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소앞역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당인리선
서강 방면
세교리

1.0 km
방송소앞
0.7 km
당인리 방면
당인리

放送所前驛 / Bangsongsoap Station

방송소앞역

다국어 표기
영어Bangsongsoap
한자放送所前
중국어放送所前
일본어バンソンソアプ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66-12 (추정)
일반 철도
운영기관철도청
당인리선 개업일1932년 10월 1일
당인리선 폐업일1974년 8월 15일
역등급폐역

방송소앞역(放送所前驛)은 당인리선의 역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소재했다.(정확한 주소는 알 수 없으나 아래의 자료에서 유추했을시 마포구 서교동 366-12로 추정된다.) 인근에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름이 방송소앞역으로 정해졌다. 흠좀무.

당인리선 자체가 폐선되면서 방송소앞역도 폐지되어 공터로 남았다. 1980년대 이 일대 주변은 철길 위치따라 주변 노인 분들이 소일거리로 작물을 심어 자연스럽게 밭이 형성되었으나, 1990년대 초반 주차장이 조성되며, 이 일대에 지금의 상권이 들어서기 시작한다. 게다가 2000년대 들어 홍익대학교 주변 거리가 걷고싶은거리로 지정되어 길이 조성되어 완전히 방송소앞역의 흔적이 사라지는 했다.

550px

그러나, 철도 동호인들의 힘으로 2007년 방송소앞역의 흔적을 찾아 내고야 말았다. 승강장으로 보이는 벽돌을 찾아낸 것. ㅎㄷㄷ # 관련 링크.

위 사진에서 '준코'가 있는 방향은 현재의 홍대입구역으로 향하는 골목인데, 크게 두개의 골목이 있다.(홍익로 3길과 어울마당로) 지금이야 두 골목 모두 엄청난 번화가에 온갖 맛집들이 들어서 있는 먹자골목이 되어 있지만, 90년대까지 왼쪽 골목인 홍익로 3길에는 서교시장이라는 재래시장이 있었고, 오른쪽은 말그대로 공터로 사람들이 주차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이었다.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일반적인 시골역과 그 주변 도심 형성 구조를 생각해볼때, 역 바로 옆에 재래시장이 들어서 있는 형태가 많기 때문에, 여기서 오른쪽 골목인 어울마당로는 철로 노선이 지나가던 길로 추정이 가능하고, 왼쪽 골목인 현 홍익로 3길은 철길 옆 재래시장이었다고 추정이 가능하다. 실제로 신촌로터리가 번화가가 된 것도 서강역 근처 철길 바로 옆에 있던 다주쇼핑이라는 재래시장 골목에서 시작이 된 것이고, 일제시대에 방송소앞역 주변도 이와 비슷한 구조로 도시계획이 되어 시가지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다음 지도 로드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링크를 따라 찾아가 보자.


방송소앞역 주변 지역은 홍대거리의 가장 중심 지역으로서, 홍대 분위기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상권 포화상태로 인하여 합정역상수역, 산울림 소극장 방향으로 많은 가게들이 이전하게 되어 예전보다는 많이 상업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