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적 | 195,000km² |
인구 | 7,160,981명(1990)[1] |
수도 | 사나 |
정치체제 | 일당제 공화국 |
통화 | 북예멘 리알 |
1인당 GDP | 384$(1990)[2] |
과거 북예멘 지역은 1918년 오스만 투르크에서 독립하였으며, 이후 '예멘 무타와킬 왕국'(1918~1962)과 '예멘 아랍 공화국'(1962~1990)이 성립되었다. 1967년 남예멘이 건국되기 전에는 이 지역에 있는 국가는 그냥 예멘이라고 통칭되었으나, 이후 두 개의 예멘을 구분하기 위해 북예멘이라는 통칭이 쓰이게 되었다.
1 역사
시아파 군주국이던 예멘 왕국에서 1962년 9월 26일 새 군주인 무하마드 알바드르가 왕이 된 지 얼마 안 되어 이집트 나세르 정권의 영향을 받은 군인들이 사나를 점령했다. 이들은 '아랍 연합 공화국'을 선포, 왕당파와 내전을 치르게 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이 왕당파를 지원하였고 이집트군이 공화국 편에서 개입했으나 1967년 철군, 1968년 휴전현정이 맺어졌고 1970년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예멘 아랍 공화국을 인정한다.
건국된 이래 계속 군인들이 대통령인 군사정권이었다. 1977년에 이브라힘 알 함디 대통령이 암살되자 이듬해 알리 압둘라 살레가 대통령이 되었다. 살레는 1982년 大국민회의(المؤتمر الشعبي العام)라는 아랍 민족주의 정당을 창당하여 북예멘은 일당제 국가가 된다. 살레는 예멘이 통일된 지 한참 후인 2012년까지 집권하다가 아랍의 봄으로 실각했다.
1967년 수립된 남예멘과는 우리나라나 과거 독일과 같이 애증의 관계 속에서 공존하였다. 1972년 처음으로 카이로에서 남북이 정상회담을 가지며 향후 통일을 하겠다는 선언까지 했었는데 남북의 내부 갈등 문제와 1977년에 발생한 북예멘 대통령 암살사건, 1979년에 발생한 국경 분쟁으로 통일 계획이 유보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의 개방정책과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으로 인해 북예멘이 점점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남측과 남북국경 지역의 유전개발이라는 현실적인 이익이 맞물리면서 다시 통일 분위기가 조성되어 2년 뒤인 1990년 남북 합의에 의해 통일을 이룬다. 그러나 1994년 남예멘이 분리독립을 선언했다 무력진압되었고, 2010년대 들어 북예멘을 후티 반군이 장악하고 남예멘을 수니파가 장악하는 형국이 이어지면서 예멘이 재분열될 가능성이 나타났다.
2 한국과의 관계
보통 북예멘=자본주의, 남예멘=공산주의로 알려져 있지만, 북예멘은 친서방이 아닌 아랍 사회주의 성향이었기 때문에 북한과는 1963년 3월 수교한 반면 대한민국과는 1985년 8월에야 수교하였다,
통일 이후에는 통일 예멘공화국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