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철도

러시아 철도 주식회사
ОА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RZD)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logo.jpg
설립 년도2003년
영업 지역러시아
보유 선로86,000㎞
[1]

1 개요

러시아의 여객철도 사업자. 소유노선 총연장 약 86,000km로 미국Amtrak이나 인도 국철을 능가한다. 본사는 모스크바 에 있다. 러시아 연방 정부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서 사실상 공기업. 직원 수는 2009년 기준 107만 5700명, 수송실적은 2008년 기준 화물 2조 4000억톤, 여객 12억 9600만명이다.

러시아 전국 각지에서 공항철도를 운영하고 있는 아에로익스프레스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2 소개

러시아 제국 시절인 1842년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구간으로 러시아 철도가 시작되었고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에 이미 총연장 5만 8500km에 달했다. 1차대전과 러시아 혁명 때 철도 시설의 60%, 기관차의 90%, 철도 차량의 80%가 파괴되었고, 열심히 복구했지만 곧이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철도망의 40%, 기관차의 50%가 다시 파괴되었다.(...) 1991년 구소련 붕괴 이후 소련 교통통신부를 계승해 1992년 1월 20일 러시아연방 교통통신부가 발족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이 추진한 연방철도사업 개혁의 일환으로 2003년 9월 18일 러시아연방 정부결의 585호에 따라 지금의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Noseondo.jpg

세계에서 가장 넓은 땅덩어리를 가진 러시아답게 대한민국경부선이 우스울 정도의 초장거리 노선들이 즐비하며, 역시 가장 유명한 것은 유럽 땅인 모스크바야로슬라블 역에서 동아시아동해에 면한 블라디보스토크블라디보스토크 역을 잇는, 9334km의 세계에서 가장 긴 단일 철도노선인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있다. 그것도 전 구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있고 선형이나 정비 상태도 상당히 좋다![1] 비슷하게 국토가 너무 넓어서 항공기(저가 항공사)에 밀려 장거리 여객철도가 자주 다니지 않는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브라질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여객철도의 비중도 적지 않은 게 특징.[2] 물론 화물철도계의 본좌이기도 해서,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러시아를 여행하다보면 100량 이상을 달고 다니는 대륙의 기상을 자주 볼 수 있다.

3 1,520mm 러시아 광궤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Gwang.jpg
러시아 인근의 초록색 계통이 러시아 광궤, 주변의 푸른색 계통이 표준궤 사용 지역.

대한민국코레일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1,435mm 표준궤가 아닌 독자적인 1,520mm 러시아 광궤 궤간을 사용한다. 러시아가 굳이 대륙의 다른 국가들과 달리 독자적인 궤간을 채택한 이유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광궤 항목에도 있지만 크고 아름다운 열차를 안정적으로 굴릴 수 있으며 화물이든 군대든 많이 실을 수 있는 등 장점이 많지만 그 중 유력한 설은 국방상의 문제 때문이라는 것.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3제국 독일군이 당시 소련을 공격했을 때 궤간이 호환되지 않아 보급을 위해 철도를 표준궤로 개궤하는 데 애를 많이 먹었다. 단점이라면 역시 주변국 철도와의 호환성 문제인데 사실 러시아와 육로로 이어지는 주변국 대부분은 몽골처럼 그냥 따라서 러시아 광궤를 사용하거나 핀란드처럼 러시아 광궤와 호환되는 궤간(1,524mm)의 철도가 주로 깔려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러시아가 너무나 큰 나라다보니 스스로 자기표준을 만들어버린 셈이라고도 볼 수 있다. 위 지도만 봐도 아메리카, 아프리카, 호주, 섬나라들을 빼고 육로로 이어진 구대륙만 보면 러시아 광궤가 거의 절반이다.

단,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 시점까지 일본이 통치했던 사할린에는 예외적으로 일본 철도 대부분이 그렇듯 1,067mm 케이프 협궤 궤간으로 철도가 깔려 있다. 이는 어차피 대륙 본토와 연결되지도 않는 섬의 철도다보니 일본도 본토가 그렇듯 협궤로 저렴하게 철도를 깔았고, 소련이 다시 사할린을 차지한 뒤에도 굳이 본토와 연결되는 것도 아니니 일본이 깔아놓은 철도를 갈고 닦아가며 계속 써왔기 때문. 최근 들어서는 사할린에도 차차 광궤로 개궤해 러시아 본토 차량과 호환되게 만든다는 모양.

