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대

4891777a4bd18&filename=6%EA%B8%B0%EC%A0%84%EB%8C%80%ED%98%91%EC%82%AC%EC%88%98%EB%8C%80%EC%B6%9C%EC%A0%95%EC%8B%9D.jpg

1 개요

1960~80년대 군사정권 시절 운동권에서 존재한 조직.(90년대 중반까지 존재). 통칭 사수대라 불리는 형태의 조직은 학생운동에만 있던 조직은 아니며, 현재에도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는 각종 시위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물론 예전처럼 각종 무기로 무장하는 형태는 현재는 찾아보기 어렵다.

2 기능과 유래

사수대의 역할은 시위현장에서 경찰병력에 대한 선제적인 물리공격이 아닌, 진압이 들어올 때 대오가 후퇴하는 동안 시간을 버는 것이었다. 때문에 경찰병력이 투입되기 전에는 오히려 대오 앞에 위치하기 보다는 약간 뒤쪽에서 경찰들의 움직임을 파악하다 진압이 시작되면 사수대가 나서서 진압병력을 막고 나머지 대오는 도망가거나 계속해서 가두행진을 진행하는 형태였다.

본래 가두시위가 벌어지면, 시위대는 행진하면서 시민들에게 자신들의 의사를 알리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스크럼을 짜고 행진하는 것이 주 목적이 된다. 그런데 알다시피 과거 군사정권 하에서는 시위나 집회 자체가 허용되지 않았고 경찰은 시위현장을 덮어놓고 때려잡기 일쑤였던 시절이었다.

이쯤 되자 운동권들 사이에서는 자구책을 마련하기에 이른다. 시위대가 안전하게 시위하도록, 경찰의 저지선을 뚫고 시위를 할 수 있도록 맨 앞에서 지휘하고 몸빵하는 조직을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일정한 편제와 체계를 갖춘 준군사조직(?)으로 거듭나게 된다.

3 역사와 현재

3.1 학생운동

기록에 따르면 1960년대에는 대부분 체대 출신들이 가담하는 일이 많았고, 1970년대부터 점점 일정한 체계와 전술을 지닌 학생회장이나 이념서클 회장들 중심으로 조직이 되더니 80년대쯤에는 준 군사조직급으로 정착하게 된다. 각 대학별로 조직적인 사수대(당시네는 '전조'라고 불리기도 했다)가 형성된 것은 민주화가 이루어진 80년대 후반이다. 서울 지역에도 한양대,고려대,성균관대를 필두로 큰 학교일수록 잘 조직된 사수대가 있었지만 당시 가장 유명한 사수대는 전남대의 '오월대', 조선대의 '녹두대'라 불리는 조직이었다. 가투시에만 운용되는 것이 아닌 학교 축제 때 취객을 단속하는 등 평상시에는 학내 치안을 담당하기도 했다고 한다. 당시 녹두대(조선대학교), 오월대(전남대학교) 같은 유명한 사수대 리더들은 경찰이 "신원과 소재를 파악하고도 함부로 건드리지 못하던"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이유는 항상 친위대를 10명, 20명씩 우루루 달고 다녀서... 흠좀무.

물론, 사수대 뿐만 아니라 본래 이 두 학교의 학생시위 자체가 매우 조직적이고 격렬하며 횟수도 매우 빈번하기로 유명해서[1], 대응 경험이 있는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방경찰청 소속 전의경부대가 아니면 진압할 엄두도 내질 못했다고 한다. 보통 최루탄과 지랄탄을 쏘고, 진압을 시작하면 시위대가 물러서는 것이 대부분인데, 광주지역 사수대들은 자리를 대오가 흩어지지 않고 있어 최루탄이 걷힌 후 진압을 하려던 서울지역 경찰들이 경악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백골단 수십 명이 수백 명의 시위대를 해산시켰다는 무용담처럼 수천명의 경찰병력을 수 백명의 사수대가 뚫고 도망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89년 한양대에서 열린 집회에서는 학교가 경찰들에 의해 봉쇄당하자 지하철 통로를 통해 시위대가 학교로 진입하였고, 행사가 끝난뒤에 학교를 포위한 경찰들을 사수대가 막는 사이 지도부가 탈출한 이야기는 꽤나 유명한 일화이다.

