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한남역.
잠시만 역의 높이가 다르잖아?
相對式 乘降場 / Side platform
1 개요
상,하행 승강장 사이에 선로가 놓여서 승,하차시 건너편을 마주보고 승,하차하는 방식의 승강장. 반대의 개념으로 섬식 승강장이 있다. 열차가 좌측통행일 때는 왼쪽 출입문, 우측통행일 때는 오른쪽 출입문이 열린다.
2 상세
선로를 깔아놓은 양옆으로 승강장이 놓이는 형식이기 때문에, 수요가 많은 경우에 이런 방식으로 역을 만든다. 또한 차후에 역의 규모가 커질 경우에는 승강장 벽만 파면 되기 때문에 수요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선로를 휘게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열차 정차에도 유리한 방식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확장한 승강장 부분에 선로를 깔아 쌍섬식 승강장을 만들어 복복선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다만 터널을 넓게 팔 수 없는 경우(도로 폭이 좁은 등)에는 쓰기 어려운 방식이기도 하다.[1]
하지만 승객 입장에서는 노선 진행을 잘 못 보고 반대편에 왔을 경우 개찰구가 양 노선 진행을 모두 묶어 개찰하는 경우에는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서 반대편으로 내려가거나 올라가면 되지만, 노선 진행별로 개찰구가 나뉘어 있을 경우에는 역무실의 양해를 구하고 반대편으로 넘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도 하다.[2][3] 합법적인 방법으로는 역 직원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서울 지하철의 경우 역무실을 호출하는 인터폰이 연결되어 있는 여닫이식 (휠체어용) 개찰구를 이용해 비교적 쉽게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갈 수 있다.
또한 환승역 설계시 양 진행 방향을 나누는 통로를 추가로 만들어야 하기에 환승 구조가 조금 더 복잡해질 수도 있다. 상대식 승강장 때문에 막장환승이 된 대표적인 사례로 잠실역을 들 수 있는데, 이건 설계에서 문제가 발생한 케이스. 그리고, 선로를 복층 형식으로 놓을 경우 섬식 승강장 구조가 환승에 유리하다. 복정역이 그 예.
보통 상대식 승강장은 반대편 승강장을 마주 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아현역이나 산성역처럼 상대식 승강장임에도 불구하고 선로 사이에 벽으로 막혀 반대편 승강장을 마주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 도시철도가 상대식 승강장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위에서 말했듯이 비용 문제 때문인지 지방 도시철도에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들이 많이 눈에 띈다. [4]
- ↑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상대식 승강장이 적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 ↑ 예전에는 다회용 교통카드를 쓴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개찰구를 나온 뒤 건너편에서 다시 개찰하는" 경우 환승이 안되었으나, 수도권 전철의 경우, 2012년 9월부터 환승을 하지 않은 최초탑승에 한해 환승횟수 1회를 차감하는 조건으로, 그리고 5분 안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같은 역의 다른 방면 승강장의 개찰구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아무래도 민원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는, 전철은 운임구역을 벗어나는 일 없이 환승하는 것이 상식이 된 한국 교통문화 상, 전철에서 내린 뒤 다시 전철을 타면 서울 지하철의 경우 비정상적 환승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 그러한 일이 잦은 구역에는 반대쪽으로 건너가기 위한 통로(개찰구)가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한 안쪽에서 밀고 지나가면 반대쪽도 바깥쪽에서 들어갈 수 있도록 풀리는 식이다.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예외. 그 이유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위를 지나는 달구벌대로의 고가도로 계획이 있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