4 열차 이용

과거에는 영어로는 러시아어 사이트와 같은 조건으로 표를 예매할 수 없어 여행 카페 등지에서는 구글 번역기를 돌려서 예매하는 을 돌리던 시절도 있었지만,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 시점에 맞춰서 공식 사이트에서 영어로도 러시아어와 똑같이 기차표를 검색하고 예매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창구에 가면 침대는 위 칸이냐 아래 칸이냐 등등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 많아서 시간이 오래 걸리며 창구에서는 대체로 영어가 통하지 않으므로[3] 인터넷으로 편하게 예약해놓고 가는 편이 낫다.

실제 중장거리 열차 이용에는 탑승 전에 차장에게 여권 제시가 필수적이다. 러시아인들도 국내용 여권을 가지고 다니는데, 우리나라의 여권 개념이라기보다는 주민등록증처럼 여기며 어쩌다 경찰 검문이 있을 때도 여권은 반드시 확인하므로 단기 여행이라면 여권은 항상 가지고 다니는 게 좋다.

5 지역별 지사

워낙 땅덩어리가 넓다보니 16개의 지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관할하는 지역 하나하나가 대한민국보다 넓다.
지사끼리 서로 경쟁하고 있으며 이중 서비스가 가장 좋은 것은 노보시비르스크 지역을 관할하는 서시베리아철도 라고 한다.

  • 동시베리아 철도(Восточно-Сибир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이르쿠츠크 지역
  • 고리키 철도(Горьков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니즈니노브고로드 지역
  • 극동 철도(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하바로프스크 지역[4]
  • 자바이칼 철도(Забайкаль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치타(러시아) 지역
  • 서시베리아 철도(Западно-Сибир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노보시비르스크 지역
  • 칼리닌그라드 철도(Калининград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칼리닌그라드 지역[5]
  • 크라스노야르스크 철도(Краснояр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
  • 쿠이비셰프 철도(Куйбышев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사마라 지역
  • 모스크바 철도(Москов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모스크바 지역
  • 10월 철도(Октябрь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а)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6]
  • 볼가 철도(Приволж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사라토프 지역
  • 스베르들로프스크 철도(Свердлов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а) : 예카테린부르크 지역[7]
  • 북부 철도(Север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야로슬라블 지역
  • 북카프카스 철도(Северо-Кавказ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로스토프나도누 지역
  • 남부 철도(Юго-Восточ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보로네시 지역
  • 남우랄 철도(Южно-Ураль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 첼랴빈스크 지역

이외에 2008년부터 아르메니아 철도(남캅카스 철도)를, 2009년부터 압하스 공화국 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6 노선

  • 알마 - 알타 철도
  • 아무르 철도
  • 바이칼-아무르 철도
  • 발트 철도
  • 케메로보 철도
  • 쿠르고바이칼스카야 철도
  • 중앙 시베리아 철도
  • 모스크바-브레스트 철도
  • 모스크바-쿠잔 철도
  • 모스크바-키예프-로네 철도
  • 모스크바-쿠르스크 철도
  • 모스크바-니즈니 노브고로드 철도
  • 모스크바 순환 철도
  •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
  • 모스크바 빈다바 - 리빈스크 철도
  • 무르만스크 - 니켈 철도
  • 무롬 철도
  • 니콜라옙스카야 철도
  • 북 도네츠크 철도
  • 북부-서부 철도
  • 파마 철도
  • 폴 레시아 철도
  • 프리모르스카바 철도
  • 오제르키 선
  • 프리모르스카야 선
  • 토바르나야 선
  • 리가 - 오룔 철도
  • 랴잔 - 우랄 철도
  • 사할린 철도
  • 상트페테르부르크 - 바르샤바 철도
  • 상트페테르부르크 - 히톨라 철도
  • 살레 - 이가르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차르스코예 셀로 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우수리 철도
  • 블라디 카프카스 철도
  • 비보 르크 - 조엔 철도
  • 서 카자흐스탄 철도

7 열차 등급

7.1 옐렉트리치카

340px340px

Электричка[8]
단거리 통근열차 등급으로 극동에서부터 동유럽까지 동서 1만 km가 넘는 러시아 및 구소련 구성국 전역에서 활발히 운행 중이다. 6량~12량 편성에 자동 개폐되는 2도어 차량이며, 나무 혹은 FRP제의 고정식 크로스시트이다. 대도시 인근 역에는 개찰구가 있지만 외곽으로 나가면 플랫폼밖에 없는 간이역도 많다.

