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리 레베디예프

월드 인 컨플릭트의 등장인물.

파일:Attachment/campaignnew sa.jpg
포..포풍간지... 근데 현실은? 아래 참조

파일:Attachment/lebedjev.jpg

KGB정치장교이며 블라디미르 올로프스키와는 막역한 사이. 정치장교가 지휘관과 사이가 좋다는 걸 좀 이해하기 힘들지도 모르지만 레베디예프는 정치장교임에도 불구하고 소련 체제에 대해 냉소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정이 성립할 수 있었던 듯하다[1].

계급은 소령. 부대에 작전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며 그외에도 정치선전이나 부대원들의 사기 관리와 상담도 맡고 있다. 니콜라이 말라셴코와의 면담을 통해 말라셴코의 성향과 상태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었지만 크게 문제삼지는 않았다. 개전 후 전황이 나빠지고 있었음에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던 대인배...라기보다는 시나리오 상의 비중이 적어서 뭐라 말할 수가 없다.[2] 알렉산드라라는 이름의 아내가 있으며 편지를 보면 당신없으면 누구랑 말싸움 하며 사냐... 라는 말을 하는것 볼때 잦은 다툼은 있지만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이인듯 하다. 아무래도 정치장교다 보니 지휘는 매우 서툴다[3]. 결국 블라디미르 올로프스키 처럼 전투종족 로마노프에게 일처리를 맡기어 기갑웨이브를 선사하는 미군[4]을 격파하기까지 했다. 그러니까 결국은 로마노프가 다했다는 소리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그러다가 시애틀로 갈 것이냐 소련으로 귀국할 것이냐를 두고 말라셴코가 올로프스키를 사살하자 재빨리 말라셴코의 편을 들어 화를 피했다. 하지만 레베디예프는 올로프스키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했으며[5] 시애틀로 가서 개죽음을 당하느니 로마노프와 함께 소련으로 돌아가 '이후 더 큰 일을 맡는' 쪽을 택한다.[6]

엔딩에서의 대화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바로 부인 알렉산드라의 아버지가 소련의 국방장관이다. 즉 장인이 소련 국방장관.

장인이 국방장관인지라 불쌍한 화물선 선장을 총칼로 윽박지르고 무사히 자신의 대대를 이끌고 미국에서 탈출한다.

  1.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에 말라셴코의 체제에 대한 믿음과 공산주의에 대한 열정을 거론하면서 '불쌍한 젊은이야. 좀 지나면 그도 현실을 깨닫게 되겠지' 라고 말한다
  2. 애초에 소련군 시나리오가 그리 긴 것도 아닌데다 말라셴코와 올로프스키가 중심인물이라......
  3. 처음 지휘를 맡아 로마노프에게 명령을 내릴 때 말을 더듬기까지 한다
  4. 여담으로 고속도로에서 정말 개미때처럼 몰려오기 때문에 최고난이도에선 TA를 안쓸시에 베테랑까지 레벨을 올린 최정예 헤비탱크를 가능한 최대수까지 배치해두고 뒤에서 수리하면서 공격헬기 지원까지 받아도 개박살난다. 쉬운 난이도라면 TA를 안쓰더라도 그럭저럭 막아낼 수 있다.
  5. 기갑웨이브를 시전하는 미군을 보며 "아...대령의 예상이 옳았군."이라고 말한다.
  6. 아이러니하게도 후퇴할 때 미국인들의 "살아남아서 다시 싸우기 위해 후퇴한다"는 속담을 써먹는다. 물론 통신끊고 막나가는 말라셴코는 시애틀로 가게 내버려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