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 세력의 역사왜곡 | ||
삼국사기 초기기록 수정론 식민사관설 | 한사군 한반도설 식민사관설 | 동북아역사재단 독도 누락 조작 사건 |
왜인 한반도 남부 지배설 | 김현구 임나일본부학자설 |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
두음법칙 식민국어학설 |
관련문서: 낙랑군 평양설 식민사관설
1 개요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수정'하는 행위를 '부정'으로 보고, 이런 '부정'이 식민사관이라는 논리다.
유사역사학자 이덕일과 김상태 와 역사학자인 이종욱이나 이희진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은 수정론자들을 "삼국사기 초기기록 부정론자"로 몰면서 식민사관이라고 주장한다.
다만 이종욱의 경우는 삼국사기 수정론 자체를 식민사관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이종욱 등 삼국사기 초기기록 긍정론을 펼치는 한국고대사학자들의 주요 논지는 삼국사기 초기기록 부정론을 식민사관이라고 비판하고 있지, 수정론을 식민사관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다만 수정론의 논의는 식민사학의 영향력이 아직도 학계에 일부 잔존한,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문제라고 보는 것이다.[1] 즉 수정론은 식민사학을 완벽하게 극복하지 못한 논리라고 주장하는 것이지, 수정론이 곧 식민사학 그 자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2 사실: 강단사학계는 삼국사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정론이 아니라 수정론자들이다. 이덕일이나 김상태가 식민사관학자라 주장하는 이기백의 말을 보자.
"시대에 따르는 변화의 가능성에 대하여서는 이미 이에 관심을 가지고 논급한 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라도 시대적 변화를 시대에 따른 문헌자료의 신빙성 여부의 문제로 전환시켜버린 결과, 상고(지증왕 이전) 부분의 사료를 불신하고 이를 다루는 것을 포기함으로 해서, 갈문왕이 된 인물의 과반수를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결국 갈문왕에 대한 시대적 인식은 중고(법흥왕~진덕여왕)에 한정된 것이 되고 말았다. 이렇게 되면 시대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연구에 화를 미치었다고도 할 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일단 모든 갈문왕 사료를 믿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출발할 것이며, 또 그 후신이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자료까지도 검토하여 신라의 전역사에서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파악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본고가 둘째로 주의를 기울인 점이라고 하겠다. 이렇게 말하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의 내물마립간 이전의 기록을 그대로 믿는 것은 위험한 일이 아니냐고 할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이 부분에는 그 이후의 부분보다 사료상의 결함이 많기는 하다. 그러나 어떤 구체적인 사료의 신빙성 여부에 대한 결론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해본 뒤에 내려져야 할 성질의 것이다. 갈문왕 관계 사료도 그런 것이라고 믿는다. 후대의 상식에 입각해서 약간의 문자상의 차이나 혹은 몇가지 이설의 존재에 당황하여 이를 일률적으로 불신하는 태도를 버리고, 관계되는 사료들을 대국적으로 보는 눈이 필요한 것이다."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연구』, 일조각, 1974, p.4
이기백은 분명히 삼국사기 부정론을 거부하고 있다.
이병도 당시만해도 강단사학계는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부정하는 입장이었으나 이기백 이후로는 거부하고 수정론이 대세가 됐다.[2] 오히려 삼국사기에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는 이들은 역사학자가 아니라 고고학자들이다. 정작 유사사학자들은 고고학자들에게 아무 소리도 못한다
3 사실: 신채호 선생님도 삼국사기 수정론자
신채호선생님도 삼국사기를 디스한 적 있다. 인용해보자.
" 처음 건국할 당시의 신라는 경주 한 구석에 터전을 잡고 열국 중에서 가장 작은 나라였다. 그런데도 "변한이 나라를 들어 항복해 왔다." "동옥저가 좋은 말 2백 필을 가져와 바쳤다."고 하는 것은 당시의 사정으로 보아 거의 가당치 않은 말일 뿐만 아니라, "북명인이 밭을 갈다가 예왕의 도장을 주워다 바쳤다."고 한 것은 더욱 황당한 말인 듯하다. 그 이유는, 북명은 북 「가시라」, 곧 북동부여의 별명이고, 고구려 대주류왕의 호위장사 괴유의 장지인데, 이제 혼춘의 농부가 밭에서 왕의 도장을 주워서 수천 리를 걸어와서 경주 한 구석의 작은 나라인 신라왕에게 바쳤다고 하는 것이 어찌 실화일 수 있겠느냐. 이는 신라 경덕왕이 동부여, 곧 북명의 고적을 지금의 강릉으로 옮긴 뒤에 조작해낸 근거 없는 황당한 이야기이니, 다른 것들도 거의 믿을만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 - 신채호 저·박기봉 옮김,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p.208
논리적으로 보면 이렇다.
신채호의 역사연구행동들은 식민사관이 아니다. → 신채호는 삼국사기 수정론이라는 역사연구행동을 하였다. → 삼국사기 수정론 행동은 식민사관이 아니다.
혹은
삼국사기 수정론 행동은 식민사관이다. → 신채호는 삼국사기 수정론이라는 역사연구행동을 하였다. → 신채호의 역사연구행동들은 식민사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