업에 투자할 여력 자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