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사학을 연구하는 학자. 석사 이상의 학위를 따면 연구자 소리를 듣게 된다. 꼭 사학 학위가 아니더라도 인근의 다른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분야에 적을 두었다가 역사학자가 되는 경우도 많다. 당장 국내에서 역사학자로 유명한 에드워드 카만 보더라도 사학 학위가 없다.[1] 인문사회 전반을 두루 포괄하는 역사학의 성격 때문이다.
2 커리어패스
2.1 한국사
한국에서 역사학자가 되기 위해서 한국사를 연구하고자 한다면 국내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하면 정식 연구자가 될 수 있다.
해외 유학을 갔다온 경우가 없는 건 아닌데, 한국사 전공 교수 중에서 해외 박사 출신은 많지 않다.[2] 사실 한국 사학계의 카르텔이 너무 공고해서 외국 박사 학위자가 설 자리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교수되려면 유학은 기본이라는 통념과는 대비되는 재미있는 부분이다.
2.2 동양사 및 서양사
한국사가 아닌 해외사를 연구하고자 한다면 해당 국가로 해외 유학을 가는 길 밖에 없다.[3] 연구하고자 하는 나라로 유학가면 된다하면된다?. 다만 예외적으로 자국 역사가 아니더라도 발달한 경우가 있는데 터키의 유목민사,[4] 프랑스의 페르시아사, 영국, 미국의 로마사 등이 그 경우이다.
해당 국가에서 쓰이는 언어, 영어 이 2종류는 거의 필수다. 그 외에도 자신이 연구하는 시대의 고어에 정통해야 한다. 이는 기본이고 수개국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구한말을 연구하는 경우 한반도와 관련되었던 주요 국가들이 그들이 언어로 남겨놓은 1차 사료를 연구하려면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그리고 프랑스, 독일어 등을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하는 것과 같다. 연구하고자 하는 국가와 시대에 관련된 사료가 한 두 언어로만 남아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자신이 전공하는 지역과 인접한 지역의 역사도 알아 두어야 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중국 근현대사를 전공하는 사람은 일본사, 러시아사, 미국사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한국사, 영국사, 프랑스사, 베트남사 등에 대한 배경 지식도 어느 정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3 역사가, 역사학자 목록
3.1 대한민국
3.1.1 전근대 역사가
※ 전근대 역사가 부분은 분량이 얼마 안되는고로 시대순으로 기재합시다.
- 고흥
- 이문진
- 거칠부
- 김대문 - 한산기, 화랑세기[5]의 저자.
- 김부식 - 삼국사기의 저자
- 일연 - 삼국유사의 저자
- 서거정 - 동국통감의 저자
- 박상 - 동국사략의 저자
- 안정복 - 동사강목의 저자
- 유득공 - 발해고의 저자
- 한치윤 - 해동역사의 저자
- 이긍익 - 연려실기술의 저자
3.1.2 근ᆞ현대 역사학자
링크가 왜이리 이상한게 많아?
- 강만길
- 강종훈
- 구범진
- 구자정
- 권희영
- 김상기
- 김영택
- 김정배
- 김재호
- 김철준
- 김태식
- 김호동
- 노태돈
- 노중국
- 도면회
- 도진순
- 문일평
- 미야지마 히로시
- 민현구
- 박용운
- 박은식
- 박태균
- 변태섭
- 백남운
- 복기대
- 서중석
- 손진태
- 송기호
- 송치영
- 송호정
- 신용하
- 신채호
- 신병주
- 안병직
- 안확
- 양기석
- 오항녕
- 이기백
- 이도학
-
이덕일[6] - 이만열
- 이병도
- 이성무
- 이영훈 경제사학자.
