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의 괴수 영화 Tremors (1990)
해당 항목 참고. 국내 개봉 당시 불가사리라는 제목으로 개봉하였다.
2 북한의 괴수 영화(1985)
2.1 개요
북한에서 만든 거대 괴수 영화로 남한에서 처음으로 일반 공개된 북한 영화이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북한 영화이다.
쇠를 긁어 먹으면서 자란다는 전설의 동물 불가사리를 소재로 하였다. 납북된 신상옥 감독이 인민군을 다수 동원해서 촬영했다. 이후 신상옥 감독이 탈북하자, 북한의 정진호 감독에 의해 1985년 완성되었다[1].
2.2 줄거리
전쟁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서 온갖 쇠붙이는 다 긁어모으는 정부에 대항해서 농기구만은 지키고자 했던 한 대장장이의 영혼과 그 딸의 피가 스며들어 불가사리는 생명을 얻는다. 이렇게 태어난 불가사리는 민중을 위해 관군과 싸우고 마침내 봉건 왕조의 상징인 궁궐마저 부수어버린다. 민중들만의 세상을 만들어낸 불가사리는 농기구를 비롯한 온갖 쇠를 먹고 스스로 폭파되어[2], 다시 처음의 쇳덩어리로 돌아간다는 줄거리이다.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금성출판사 347쪽.
불가사리에게 생명을 준 여인인 아미는 불가사리를 제거하기 위해 불가사리가 자신을 삼키도록 했다. 불가사리는 아미를 삼킨것을 자괴하며 스스로 몸을 폭파해 소멸 시키는데, 그 폭파된 불가사리의 파편안에는 아미가 기절한채로 살아있었다..자신을 죽이려한 여인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살리려 한 셈. 정황상 불가사리는 자신이 생명을 거두려는 여인이 자신의 생명을 거두어 가려는것을 알고도 순순히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였던 모양인데 안습.
2.3 평가
줄거리는 전형적인 공산주의 프로파간다 영화로, 봉건 왕조(대충 고려)에 대항한 민중혁명의 승리를 암시하고 있다.
단, 신상옥 감독이 납북된 상태에서 이 영화를 만들었다는 점을 들어 은근히 김일성을 까는 영화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영화 속 왕은 허구헌날 전쟁 준비를 하고자 군대만 양성하고 백성들은 흉년으로 굶주려 죽는 것도 관심없어 하는데 이것이 김일성에 대한 풍자라는 것. 그러나 그것은 북한 체제가 봉건 왕조를 부정하면서도 스스로가 사실상의 왕조 국가라는 자기 모순에 빠져 있기 때문이지, 김일성 비판이 감독의 의도라고 보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김정일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만들어졌다. 만약 체제 비판적 요소가 조금이라도 들어있다고 읽혔다면 북한에서 이대로 공개되었을 리가 없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기왓장 하나하나 정성들여 만든 성벽 건물을 불가사리가 무너트리는 장면. 쏟아지는 기왓장들을 보면 경악부터 느껴진다. 불가사리의 수트 액션을 비롯한 각종 특수효과는 일본 토호영화사의 고지라 촬영팀의 도움을 받았다. 당시 불가사리의 수트 액션을 담당한 평성 고지라 시리즈의 고지라 전담 수트 액터인 사츠마 켄파치로가 쓴 고지라가 본 북조선이라는 책에 당시의 북한에서의 일화나 상황을 볼 수 있다.(김정일의 별장에 머무른 사람이기도 하다!)
2.4 기타
상기한대로, '불가사리'의 제작자인 신상옥 감독이 1976년 납북된 상태에서 제작된 것으로 신상옥 감독이 북한을 탈출하자, 북한 영화계의 거장 정진호 감독에 의해 1985년 완성되었다. 이 영화가 북에서 영상저작물로 수입되자, 저작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논쟁이 있어나기도 했다.
법원은 "신감독은 제작진의 일원으로서 영상저작물에 관하여 저작인격권을 인정해주기만 하면 방영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또한 "1987년 개정 저작권법 제75조 제1항에 따르면 영상저작물의 제작에 협력할 것을 약정한 감독 등 제작진에 대해서는 영상저작물에 관하여 저작인격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그 영상저작물의 수입, 방영 등을 위하여 필요한 권리, 즉 저작재산권은 영상제작자인 북한의 신필름 촬영소에게 양도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사실 저작권 논쟁은 일본에서 먼저 벌어졌다. 일본의 비디오회사에서 신감독과 계약을 맺고 출시 광고까지 내보내었으나, 조총련에서 걸고 넘어졌던 것. 이 문제는 북한에서 정식으로 필름을 수입해오면서 해결되었지만 신상옥 버젼을 영영 볼 수 없게 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당시의 광고지)
일본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당시 일본 쪽의 미술 스태프가 숙소로 돌아가는 버스에 타지 못해서 북한의 스태프 한 명에게 이끌려 지하철을 타고 돌아왔다고 한다. 그런데 당시 평양의 지하철은 다른 나라에 개방하기 전의 지하철이었고 그 북한 스태프는 다음날부터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의 일본 스태프측에는 숙소로 고급호텔이 제공되었고 식사도 북한의 산해진미로 가득했었는데, 특촬감독인 나카노 테루요시가 방에서 혼자 "북한의 맥주는 질렸어. 일본의 맥주가 마시고 싶다"라고 푸념했는데 어느날 감독이 냉장고를 열어보기 안에 일본산 맥주가 한가득 있었다. 방에 도청장치가 달린 것 같기도 하여 북한의 스파이 활동의 예로 알려지기도.
포켓몬스터의 보스로라가 이 영화의 불가사리를 모델로 했다고 한다. 그리고 절대가련 칠드런에서 패러디 된 적 까지 있다.
한국에서도 이미 같은 소재로 1962년에 동명의 영화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당시 포스터 1장만 전해질뿐, 필름 영상은 물론 사진 자료조차 남아있지 않다.
해외 괴수마니아들에게는 나름 명성을 알렸는지 구글에 검색해보면 관련 팬아트도 종종 보인다. 북한에서 나왔던 영화이기 때문에 불가사리가 북한의 김일가와 엮이는 팬아트도 종종 보인다. 영화에 나왔던 불가사리 답게 부조리에 찌든 고위 계층을 징벌하는 는 식의 팬아트들도 보이기도 한다. 2015년 만우절날 한 해외 괴수덕후가 불가사리 영화의 애니화에 관련된 낚싯글을 올렸다.꽤나 고퀄이다.
신상옥 감독은 탈북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서 루마니아와 합작인 불가사리의 리메이크작인 The Legend of Galgameth를 1996년에 만들었다.(기획) 한국 제목은 갈가메스로, 배경을 서양 중세의 판타지풍으로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