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백


李基白
1924년 10월 21일 ~ 2004년 6월 2일

대한민국역사학자. 1924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했다.

1941년 오산중학교를 졸업했다. 이 학교는 남강 이승훈(1864년~1930년)이 설립한 학교로, 이기백은 남강과 같은 집안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일본 와세다대학 사학과에 재학 중 일본군에 징집돼 만주 관동군에서 복무했다. 해방을 맞았으나 소련군포로가 됐다가 나중에 귀국했다.

1946년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에 입학해 1년 만에 졸업했다. 1963년~1985년 서강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양사의 전해종, 서양사의 길현모, 차하순 등과 함께 '서강사학'의 전성시대를 열었다. 회갑을 넘긴 나이에 1985년한림대학교 교수로 옮겨 1995년 퇴직했고, 한림과학원 객원교수와 이화여대 사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초기 사학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족사학을 개척하고, 한국사의 대중화에 힘썼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1987년부터는 이기백의 주도로 역사학자들이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한국사시민강좌>와 같은 역사 잡지를 펴내기도 하였는데, 처음에는 호응이 좋았으나 가면 갈수록 수익이 줄어 들었다. 그러나 잡지의 총편집을 주도한 이기백의 노력 덕분에 <한국사시민강좌>는 이기백이 사망한 후로도 꾸준히 발행하다가 2012년, 50호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한국사신론>이 있다. 실제로 <한국사신론>은 오랫동안 국사 교과서 집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환빠들에 의해 소위 강단 사학의 거두라고 비판받기도 한다[1]. 물론 2015년 현재는 역사학이 많이 발전하고 연구되어 중요도가 낮아진 책이지만 이전 세대의 역사 교육을 이해하려면 한번쯤은 검토할 필요가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는 여전히 변함없다.

저서 <민족과 역사>의 <민족문화의 전통과 계승>이 교과서에 실려있어서 적지 않은 학생들이 기억하고 있다. 내용은 서구화된 우리 사회에서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해야 하고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 해야하며 이는 국수주의배타주의가 될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외국의 선진문화 섭취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내용이며 전통문화중에서 우리가 보존하고 발전 계승할 전통과 인습을 구분하여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생전에 이화여대에서 한국 사학사에 대하여 강의한 녹취록을 토대로 사후에 제자들에 의하여 엮여져 <한국사학사론>이 편찬되기도 했다.

국어(교과)시간에 전통과 인습을 구분해놓은 판서를 많이들 보았을 것이다.

이병도만큼은 아니지만 환빠들이 매식자라고 깐다.

참고로 "국어사개설"로 유명한 한국어학자인 서울대 명예교수 이기문이 그의 동생이다. 형은 한국사 연구에 큰 족적을 남겼고, 동생은 한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총체적인 기틀을 마련했다. '국어사개설' 역시 연구의 진척과 함께 비판받는 부분도 많이 있으나, 아직까지 두 사람의 책이 강단에서 나름대로의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면 문자 그대로 "형제는 위대했다."

여담으로, 그의 수제자인 이종욱의 박사학위 논문[2]은 삼국사기 초기기록 긍정론의 입장에서 쓰여진 책이다. 삼국사기 초기기록 수정론자인 이기백에 대해 수제자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선생님의 연구성과들은 대부분 잘못된 것 같습니다" 라는 내용의 논문을 들고온 것. 그러나 이종욱의 논문을 읽어 본 이기백은 논리적으로 자신의 견해보다 타당한 것 같다며 흔쾌히 박사학위 인준을 시켜주었다. 오오 대인배 오오

마찬가지로 이기백의 뒤를 이어 서강대 한국고대사 교수가 된 이종욱 역시 자신의 제자 중 하나가 자신의 골품제 연구를 부정하는 논문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3] 하였는데 흔쾌히 박사학위를 인준해주었다. 이러한 학풍은 서강대 사학과의 전통이 되어, 서강대 사학과의 교수들은 학부와 대학원 수업에서 자신의 연구성과를 학생들이 비판하는 것을 거리끼기는 커녕 오히려 장려하는 분위기를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1. 이와 비슷한 포지션의 책으로는 한영우의 <다시 찾는 우리역사>, 변태섭의 <한국사통론>이 있다. 이 세 권의 책은 현재까지도 역사교육과 학생이 임용고시을 준비하려면 적어도 한번쯤은 읽어야하는 책으로 거론되고 있다.
  2. 이종욱, <新羅國家形成史 硏究>,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1
  3. 전미희, <新羅 骨品制의 成立과 運營>,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