2010년대 부터는 신형 통근열차들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ЭД4М500이 있다. ITX 청춘이랑 닮았다. 러시아 철도차량 특유의 측면 가로줄을 계속 남겨두면서도 깔끔하게 바뀐 디자인.

7.2 장거리 열차

이 링크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달리는 대표적 장거리 열차 러시아호의 내부의 구조나 대략적인 분위기를 3D로 볼 수 있다.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여기에 속한다. 드넓은 러시아 국토 조건상 자연히 야간열차, 침대차 속성은 기본 장착이다. 6인침대칸 플라츠카르타[9]와 잠금장치가 있는 4인침대칸인 쿠페, 침대 2개가 있는 호화객실 룩스로 나뉘며 같은 구간도 플라츠카르타와 룩스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열차의 등급에 따라서도 요금 차이가 있어 대표적으로 블라디보스토크와 모스크바를 잇는 시베리아 횡단열차 중 러시아 국기 색상으로 도색한 1호 열차 러시아(Россия)호는 플라츠카르타라도 침대나 화장실이나 다른 열차의 쿠페급보다 시설이 좋으며 그만큼 비싸다. 우리나라에서 가까운 러시아 동부(시베리아)보다는 유럽 쪽에 좋은 열차가 다닌다. 시베리아 오지에 있는 1등칸과 유럽쪽 장거리 열차 3등칸이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 어찌 보면 당연한 거지만. 장거리열차 중에서는 국경을 넘어 핀란드, 발트3국, 독일, 몰도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등으로 가는 국제열차도 활발한 편이며, 북한 평양과 모스크바를 잇는 정기 노선도 있다.[10]

장거리열차는 각 철도 지사 별로 운영한다.

러시아 호 : 모스크바 ~ 블라디보스토크
바이칼 호 : 모스크바 ~ 이르쿠츠크
시베리야크 호 : 모스크바 ~ 노보시비르스크
예니세이 호 : 모스크바 ~ 크라스노야르스크
아케안 호 : 하바롭스크 ~ 블라디보스토크[11]

7.3 삽산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sapsan.jpg

Сапсан
라는 뜻으로,하야부사최고속도 250km/h의 독일 지멘스 벨라로(Velraro)의 러시아 버전인 광궤 고속철도이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3시간 45분에 이으며, 차체는 러시아 광궤 규격에 맞게 맞추어 3,265mm로 늘렸다. 1편성당 10량으로 편성, 전체 길이는 250m, 정원은 600명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7.4 알레그로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Allegro.jpg

출처 - 위키피디아 Cc-by-sa-3.0

Allegro(Аллегро)
상트페테르부르크핀란드 헬싱키를 잇는 준고속철도. 시속 200km/h. 2010년부터 러시아 국철과 핀란드 국철이 공동 운행하며 알스톰 펜돌리노[12]광궤 버전이다. 1편성 당 7량 이며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헬싱키 간 소요시간은 3시간 30분. 두 도시를 함께 여행할 때 매우 편리하다. 개통 이후 헬싱키를 방문하는 러시아인 들의 수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하는 핀란드인 들도 크게 증가하였다. 헬싱키에 오는 러시아 사람들의 목적은 주로 쇼핑인데, 이 고속선이 개통된 이후 헬싱키의 스톡만(Stockmann) 백화점 등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7.5 라스토치카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lastochka.jpg

ласточка
러시아 철도에 2013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고속 EMU. 시속 160km/h. 라스토치카는 러시아어제비를 뜻한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입된 열차로 독일 지멘스에서 제작된 Desiro RUS[13]로 운행한다. 1편성당 5량이며 중련운행시 10량으로 218명이 탑승 가능하며, 2013년까지 38편성이 도입되었다.

소치와 끄라스나야 뽈랴나를 잇는 노선이 최초로 개통되었으며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 볼로고예, 모스크바 ~ 니즈니 노보고로드, 모스크바 ~ 쿠르스크 노선등 유럽 지역 노선들이 개통되었으며 시베리아 지역에서도 도입을 준비하는 등 점차 운행 노선이 확대되고 있다. 카잔에서는 공항철도로도 이용된다. 새것이라서 시설이 무진장 좋다.

7.6 스트리스

Стриж
영문명은 Strizh. 칼새라는 뜻이다. 2015년 6월부터 운행을 시작한 시속 200km/h급 준고속철도. 열차는 스페인 탈고에서 제작했으며 모스크바 ~ 니즈니 노브고로드 구간에서 삽산을 대체하여 운행한다. 전기기관차가 객차를 견인하고 무동력 운전석이 맨 뒷칸에 있다는 점에서 오스트리아의 레일젯과 시스템이 유사하다. 오이로슈프린터 기관차가 레일젯을 견인하는것 처럼 Стриж는 ЭП20 전기기관차가 견인한다.

