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진(국악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동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368008_85975_5357.jpg

朴東鎭
1916년 7월 12일2003년 7월 8일

대한민국판소리 명창이었다. 충청남도 공주군(현 공주시) 장기면[1] 출신의 판소리 명창이다. 호는 인당(忍堂)이다.

1962년 국립국악원 국악사보가 되었고, 1968년, 국악원장 성경린(成慶麟, 1911년~2008년)의 주선과 당시 각종 창극단에서 악사로 활동하던 한일섭(韓一燮, 1929년~1973년)의 공조로 판소리 《흥보가》의 5시간 완창 발표를 가졌다. 이 발표회는 UN군 사령부 방송 VUNC를 통해 방송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것을 기점으로 1969년 《춘향가》 8시간, 1970년 《심청가》 6시간, 1971년 《적벽가》 5시간,《수궁가》 4시간의 완창 발표를 연달아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1970년 《변강쇠타령》, 1972년 《배비장타령》, 《숙영낭자전》, 《옹고집타령》등을 복원, 완창 발표를 가졌고,《성웅 이순신》, 《성서 판소리》등 새 판소리를 작창하는 등 소리꾼으로서 전면적인 활동에 나섰다. 특히 《적벽가》의 완창 능력을 인정받아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또한 같은 해 국립창극단의 단장에 취임하는 등 판소리계 중진 인사로 활약하기 시작하여 90년대까지 연 1회 이상의 연창회를 가졌다. 판소리계에서 소리꾼의 능력을 보여주는 완창 발표회라는 걸 국내에서 정착시킨 게 바로 이 사람이다.

1980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고, 1981년에 미국 일주 공연에 참가하였으며, 1982년에는 미국에서 《성서 판소리》를 발표하였다. 1985년 국립국악원 판소리 원로사범에 임명되었고, 1987년 국립국악원 지도위원이 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후진 양성에 힘쓰기 위해 공주로 내려와 전수관을 개관하는 한편, 여전히 공연 활동을 활발히 펼쳤고, 팔순이 넘은 나이에도 완창과 장시간 연창을 감행하는 등 정력적으로 활동하였다.

2003년, 공주 전수관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고 그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고음과 저음이 두루 잘 나와서 소리 능력도 좋았지만, 다른 무엇보다도 재담과 육담의 대가였다. 서슬퍼런 5공 시절, 정부 행사에 초청을 받아 소리를 하러 갔는데, 그 자리에 대통령이 와 있었다. 그때 사회를 보던 김동건 아나운서가 "영감님이 소리도 잘 하시지만 욕도 아주 잘 하신다던데, 한번 들려주십시오."라고 하자, 대통령 칭찬을 즉석에서 하더니 대뜸 대통령을 지목하며 "저기 저 머리 벗겨진 놈"이라면사 아직도 정신을 못차렸다는 둥, 수상쩍은 구린내를 폴폴 풍겨댄다는 둥 하며 욕을 한 일화는 유명하다.[2]


여하간, 그 걸죽한 재담과 육담은 그의 기가 막힌 즉흥성과 예능감(?)에서 나왔는데, 때문에 SBS의 코미디 전망대에 고정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여하간, 이러한 예능감으로 인해 판소리가 사장길에 접어들었다고 하던 7~80년대에도 이 분의 무대에는 관객들이 제법 많이 들어찼다. 그러나 이 분이 만년에 진정한 전국구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던 것은 우황청심원 CF에서 흥보가를 부르면서였다. "제비 몰러 나간다~ 제비 후리러 나간다~"[3]로 시작하여 '우리의 것은 소중한 것이여.'로 끝나는 CF였는데 당시 이 CF를 모르는 사람은 대한민국에서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것.[4] 이때문에 국악계 내부에서는 광대나 후진양성을 하지 않는 것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판소리를 그나마 대중들에게 알려줬던 대중성 하나는 현대 국악계에선 절대적이다. 그것 말고도 공연이 재밌으니 기회가 있다면 유투브 같은 곳에서 한 번 봐도 좋다. 걸쭉하고 신박한 재치에 본인도 모르게 웃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부르는 자리는 안가리고, 또 공연 하는 것을 제자들 소리 가르치는거보다 좋아하기로 유명했는데, 즉흥성이 짙어서 제자들이 배우기 어려워했더라는 후문. 이때문에 제자가 적은 편이었지만 몇 안되는 애제자중에는 외국인 박칼린이 있었다. 박칼린을 제자로 삼은 것도 박칼린이 국악을 전공했다는 것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어느날 박칼린을 보고 불현듯 "자네는 소리를 해야 쓰것네"라며 그녀를 제자로 삼았다고... 박칼린을 자기 후계자로 키우려 했지만 인간문화재 관리 법령에 외국인은 인간문화재가 될 수 없다는 규정때문에 아깝게 실패하고 세상을 떠났다. 현재 박동진의 공식적 후계자는 김양숙 현 박동진 전수관 관장으로 박동진의 적벽가를 전수받아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1. 장기면은 현재 세종특별자치시로 이관되어 장군면으로 개칭되었다. 다만 박동진의 출신지(무릉리)는 현재도 공주시에 무릉동으로 잔류되어 있다.
  2. 당시 대통령은 그 욕을 듣고 가만히 있다가 파안대소를 했다고 하며, 덕분에 마음 졸이던 청중들은 마음을 놓게 되었다고 한다. 근데 여담이지만 이 일화는 전두환 임기 말이다. 아마 그때면 대통령의 힘이 전같지 못했을 때니 함부로 잡아 넣기 어려운 사정이 있었음도 감안해 두자.
  3. 놀부가 흥부가 부자가 된 연유를 듣고 제비 다리를 분지르러 가는 대목이다.
  4. 심지어 모 인간문화재가 그걸 따라한다고 같은 제약회사의 광고를 찍었는데, 그 목소리 갸냘퍼서(...) 성우를 썼다고 하는 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