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이 문서는 준보호 상태입니다.

이 문서는 잦은 문서 훼손 및 수정 전쟁으로 인해 자동 인증된 사용자만 수정하도록 제한되었습니다.
주의. 문서 훼손이 수시로 발생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과거에 문서 훼손을 빈번하게 당했거나 현재도 당하고 있는 상태이며, 앞으로도 빈번한 훼손이 예상되는 문서입니다. 문서 훼손으로 오해받지 않도록 주의해서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시는 이용자께서는 문서 훼손을 발견할 시 신고해주시기 바라며, 우측 상단의 기록을 클릭하고 되돌리기 / 편집 취소를 클릭하셔서 가장 최근의 정상적인 버전으로 복구해주시기 바랍니다.


수도권 대중교통
티머니 / 이비(캐시비)
철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경기도 도시철도
버스광역급행버스서울 시내버스인천 시내버스경기 시내버스
서울 마을버스서울 공항버스
공항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
도시/광역철도 관련 기업한국철도공사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9호선운영공항철도주식회사신분당선주식회사네오트랜스주식회사
경기철도주식회사인천교통공사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
시내/공항버스 관련 기업서울 시내버스 업체 일람인천 시내버스 업체 일람경기 시내버스 업체 일람
공항리무진한국도심공항칼 리무진서울공항리무진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수도권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경기도 도시철도
동남권부산 도시철도(동남권 전철)
대구, 경북권대구 도시철도대구권 광역철도
광주권광주 도시철도
대전, 충청권대전 도시철도충청권 광역철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하위로 기입한다.

1 개요

잘롭닉에서 인정받은 세계 최고의 도시철도 #[1]

세계에서 6번째로 영업거리가 긴 도시철도[2]

서울 도시철도
(Seoul Rapid Transit)
개통년도1974년 8월
영업거리332.0km
노선수9
역수311
운임제도수도권 통합 요금제
연간 수송인원[3]17억 8711만 1338명
궤간1435mm
전기방식직류 1500V
집전방식가공선
열차운전선로오른쪽[4]

수도권 전철 내에서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관할하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노선을 말한다.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등이 운영하며, 서울 경전철 노선도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노선설정 및 운영감독을 담당하므로 서울 지하철 노선에 포함된다.

2 특징

서울특별시 내에 있는 노선이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며, 서울시내에 없는데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관할하는 구간이 존재하기도 한다. 서울 지하철 3호선구파발역 - 지축역, 서울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 천왕역 그리고 장암역,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역 - 모란역 구간이 그러하다.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 - 부평구청역도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관할하지만, 서울 전용 정기권은 먹히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이기는 하지만, 부천시인천광역시가 해당 구간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로선, 3호선, 4호선의 서울메트로 구간만을 포함하여 1~9호선 노선 이용객 수[5]를 산출한 결과 현재 서울 지하철의 이용객은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다.#[6] 다만 이 이용객 2위라는 것이 코레일신분당선, 의정부 경전철수도권 전철 전체로 들어가면 이야기가 복잡해진다. 이렇게 되면 도쿄도 광역전철 및 독일 베를린 S반+RE[7] 등의 이용객 전체와 비교를 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들한테 밀린다. 사실 이렇게 따지게 되면 DB의 RE, JR의 쾌속에 해당하는 무궁화호, 누리로 그리고 광역본부 특급인 ITX-청춘까지 넣어 같이 비교해야 하므로 문제가 더더욱 복잡해진다(...).

인천 도시철도 노선은 인천 도시철도, 그외 서울을 지나지 않는 노선은 수도권 전철 문서를 참조할 것.

3 노선

3.1 운행중인 노선

1, 3, 4호선은 직통운전을 시행하기 때문에 열차를 타고 가다가 운영기관이 달라지더라도 내려서 환승할 필요는 없다. 물론 서울 나가면 배차간격이 안습하다. 특히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경부선이 분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배차 간격이 넓다. 또, 경인선 구간을 지나는 열차는 경원선의 전철 구간 끝인 소요산역이나 그 전 역인 동두천역까지 가지만 경부선 구간을 지나는 열차는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에서 종착하는 경우가 많다.

3.2 건설 중/예정 노선[13]

(국)이 붙은 노선은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계획하거나 건설하는 노선이 아닌 국가기간 광역철도 사업에 포함되므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건설중이며, 소유권은 각 지자체가 갖게 된다. 다만 준공 후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의 관리 하에 들어가며 운영은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맡게 되므로 서울 지하철에 포함된다.

4 운영사

5 관련 문서

  1. 이해가 안 간다면 파리 지하철뉴욕 지하철 문서를 읽고 와보자. 파리는 안내방송도 없고 소음이 엄청나며 문도 수동이다. 뉴욕은 냄새나고 더러운데다가 낡았다. 수십년 된 차량들도 그냥 굴러다니고 냄새난다고 해서 옆 칸으로 못 가는 열차도 많다. 참고로 한국의 철도차량은 가장 낡은 2호선 차량들조차 30년 이내이며 낡은 차량도 모두 난연재 개조를 거치고 도색도 바꾸는 등 갖은 노력을 거쳐 낡았단 느낌을 받기 어렵다. 심지어 이들은 한국보다 몇 배는 비싸다. 미국에서 우수한 편에 속하는 워싱턴 메트로도 가격은 싸지 않은데다가 역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마려우면 어느 역에서나 뛰쳐내려 볼일을 볼 수 있는 한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
  2. 1위는 상하이 지하철, 2위는 베이징 지하철, 3위는 런던 지하철, 4위는 뉴욕 지하철. 5위는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과 서울 지하철의 거리차는 불과 2km밖에 안된다. 하지만 수도권 전철이 출동한다면?
  3. 2013년, 승차량만 계산
  4. 1호선에 한해 왼쪽
  5. 수도권 전철 전체가 아니다. 분명 항목에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 지하철 9호선만을 대상으로 한다고 적혀있다.
  6. 한동안 모스크바 지하철이 2위를 차지했으나 서울에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점점 생겨남으로써 이용객이 증가한 것이다. 모스크바 쪽에서 러시아 경기침체 덕분에 신규 노선 개통이 적었던 게 한몫했다.
  7. JR에서 독일철도의 RE에 대응하는 등급은 급행~쾌속 정도다.
  8. 원래 지하 청량리역이지만 현재 민자역사 완공으로 인한 환승통로 구축으로 하나의 역으로 통합된 상태다. 물론 관리는 각자.
  9. 역번호는 시청역을 01번으로 하여 기준이 되지만, 실질적으로 다이아 등은 성수역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지선을 제외한 순환선만을 이야기 할때는 "을지로 순환선"이라는 이름이 주요 사용된다. "2호선 본선"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10. 강동역에서 분기. 강동-상일동 구간이 본선이며, 강동-마천 구간은 마천지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11. 응암역에서 독바위역 쪽으로 갔다가 다시 응암역으로 돌아오는 일방통행 단선 루프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봉화산역에서 응암쪽으로 오는 열차는 응암행이 아니라, "응암순환"이라고 되어있다. 응암루프선 항목 참고.
  12. 온수~부평구청 구간이 서울전용 정기권이 먹히지 않는다는 이유로 서울 지하철이 아니라는 소리가 써져 있었는데, 서울 지하철 맞다. 시외구간 처리가 되긴 하지만.서울시 공식 자료
  13. 미래철도DB에서 계획·설계·시공중인 노선만 기재하였다.
  14. IMF 크리(...)에 흑역사가 되었다. 그래도 일부는 신분당선, 신안산선 등으로 부활하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