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큰 수
Googolplex[1]
1 개요
구골플렉스는 1 뒤에 0이 구골 개만큼 붙어 있는 수이다. 구골이 10100이므로, 구골플렉스는
1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1010100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수소원자의 개수가 1080 개 내외로 추정되므로, 우주에 있는 모든 수소 원자 하나하나에 0을 적는다고 해도 다 적지 못할만큼 큰 숫자이다. 구골플렉스를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에 적을 경우 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데에 20조(20,000,000,000,000) 기가바이트(=20제타바이트)가 필요하다고 한다. 수를 쓰기 전에 당신의 컴퓨터, 그걸 쓰고 있는 당신의 머리 또는 나무위키의 서버 셋 중 하나가 먼저 터질 거기 때문에...[2] 그래도 보고 싶다면 여기로 가면 된다.[3]
하지만 수가 너무나도 안드로메다 깐따삐야 수준이라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그냥 가장 큰 수의 의미로만 되어 있는 듯하다.
그런데, 이것도 부족한지 구골플렉시안이란 수도 만들었는데, 10googolplex = 1010googol
2 쓰임
사실 수학자들 입장에선 구골플렉스나 구골플렉시안은 그렇게 중요한 수는 아니다. 수학적 의미가 있는 수라기보다는 그냥 10에 구골제곱이라는 큰 수 만들기 놀이 중에 나온 수이기 때문.
하지만 물리학자들에게는 의미가 있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인간 정도의 크기인 1m³크기의 공간에서 양자가 배열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01070그전에 의미없는 거의 진공상태의 양자배열이 거의 끝없이 존재하겠지 물론 우리 우주는 1 구골플렉스 m에 비하면 극히 미세할 뿐이다.
3 여담
- 구글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이 google이라는 이름을 지을 때 구골플렉스라고 짓자고 했었다. 래리는 구골을 주장. 어찌해서 구골로 정했으나 홈페이지를 만들때 googol.com으로 되있는 사이트가 이미 등록되있어 구글로 정했다는 이야기가 있다.[4]
- 소설가 홍정훈의 판타지 소설 창세종결자 발틴 사가의 등장 인물인 영룡왕 발라티아는 몸이 12만 구골플렉스 m라는 정신나간 크기를 자랑한다.
아니 그 정도 크기면서 왜 쪼잔하게 단위가 m야...12만 구골플렉스 m를 천문학적 숫자에 어울리는 단위인 파섹으로 환산해 보면, 3.8889351×10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88 광년(...)이래서 미터 단위로 썼구나.참고로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은 1000억 광년 미만이다.우주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