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에는 본인과 타인에게 신체적·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 행위를 모방할 시 부상을 당하거나, 물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인디에서 맷 사이달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할때 썼던 에반 본의 슈팅스타 프레스. WWE에서는 에어 본이란 이름으로 썼다.
상위 항목 : 프로레슬링/기술/공중기술
프로레슬링의 기술로 탑로프에 올라가 링 안을 바라본 채로 몸을 앞으로 날리며 뒤로 270도 회전해 상대를 덮치는 기술이다. 원조는 일본의 주니어 헤비급의 전설 수신 선더 라이거로 만화 북두의 권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아마 모티브는 토키의 천상백렬권으로 추정. 수신 라이거 기믹을 얻기 전엔 피니쉬 무브로 사용했다.
주로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맨 위의 에반 본처럼 공중에서 몸을 접어서 호선을 만드는 형태와, 아래의 빌리 키드먼처럼 점프와 동시에 호선을 만들어 떨어지는 형태. 전자는 호선을 만들기가 어렵고 후자는 점프가 낮은 것이 문제점.
빌리 키드먼의 세븐 이어 잇치. 후자형 슈팅스타 프레스의 대표형태.
제대로 시전만 할 수 있다면 프로레슬링의 피니쉬 무브중에서도 우아하고 간지나기로 최고급의 기술이지만, 전 세계에서도 깔끔하게 시전할 수 있는 선수가 손에 꼽을 정도. 왜냐하면 공중에서 뒤로 부드럽게 회전하기가 정말 어려운데다가 공중에서 바닥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착지점도 잘 잡아야 하고, 만에 하나 착지에 실패하면 그야말로 망했어요. 그래서 호선을 제대로 그리면서 상대를 덮치는 마무리 동작은 정말 나오기 힘들다.
슈팅스타 프레스를 잘 써오던 빌리 키드먼도 착지 실패로, 무릎으로 차보 게레로의 머리를 강타하는 바람에 한동안 WWE에서 금지되기도 했다. 크리스 제리코는 90년대 중반에 SMW에서 활동할 때 수영장에서 슈팅 스타 프레스를 연습하다가 착지를 잘못해서 땅에 부딪쳐 팔을 부러뜨린 전적이 있다. 그럼에도 얼마 뒤에 예정되어 있던 경기를 자의에 따라서 소화했다고.
북미에서도 그냥 억지로 쓰는 선수가 제법 있다. ROH, CZW에서 형제 태그팀 멤버로 활동하고 있는 마크 브리스코나 OVW에서 수련하고온 브록 레스너 같은 선수는 호선을 제대로 멋지게 그리는 선수는 아닌데 그냥 깡으로 뛰어제낀다. 특히 레스너가 저지른 레슬매니아 XIX(19)의 메인 이벤트인 커트 앵글과의 경기때 시전한 슈팅스타 프레스 삑사리 사건은 일명 슈팅스타 헤드벗 사건으로 알려져 이미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브록은 슈팅스타 프레스를 쓰기에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음[1]에도 불구하고 기어코 슈팅스타 프레스 시전을 감행하는 무리수를 두었지만 결국 그 특유의 추한 개구리포즈로 머리부터 링 바닥에 추락하는 대형 사고를 냈으며, 그 장면은 레슬매니아 19를 보고 있는 전 세계 프로레슬링 시청자들에게 생방송되었다. 영상은 브록 레스너 항목 참조바람.
전문 프로레슬러가 아님에도 피니쉬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는데 바로 쉐인 맥마흔. 그것도 에반 본과 같은 형태다.이 인간은 대체 못하는게 뭐야 다만 고급 자버의 운명때문인지 시전하고도 자폭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파일:Attachment/슈팅스타 프레스/a5.gif
북미 공중기 끝판대장 어메이징 레드의 레드스타 프레스. 한때 경량급 열풍이 불었을 때 이 기술을 스탠딩으로 지르는 선수들이 등장해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기도 했으나 나중에 선수들 인터뷰에 따르면 스탠딩으로 시전하는 편이 탑로프보다 쉽다고 한다. 탑로프에서 뛰면 착지지점이 안보여서 더욱 어렵고, 스탠딩으로 하면 주로 달리면서 한쪽 다리를 크게 휘둘러서 그 반동으로 도는 것이라서 연습만 되면 더 쉽다고 한다. 실제로 세스 롤린스, 존 모리슨, 아폴로 크루즈 등 경량급이라고 보기 힘든 선수들도 잘 구사하는 편이다.
현재 북미 메이저에서는 문설트, 450 스플래쉬와 함께 공중기의 한계선으로 취급받고 있다. 이 이상 복잡한 공중기는 시전도 어렵고 성공했을 때 상대를 덮친다기보단 공중에서 빙빙 돌아가는 것만 보여서 관중들에게 덮쳤다는 임팩트를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2] 이 때문에 선수의 기량과 기술 완성도에 따라 메이저에서도 시전할 수 있는 공중살법의 경계로 손꼽힌다. 대표적인 선수가 WWE의 에반 본인데, 이 선수는 인디에서 바로 WWE로 입성할 때 입성 조건이 슈팅스타 프레스의 봉인 해제였다. WWE의 높으신 분들은 원래 금지하려고 했지만 내가 잘하면 되잖아? 사고 안낼 자신 있음이라고 요구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고. 문제는 그 이후 경기 스타일이 맨날 쳐 맞다가 어찌어찌 반격 뒤 슈팅스타 프레스라는 매우 안습한 행보를 걸어서 그렇지.
그런데 최근 WWE에서 에이드리언 네빌[3]이 코크스크류 슈팅스타 프레스라는 더 난이도가 높은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 WWE를 제외한 보통 프로레슬링 단체들의 범프 링은 5.5mx5.5m 사이즈지만 WWE는 6mx6m을 쓴다. WWE가 매우 큰 링을 사용하는 것.
- ↑ 물론 그 이상 되는 공중기를 쓰는 선수가 없다는 건 아니다. 예컨데 북미 하이플라이어계의 먼치킨 리코셰는 630 센톤, 더블 문설트, 슈팅스타 센톤 등 말도 안되는 기술들을 구사한다... 인간 육체의 한계는 알 수가 없다. 물론 저렇게 지나치게 화려한 공중기가 메이저 무대에서 현실적으로 어필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 ↑ 드래곤 게이트라는 단체에서 PAC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적이 있다. 2015년 기준으로 네빌로 이름을 바꿔 WWE 데뷔함.