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항목 : 심리학 관련 정보
Social facilitation
1 소개
혼자일 때보다 타인이 존재할 때 어떤 일을 더 잘 또는 더 못 수행하게 되는 경향이다. 관중 효과라고도 한다.
2 설명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사회적 촉진은 혼자 있는 상황과 비교할 때 타인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과제에 대한 친숙성이 높을 경우 더 잘하게 되고 친숙성이 낮을 경우 더 못하게 되는 경향이다.[1] 즉 관중 앞에서 숙달된 일은 더 잘하고, 서툰 일은 더 못한다.
이는 수동적으로 관전하는 관중에서와 같이 타인의 단순한 존재(mere presence)만으로 한 개인의 행동이 영향을 받는 것이다.[2] 이때 타인은 개인과 동일한 활동을 하고 있을 수도 있고(ex. 도서관 같은 테이블에서 공부하는 사람) 어떤 다른 행동을 할 수도 있지만, 인센티브/처벌을 주거나 경쟁/협력을 하거나 약물 처리를 하는 등 어떤 다른 제 3의 요인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 Robert Zajonc[3]는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생리적 각성을 일으켜 그의 '주 반응[4]'을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냥 단순히 누군가 옆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개인은 생리적으로 각성되는데[5], 이 각성은 그의 주 반응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가수 김범수씨에게는 깔끔한 두성 창법이 주 반응이라 관중 앞에서 오히려 더 잘하게 될 수 있지만, 일반인들에게 두성 창법은 못하는 게 주 반응이라 관중 앞에서는 한없이 초라해질 것이다.
사회적 촉진은 곤충을 포함한 동물들에게서도 발견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 현상은 생물학적 근거를 갖고 있으므로, 사람이 아닌 유기체들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개미는 협력하지 않고도 자기 땅을 파고 있는 개미들이 주변에 있을 때 자기 땅을 더 잘 판다. 바퀴벌레는 관찰자 바퀴벌레가 있을 때 쉬운 미로는 더 빨리, 어려운 미로는 더 늦게 찾는다.
경쟁으로 인해 자극을 받아 더 잘하는 것은 사회적 촉진과는 전혀 다른 일이다.[6] 또한 사회적 촉진은 독자들이 겪어봤을 조별과제의 폐해를 설명하는 링겔만 효과나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과도 다르다. 사회적 촉진의 조건은 타인과는 독립적으로 개인이 어떤 일을 하는 것이지만, 링겔만 효과와 긍정적 협력 효과에서는 타인들이 개인과 함께 동일한 일을 분담해서 한다.
연구자 또는 관찰자의 존재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실험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을 말하는 호손 효과와도 구분하자.- ↑ 후자의 경우 특별히 사회적 저하(social impair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 ↑ 극단적으로 한 실험에서는 관중의 눈을 가렸는데, 이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 ↑ 만남을 거듭할수록 호감도가 높아진다는 '단순
성애자?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를 연구하기도 했다. - ↑ Dominant response. 마치 정상급 프로선수인 리오넬 메시에게 있어 드리블링처럼 평소에 크게 힘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행동을 말한다. 심리학에서는 '반응'이 '행동'과 거의 비슷한 뜻으로 쓰인다.
- ↑ 물론 이 각성의 정도는 개인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 ↑ 이 경우 경쟁의 결과 주어지는 인센티브(ex. 더 나은 자리 차지, 승리의 쾌감 등)에 의한 동기화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