- 이우성
- 이이화
- 이종욱
- 이태진
- 이홍직
- 임지현
- 임용한
- 임창순
- 윤경로
- 윤내현
- 윤해동
- 전석담
- 전우용
- 정두희
- 정병준
- 정용욱
- 무함마드 깐수=정수일
- 정인보
- 정재정
- 조광
- 조동걸
- 조인성[7]
- 주보돈
- 지배선
- 천관우
- 최광식
- 한규철
- 한명기
- 한시준
- 한영국
- 한영우
- 한우근
- 한철호
- 한치윤
- 한홍구
- 호사카 유지
- 홍이섭
- 황민호
- 후지이 다케시[8]
3.2 북한
3.3 일본
- 가사하라 도쿠시
- 구로이타 카츠미
- 강덕상 (재일동포)
- 나이토 고난
- 미야자키 이치사다
- 시라토리 쿠라키치
- 이성시(재일동포)
- 이나바 이와키치
- 이마니시 류
- 이에나가 사부로
- 이노우에 가쓰오
- 츠다 소우키치
- 토야마 미츠오
- 하마다 고사쿠
3.4 중국
3.5 고대 그리스, 로마
3.6 영국
3.7 독일
- 막스 베버
- 레오폴트 폰 랑케
- 에른스트 트뢸치
-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 유스투스 뫼제르
- 테오도르 몸젠
- 프리드리히 리스트
-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 한스 울리히 벨러
-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11]
3.8 미국
- 조너선 스펜스
- 존 개디스
- 하워드 진
- 프레드릭 잭슨 터너
- 존 페어뱅크
- 토머스 매든
- 마크 마조워
- 데이빗 맥컬루
- 수잔 와이즈 바우어: 미국 역사학자 중에서 유일하게 나무위키에서 항목이 작성되어 있는 인물이다(!)
3.9 이탈리아
3.10 프랑스
3.11 네덜란드
3.12 스위스
3.13 러시아
3.14 서아시아
3.15 기타
제도권 밖의 역사학자나, 역사학자로 활동하지는 않았지만 사학을 연구해 사학에 어느 정도 기여하거나 (어떤 의미로든) 이름을 남긴 사람들.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강상중
- 김동춘
-
김운회 - 김원룡
- 김용만
- 문정창
- 박창화
- 빌헬름 폰 훔볼트
- 신용하
- 에드워드 사이드
- 언스트 곰브리치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 이선근
- 이종학
-
시오노 나나미 - 조기준
- 카를 마르크스
- 클라우디우스
- 찰스 디킨스[12]
- ↑ 카는 원래 외교관이자 국제정치학자였다. <역사란 무엇인가>와 더불어 카의 대표 저작으로 꼽히는 <위기의 20년>은 2차대전 이전의 국제정치사에 관한 고전으로 손꼽히며, 국제정치학에서 카는 한스 모겐소 이전에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의 초석을 놓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 ↑ 통계 추가바람
- ↑ 해외사를 연구하는 사람 가운데 서울대 출신이 얼마나 많은가를 생각하면 이런 말은 쉽게 나올 수 없다. 국내 유력 대학 석박사 출신 교수들이 현재 사학 강단에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 또한 사실. 물론 현재는 유학이 대세가 맞다
- ↑ 다만 터키의 경우 그 뿌리가 유목민족인 튀르크족이기 때문에 자국 역사가 아니라고 하기도 애매하다.
- ↑ 김대문이 저술한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며, 현재 박창화가 필사하여 전해오는 화랑세기가 진위논란에 있다.
- ↑ 역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지만 이후로는 학자로 보기 민망한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이 사람의 항목으로 들어가면 그가 저지른 화려한(?) 만행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
- ↑ 배우 조인성과는 동명이인이다. 경희대 사학과 교수.
- ↑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실장.
- ↑ 동로마 제국의 황녀로 역사서《알렉시아스》로 유명하다.
- ↑ 정확히는 뉴질랜드 출신이지만 영국에서 수학했다
- ↑ 원래 러시아 출생이지만 주로 독일에서 활동했기에 이 항목에 넣는다. 여담으로 원래 읽는 발음은 게오르기라고
- ↑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영국의 역사에 관한 책을 썼으며 찰스 디킨스의 영국사 산책이란 제목으로 한국에도 정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