2016년부터는 모스크바 ~ 베를린 구간의 국제선 철도에 투입될 예정.

8 주요 역

특이한 점으로 모스크바에는 모스크바 역이 없다! 마찬가지로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도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은 없다. 대신 목적지 방향 이름을 딴 여러 역이 있는데 외국인들이 헷갈리기 쉬운 편. 예를 들면 서울특별시에 정작 서울역은 없고 경춘선이 발착하는 춘천역, 경부선이 발착하는 부산역, 경의선이 발착하는 신의주역 같은 이름의 역들만 있는 셈이다. 간단하게 모스크바 행(行) 역, 상트페테르부르크 행(行) 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열차에 붙이는 행선지 명을 역에다가 박아놓은거라고 보면 되겠다. 사실 유럽에는 프랑스 파리 등 비슷한 형태인 곳이 많다. 단 저건 대도시들이나 그렇고 중소 도시들은 그냥 도시 이름을 딴 역이 중심역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블라디보스토크에는 블라디보스토크 역처럼.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yaros.jpg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mos.jpg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역.

  1. 의외로 미국만 봐도 대부분 단선 비전철에 선로 상태도 매우 불량한 구간이 많다. 미국의 철도 환경 참조. 인도나 호주, 캐나다 등 다른 큰 나라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2. 항공기가 기상요건에 의해 쉽게 결항, 지연되는데다가 일단 일류신이나 투폴레프 등 러시아제 항공기를 자국민들도 별로 신용하지 못한다는 이유도 있다(...) 그래서 각 항공사들도 과감하게 자국산 항공기를 퇴역시키고(...) 보잉, 에어버스의 서방제 최신형 항공기로 기종을 교체하고 있다.
  3. 러시아인들은 물론 사람마다 다르지만 귀에 잘 들어오지도 않는 외국인의 영어를 미소지어주면서 열심히 들어주는 분위기가 아니다. 그래도 간단한 러시아어라도 통하면 상당히 친절해지지만.
  4. 대한민국과 가장 가까운 연해주블라디보스토크 역도 여기 소속.
  5. 리투아니아폴란드에 둘러싸인 월경지로, 러시아 본토와 따로 논다. 항목 참조.
  6. 공산주의자들이 케렌스키 임시정부를 무너뜨린 10월 혁명의 이름을 따서 철도지사의 이름이 이렇다(...)
  7. 제정 러시아 시대에는 예카테린부르크였다가 러시아 혁명 이후 스베르들로프스크로 개명되었다가 소련이 붕괴된 이후 다시 도시 이름을 예카테린부르크로 돌렸지만 철도지사나 주 이름은 여전히 소련 시대의 이름을 쓰고 있다. 비슷한 예로 도시 이름은 바꿨지만 기차역 이름에 레닌그라드라는 소련시절 이름의 흔적이 남아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있다.
  8. 직역하면 그냥 전철이라는 의미다.
  9. 그런데 완전개방형이기 때문에 사실상 객차 안에 침대 72개가 꽉 차있는 거라고 보면 된다.
  10. 이 노선은 2014년 현재 세계 최장 여객노선이다.
  11. 이 노선은 앞서말한 노선보다는 굉장히 짧은 축에 속한다.
  12. 알스톰이 인수한 구 피아트(이칼리아)의 모델
  13. 유럽에서 Mainline/UK/City/Classic 등의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Desiro 시리즈의 러시아 영업용 차량, 도입을 위해 엄청난 내한 테스트를 거쳤다고 한다.
  14. 다른 이름으로 모스크바-악쨔브리스카야(Москва-Октябрьская)라고 불린다.(러시아 철도 주식회사에서 'Москва-Окт'라고 표시해두면 레닌그라드 역이니 주의하자)
  15. 레닌그라드는 구소련 시절 이름. 도시 이름은 바뀌었지만 역 이름은 그냥 그대로 레닌그라드 역이다.
  16. 그런데 이 역에서 서유럽으로 가는 열차는 반드시 벨라루스를 통과하며, 벨라루스는 유럽 최후의 비자가 필요한 국가이다. 한국인은 사전에 반드시 벨라루스 관광비자나 통과비자를 받아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