90년대 이후 시위가 격화되고 사수대들도 조직화되면서 경찰들을 상대로하는 전술과 장비가 날로 발달해 갔고, 경찰들도 이에 맞서 불법으로 장비를 개조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렇게 되면서 시위현장에서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때 마다 시위대와 경찰들의 피해는 날로 늘어갔고, 서로에 대한 적개심도 당연히 커져 가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80년대 시위가 가장 과격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민주화가 지나고 각 학교 학생회들이 조직적으로 변하는 90년대 초가 가장 물리적으로 시위가 격렬했다.

이러한 현상의 정점을 찍은 것이 96년 연세대 사태이며, 학생들의 폭력적인 모습과 - 비록 경찰들의 봉쇄에 의해 극한 상황에 몰려 있었다고 하더라도 조직적인 모습에 전 국민이 큰 충격을 받았으며, 상황이 날로 악화되던 학생운동권에 실질적으로 사형선고를 내게 된다. 이들은 1990년대가 지나면서 그 특유의 경직성, 군사문화 때문에 거의 대부분 학생운동권 세력과 함께 와해되고 현재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더 이상 폭력적인 시위를 할 필요가 덜한 시대가 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수대는 시위를 하려면 누구든지 목숨을 걸어야 했던 비상식적인 시대의 필요악이자 자구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학교 별로 역사가 오래된 동아리방이나 과방에는 캐비넷안에 시위에서 얻은 경찰장비를 보관하고 있던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예전 사진을 보면 학교 사수대가 경찰장비를 빼앗아 무장한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가끔 인터넷 상에 전경VS사수대, 백골단VS녹두대, 오월대 등의 글이 올라오고, 누가 더 전투력이 강했느니 하는 글이 올라오곤 하는데, 애초에 경찰력과 물리력으로 대항하기 위해서 형성된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글은 무의미하다(당시 디카나 폰카가 보급된 시절도 아닌데 시위대가 전경을 무장해제 시키는 사진이 많이 남아 있을리도 없다. 시위현장에 대한 사진은 대부분 기자경찰 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시위대 수가 압도적으로 많거나 하면 당연히 경찰들의 물리력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무장해제가 일어날 수 도 있지만, 애초에 훈련과 장비질이 월등한 경찰력을 물리력으로 이기려고 하는 것이 어불성설이다.

더군다나 엄연한 국가 공권력인 경찰력을 시위대가 물리력으로 압도하는 것은 벌어져서는 안되는 일이다. 때문에 학생들의 물리력이 정점에 달한 한총련 시절에 학생운동권에 대한 여론이 급격히 악화된 것도 국가 공권력을 넘어서는 시위대의 물리력에 대한 반감을 이유로 드는 사람이 있다.

3.2 노동운동

%BF%AC%B4%EB%2520%C7%D1%C3%D1%B7%C3%BD%C3%C0%A7199608027.jpg

2MIL_7368.jpg

학생운동권에서는 사라졌지만 현재도 격한 시위가 벌어지는 현장-특히 노동자 시위-에서는 파이프로 무장한 사수대가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생존권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위의 격렬함이 상상 이상이다. [2] 특히 쌍용차 파업 진압과정에서 쇠파이프와 하이바로 무장한 사수대가 경찰과 대치하고, 경찰특공대가 투입되는등 예전 시위현장을 방불케하는 폭력적인 진압사태가 일어나 사람들에게게 큰 충격을 주기도 하였다.
  1. 학생 운동권이 대부분 사라진 21세기 초에도 두 학교의 학생 운동은 활발하기로는 전국에서도 손꼽힌다.
  2. 겪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요즘의 학생운동의 시위는 촛불집회나 별로 다를 바가 없이 얌전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