單經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單은 보통 '단'이라 읽기 때문에, 단경으로 잘못 아는 경우가 많지만 單은 성씨로 사용할 땐 선이라 읽는다.
원소가 화친을 제안했다가 공손찬의 동생인 공손범이 발해에서 배반하면서 공손찬과 규합하는데, 공손찬이 자신의 세력을 확고히 하면서 과시하기 위해 전해를 청주자사, 엄강을 기주자사로 임명할 때 선경은 연주자사로 임명되었다.
원소와 원술이 사이가 틀어지면서 원술이 공손찬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공손찬이 다시 원소에게 싸움을 걸었다가 계교 전투에서 공손찬군이 패하자 공손찬은 여러 명을 주둔시킨다. 유비를 고당현, 도겸을 발견현에 주둔시킬 때 선경은 평원국에 주둔해 원소를 압박해 다시 싸웠지만 조조와 연합한 원소군에게 패배한다.
2 미디어 믹스
삼국지 11 |
삼국지 12,13 |
삼국지 시리즈에는 주로 단경으로 나온다. 전통적으로 무장이 없던 공손찬군을 위해 기록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꾸준히 등장하는 편. 공손찬의 부하치고는 정치가 높은 편이며 통솔 정도는 70을 넘기기 때문에 꽤 자주 쓰이는 편.
삼국지 6의 경우 지력이 70대에 병법 특기를 가지고 나왔으며 조운 등장 전에 공손찬군의 주요 모사로 나온다. 이 때는 관정도 등장하지 않은데다가 일러스트도 보면 뭔가 묘하게 책사 느낌이 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70/72/49/63. 이런 류의 장수들은 보통 정치도 바닥이기 마련인데 상기한대로 괴이할 정도로 정치가 높게 책정되어 있다. 9탄 한정으로 매우 쓸만한데 궁기 최강 병법 비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70/63/44/48/55에 특기는 보수, 징병, 돌격, 반격 4개. 통솔이 70이면 공손찬군에선 막장은 아니지만 특기가 마땅히 써먹을 만한 게 없는지라 공손찬군이더라도 별로 쓰일 일은 없다.
삼국지 12에서는 통솔 71에 무력 68로 생각보다 준수한 능력치를 보여주게 된다. 전법은 속공. 물론 공손찬군에서조차 쓰일 일이 없을 것이라 쉽게 예측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